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장년층의 개인가치가 잡크래프팅의 주요 변수와 의 관계에 관한 연구 모델을 수립하고 분석하여 중‧장년층의 잡크래프 팅과의 관계에서 자기개발 동기의 매개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하고 사회복지 정책과 실천에 대해 중‧장년층의 개인가치와 잡크래 프팅 간의 관계에서 자기개발 동기의 매개효과가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실제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장년층의 개인가치가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기개발 동기의 매개효과로 구성 된 연구 모델을 구축하였다. 이에 따라 중‧장년층의 개인가치가 잡크래 프팅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가치와 잡크래프팅 간의 관계에서 저기개발 동기의 매개효과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각 변수 의 하위 요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이들 간의 영향 관계를 조사하였 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d analyze a research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value of the middle-aged and the main variables of job crafting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velopment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job crafting in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and to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velopment motivation in performing the job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value of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and job crafting for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In this study, a research model composed o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velopment motivation was construc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value of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on job crafting. Accordingly, the influence of the individual value of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on job craft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otivation for over-the-counter develop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value and job crafting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each variab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as investig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