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판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도입국아동의 문화 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Prints o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Social Skills of Immigrant Childr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59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판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도입국아동의 문화적응 스 트레스와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S 시에 소재한 다문화센터를 이용하는 중도입국아동 9명을 대상으로 주 1 회씩, 90분 총 16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 로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성 기술 척도와 PITR, K-HTP 그림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각 회기 결과를 질적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판화를 활 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도입국아동의 문화적응 스트레스(t =4.98, p <.001) 와 사회성 기술(t =-2.77, p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 다. 질적 분석 결과, 집단원은 안전하고 신뢰를 주는 분위기에서 자신의 부정적 정서를 표현하였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긍정적 자원을 발견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자면, 판화를 활용한 집단 미술치료가 중도입국아동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와 사회성 기술 향상 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prints o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social skills of immigrated children. 9 immigrated children, who have attended the multicultural center located in City S, were participated. Total 16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90 minutes each. As research tools, cultural adaptation stress, social skills scale, PITR, and K-HTP drawing test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each session were qualitatively analyzed. For the data analysis, a paired sample t-test was conducted using SPSS 25.0.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cultural adaptation stress(t=4.98, p <.001) and social skills(t =-2.77, p <.05) among immigrated children through group art therapy using prints.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group members expressed their negative emotions in a safe and trustworthy atmosphere and demonstrated the ability to discover positive resources for adapting to newly faced environment. Taken these together, group art therapy using prints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improving social skills for immigrated children.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판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과 단계
    5.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중도입국아동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화
    2. 중도입국아동의 사회성 기술 변화
    3. 회기별 질적 변화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판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작품

저자
  • 최민정(경기대학교 대학원) | MinJung Choi (Graduate School of kyonggi University)
  • 김혜인(경기대학교 대학원) | Hyein Kim (Graduate School of kyonggi University)
  • 정재원(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 JaeWon Jung (Graduate School of Alternative Medicine, kyongg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