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using welfare centers for the elderly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이용 전기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삶의 질에 미치 는 영향을 살펴보고, 두 변인 간 관계에서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D시에 거주하고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전기노인을 대상으로 2025년 03월 15일부터 2025년 03월 30일까지 2주간에 걸쳐서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자료 분석에 250부를 활용하였다. 자 료분석은 SPSS 25.0, SPSS PROCESS macro4.3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헤이즈(Hayes)의 PROCESS MACRO model 4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복지관 이용 전기노인의 디지털 리터러 시는 삶의 질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복 지관 이용 전기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삶의 질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의 부 분 매개효과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디지털리터러시가 사회자본을 통해 전기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digital literacy of the early elderly using senior welfare centers on the quality of life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For this study, a self-written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wo weeks from March 15, 2025 to March 30, 2025 for the early elderly living in D city and using the senior welfare center, and 250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ayes' PROCESS MACRO model 4 were used by using the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4.3 program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digital literacy of the early elderly using the senior welfare center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digital literacy of the early elderly using the senior welfare center had an effect on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gital literacy can act as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arly elderly through social ca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