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두륜산도립공원의 식생 특성과 천이계열 고찰 KCI 등재

A Study of Vegetation Characteristic and Succession in Duryunsan Provincial Par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600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두륜산도립공원은 다양한 식생군락이 분포하는 식물지리학적 가치가 뛰어난 곳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라남도 해남군에 위치한 두륜산도립공원을 대상으로 식생 천이계열에 따른 식생 특성을 분석하여 난온대림의 천이계열 규명에 기여하고자 한다. 조사구는 교목층의 상관식생을 고려하여 총 41개소를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두륜산도립공원의 천이계열을 예측한 결과, 소나무 → 졸참나무, 졸참나무-굴참나무 → 졸참나무-개서어나무 → 개서어나무 → 개서어나무-붉가시나무 → 붉가시 나무로의 천이가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군락에서 천이계열 상 다음 단계에 출현하는 수종들이 확인되었고, 그 비율 등을 고려해 볼 때 시기적인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최종적으로 붉가시나무군락으로의 천이가 예상되었다. 명확한 천이계열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추세 판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난온대림 보전 및 기후변화 대응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uryunsan Provincial Park is noted for its outstanding phytogeographical value,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f diverse vegetation communitie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identifying the successional series of the warm-temperate forest by analyzing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vegetation successional series in Duryunsan Provincial Park, located in Haenam-gun, Jeollanam Province. A total of 41 survey sites were selected, taking into account the correlation of vegetation in the canopy layer. Based on the analysis, the successional series in Duryunsan Provincial Park is predicted as follows: Pinus densiflora → Quercus serrata and Q. serrata-Q. variabilis → Q. serrata-Carpinus tschonoskii → C. tschonoskii → C. tschonoskii-Q. acuta → Q. acuta. Species expected to appear in the next stage of the successional series were identified in most communities. Considering their proportions, etc., the succession was expected to ultimately lead to a Quercus acuta community, although the timing may vary. Continuous monitoring and trend analysis are necessary to determine the exact successional serie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serve as useful data for conserving warm-temperate forests and climate change response.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선정
    2. 조사 및 분석 방법
결과 및 고찰
    1. 기후 특성
    2. 식생군락구조
결 론
REFERENCES
저자
  • 유재혁(국립수목원 산림생물보전연구과 석사급연구원) | Jae-Hyuk Yoo (Forest Biodiversity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1186, Korea)
  • 김형주(국립목포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석사과정) | Hyoung-Ju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Mokpo National Univ., Muan 58554, Korea)
  • 이상철(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RISE사업단 조교수) | Sang-Cheol Lee (RISE Project Group, Konkuk Univ., Chungju 27478, Korea)
  • 강현미(국립목포대학교 도시계획및조경학부 조경학전공 부교수) | Hyun-Mi Kang (Dept. of Urban Plann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Major in Landscape architecture, Mokpo National Univ., Muan 58554,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