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도농복합지역 독거노인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5요인 성격특성의 매개효과 KCI 등재

The Mediating Effect of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Urban-Rural Composite Area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597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농복합지역 독거노인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주관 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5요인 성격특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다. 이를 위해 전국 5개 도농복합지역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252명을 대 상으로 면접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방법으로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농복합지 역 독거노인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주관적 행복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농복합지역 독거노인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5요인 성격특성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도농복합지역 독거노인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수 준에 따라 5요인 성격특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게 함으로써 주관적 행복 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들의 주관적 행복감 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5요인 성격특성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실천 및 정책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urban-rural composite areas. For this purpose, structured 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52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across five urban-rural composite regions in South Kore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ress coping strategi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these regions. Second,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were shown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subjective well-be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nhancing the use of personality traits in line with stress coping strategies can contribute to improved subjective well-being in this popul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esent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도농복합지역 독거노인
    2.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개념 및 차원
    3. 5요인 성격특성의 개념 및 차원
    4. 주관적 행복감의 개념 및 차원
    5. 스트레스 대처방식, 5요인 성격특성 및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가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 측정도구
    4. 자료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2. 5요인 성격특성이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김영권(중부대학교) | Young-kwon Kim (Joongbu University)
  • 길태영(중부대학교) | Tae-young Kil (Joongb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조미경(중부대학교) | Mi-kyung Cho (Joongbu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