논문 상세보기

錦江 중ㆍ상류역 청동기시대 문화의 맥락적 이해 KCI 등재

Contextual Understanding on the Bronze Age Culture in the Upper and Middle Reaches of Geum River Basi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55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본고는 수준과 갈래를 달리하는 고고 자료를 분석ㆍ비교하면서,‘금강(錦江)의 중ㆍ상류역’청동기 시대 사회문화적 특징을 탐색한다. 기본적인 정보는 광역적 취락분포유형, 취락 내 주거양상, 생산성 을 반영하는 환경요소의 분포와 취락입지의 관계, 생산도구 조합상, 분묘양상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얻어진다. 그런 일련의 정보를 통해 광역적인 인구추세와 재편양상, 국소 공동체 또는 취락 내부 양상, 가구 의 생산양상, 주거 대 매장양상의 상관적 양상 등이 상호 일치/불일치함을 파악하게 된다. 전반적으 로 유적의 밀도가 떨어지고 산악지형이 우세한 탓인지 광역적 사회복합화 또는 계층화는 미약함을 지 시하지만, 국소 공동체 내부의 양상은 그런 사회변화가 현저한 지역과 부합함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러한 지역(학)적 접근에 입각한 결과는 자체 맥락 이해는 물론, 더 포괄적인 문화적 실체―예를 들어 충청북도를 포괄하는 몇 수계―와의 비교를 통해 보편/특수성을 논의하면서 그 실효를 배가하게 될 것이다.

Looking at different levels and lines of archaeological records, I explore the sociocultural patterns of the Bronze Age in the upper and middle reaches of Geum River basin. Basic data are derived from analyzing analyzing regional settlement patterns, intra-village dwelling patterns,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onal patterns of settlements and environmental factors relevant to agricultural productivity, productive tool assemblages, and burial patterns. A series of information through the analyses are used for identifying (in)compatibility between the change and reorganization of regional population, intra-local community patterns, household productive patterns, and coincidence of residential and mortuary practices. Most levels and lines of information commonly suggest weak social complexity, probably due to the population density and mountainous landscape. However, intra-local community patterns show some compatibility with regions of strong social complexity. The reconstruction based on regional approaches could be more promising, when it is used in comparison with the larger and overarching cultural entity, such as Chungbuk Province, aiming to find the generality and particularity of the region’s culture.

목차
❚목차❚
❚요약❚
Ⅰ. 서 론
Ⅱ. 금강 중ㆍ상류역 청동기시대 고고문화
    1. 조기
    2. 전기
    3. 중기
    4. 후기
Ⅲ. 금강 중ㆍ상류역 청동기시대 문화에 대한 다(차)원적분석
    1. 광역적 인구추세와 재편
    2. 취락 또는 국소 공동체 내의 양상 변화
    3. 가구 생산양상의 변화
    4. 주거와 매장양상의 대비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범철(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 Kim Bumche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