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tial Logic and Hazard-Mitigation Functions of Dangsan Shrines and Windbreak Groves (Supjeong-i) in Daesan-myeon : A Township-Scale Integrated Analysis
본 연구는 전북 고창군 대산면을 대상으로 전통 비보경관(당산·숲정이· 석물·연못)의 전수 인벤토리와 GIS·공간통계, 단기 미기후 계측, 정월 의 례 민속지리 분석을 통합하여 면(面) 단위의 기능–상징–제도 연계를 해 명하였다. 대산면 15개 법정리·74개 자연마을 중 37개 마을에서 비보 요 소가 현존하며, 공간 중첩 결과 수구(물길 출입부)와 지형유도 바람길 주 변, 특히 서·북서 노출 방향에 비보의 전진 배치가 두드러졌다. 좌청룡· 우백호 결절에는 나무·돌 당산의 쌍점 배치가 빈번했고, 숲정이는 수구 관쇄와 방풍의 물리적 완충을 담당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전 통지식을 자연기반해법(NbS) 기준과 접목한 평가·설계 프레임을 제안하 고, 우선 보전 구역 설정, 단계적 복원(새 당산 지정·식재 포함), 의례–경 관 동시 복원, 주민–지자체 거버넌스 및 연례 모니터링 지표 운영 등 실 천적 정책·설계 지침을 제시한다. 또한 대산면 비보경관의 공간규칙과 의 례 네트워크를 근거로, 주민–지자체 협력 하에 보호수 지정·수구 관쇄·새 당산 식재 등 우선 보전·복원 과제를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자연기반해법 (NbS) 기준과 연계한 마을–면 단위 정책·교육·관광 프로그램으로 확장할 수 있는 지역사회 활용 모델을 제시한다.
This study analyzes Daesan-myeon (Gochang, Korea) as a vernacular “bibo” landscape by combining a full village inventory with GIS/spatial analysis, short-term microclimate logging, and ethnography of Jeongwol rituals. Of 74 settlements, 37 retain bibo elements—arboreal/stone dangsan, windbreak groves (supjeong-i), ponds, and markers. Spatial overlays show consistent co-location with opened water outlets (sugu) and terrain-driven wind corridors, with forward placement toward W–NW exposure and paired nodes along the Blue Dragon/White Tiger ridge arms. Ritual calendars (taboos, obang perambulation, geollip fundraising) function as boundary-stitching networks that reinforce vulnerable directions. Civil works since the late 20th century concentrated losses along river and boundary corridors, whereas protected-tree designation and original-site markers sustain interior gateways. We propose an NbS-aligned assessment frame to prioritize conservation, target restoration of lost nodes, and couple ritual –landscape revival as township-scale safety and education infra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