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Pil Lee’s Monastic Spirituality and Its Prophetic Implications: A Christ-Union Perspective on Kenosis and Self-Denial
제자도에 있어 핵심 내용인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중심으로 이현 필의 케노시스 영성과 그의 수도원 ‘동광원’ 운동을 분석하는 것은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는 모든 성도들에게 삶으로의 선교의 동참이 무엇인지를 제공하는 중요한 믿음의 단서가 된다. 빌립보서 2장에 나타난 ‘케노시스’는 단순한 겸손이 아니라 자기포기의 선언이며 철저 한 순종과 자기부정의 제자도이고, 이것이 바로 ‘그리스도와 연합’된 삶의 핵심내용이다. 본 연구는 신실한 신자들에게 반드시 요구되어지는 예수의 ‘제자’로써의 삶과 선포, 그리고 그 신앙이 어떻게 이현필의 삶과 동광원 공동체 안에서 실현되고 있는지에 집중하였다. 이현필은 자신이 죽고 예수가 사는 삶을 살고자 끊임없이 ‘자신의 의를 비워내어’ 그리스도가 드러나는 삶을 살고자 했다. 청빈, 순결, 순명의 수도 정신이 그대로 나타나는 이현필과 동광원의 ‘케노시스’적 자기부정의 신앙은 내적 성화를 넘어 고아와 병자, 가난한 자를 끌어안는 선교적. 순교적인 삶으로 드러나며 예언자적 사명의 삶으로 나타난다. 본 논문 은 이러한 ‘케노시스적 연합’이 오늘날 이 사회와 한국교회 가운데 어떻게 적용되어져야 하는지를 제안하며 그 선교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kenotic spirituality of Lee Hyun-Phil and the monastic mission of Dongkwangwon through the lens of “union with Christ,” the essence of Christian discipleship. The kenosis of Philippians 2 signifies radical self-emptying and obedience that leads to a life wholly united with Christ. Lee embodied this through self-denial and a Christ-centered existence marked by poverty, purity, and obedience. His community, Dongkwangwon, exemplified the practice of sacrificial love that extended to the poor, sick, and orphans. Their monastic life reflected a prophetic and missional vocation rooted in kenotic discipleship. This paper explores how such a spirituality redefines holiness and mission, and how the Korean church today can reclaim its identity as a community living out the gospel in unity of word and d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