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서울시 조류 충돌 Hotspot 도출과 토지 이용 특성 분석 KCI 등재

Identification of Bird Collision Hotspots and Analysis of Land-Use Characteristics in Seou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600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인공 구조물이 설치된 서울시를 대상으로 조류 충돌 발생 현황을 분석하고, 공간통계 및 토지 피복도를 활용하여 Hotspot 및 저감 우선지역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18년부터 2024년까지 서울시 야생동물센터에 기록된 총 2,540건의 구조 데이터를 정제하여 공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충돌의 약 40%는 10개 주요 종(집비둘기, 직박구리, 까치 등)에 집중되었으며, 특히 솔부엉이(Ninox scutulata), 소쩍새(Otus sunia), 황조롱이(Falco tinnunculus) 등 법적 보호종의 충돌 빈도도 높게 나타났다. 이들은 번식, 이소 시기에 충돌발생 빈도가 높고, 도심 구조물과의 충돌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간통계 기법인 Getis-Ord Gi* 통계를 적용한 결과, 300m×300m 격자 기준으로 전체 7,091개 중 532개 셀(7.5%)이 유의미한 충돌 Hotspot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99% 신뢰수준의 고밀도 클러스터는 산림·하천·공원 등 생태축이 단절되거나 경계부에 위치한 유리 건축물과 구조물에 서 충돌이 집중되었다. 토지피복 세분류를 기반으로 Hotspot 내 격자의 토지이용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교육·행정시설 (30.23건/㎢), 공공시설지역_교육·행정시설(15.69건/㎢), 상업·업무시설(11.34건/㎢) 순으로 충돌 밀도가 높게 나타났 다. 이러한 유형은 유리창, 인공조명, 고층 건물 등 조류 충돌 유발 요인이 집중된 지역으로 향후 저감 조치의 우선 설치 대상지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조류 충돌의 공간 분석과 토지이용 특성 간의 연관성을 기반으로 고위험 지역을 식별하고, 조류 충돌 저감 정책 수립을 위한 실질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bird–building collision patterns in Seoul, a highly urbanized city with dense artificial structures, and to identify collision hotspots and mitigation priority areas using spatial statistics and land cover data. A total of 2,540 wildlife rescue records logged at the Seoul Wildlife Center between 2018 and 2024 were refined and utilized for spati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pproximately 40% of all collisions were concentrated in ten dominant specie,s such as Columba livia, Hypsipetes amaurotis, and Pica pica. Notably, legally protected species such as Ninox scutulata, Otus sunia, and Falco tinnunculus exhibited high collision frequencies. These species were identified as highly vulnerable to ecological conflicts with urban structures, as their collision peaks overlapped with specific biological stages such as breeding and post-fledging periods. The application of the Getis-Ord Gi* spatial statistic, using a 300m x 300m grid, identified 532 out of 7,091 total cells (7.5%) as significant collision hotspots. In particular, high-density clusters with a 99% confidence level were concentrated around glass buildings and structures at the boundaries or discontinuities of ecological corridors, such as forests, rivers, and parks. An analysis of land cover within the hotspot grids showed the highest collision densities in educational and administrative facilities (30.23 cases/km²), public facilitie_education/ administration (15.69 cases/km²), and commercial/business districts (11.34 cases/km²). These land-use types, which are characterized by high concentrations of collision-inducing factors such as glass façades, artificial lighting, and high-rise buildings, can be prioritized for the installation of mitigation measures. By establishing a link between the quantitative spatial analysis of bird collisions and land use characteristics, this study identifies high-risk areas and provides a practical evidence base for formulating effective bird collision mitigation policies.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조류 충돌 자료 수집 및 전처리
    2. 조류 충돌 Hotspot 분석
    3. 토지이용 유형과 조류 충돌의 관계 분석
결과 및 고찰
    1. 주요 충돌 현황 및 주요 충돌종
    2. 공간적 Hotspot 분석(Getis-Ord Gi* 통계 기반)
    3. 토지이용 유형별 조류 충돌 발생 지역
REFERENCES
저자
  • 김민경(서울연구원 탄소중립센터 연구위원) | Min-Kyung Kim (Carbon Neutrality Reseach Center, Seoul Institute, 57 Nambusunhwan-ro 340-gil, Seocho-gu,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이예인(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박사과정) | Ye-in Lee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s & Engineering, Ewha Womans University, 52, Ewhayeodae-gil, Seodaemun-gu, Seoul,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