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상담자의 대리외상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 있어 침습 적 반추, 의도적 반추, 지각된 통제감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선행연구를 토대로 대리외상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지각된 통제감의 다중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모형을 설정 하였다. 국내 상담자 280명을 대상으로 대리외상척도, 사건관련반추 척 도, 지각된 통제감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 확장판을 사용하였으며 SPSS Statistics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매개 효과를 검 증하였다. 그 결과, 대리외상으로 인한 침습적 반추는 의도적 반추와 지 각된 통제감을 매개로 외상 후 성장에 간접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 며, 특히 삼중 매개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대리외상으로 침습 적 반추가 부정적 정서를 유발하더라도, 이후 의도적 반추와 통제감 회 복을 통해 외상 후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perceived control in the link between counselors’ vicarious trauma and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prior research, a multiple mediation model was tested with 280 Korean counselors using the Vicarious Trauma Scale, Event-Related Rumination Inventory, Perceived Control Scale, and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Expanded. Analyses with SPSS 25.0 showed that intrusive rumination indirectly promoted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deliberate rumination and perceived control, with the triple mediation pathway being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lthough intrusive rumination may initially evoke distress, it can foster post-traumatic growth when followed by deliberate rumination and the restoration of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