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식생성형 학습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른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생물학 가설의 설명 경향 변화 KCI 등재

Changes of the hypothesis explanation pattern after experience of biology knowledge-generation learning program in science highschool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60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일정기간의 지속적인 학습프로그램 경험을 통해 그들의 가설지식 생성능력과 설명경향이 생물학자와 비교하여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규명해 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남부권 소재 과학고등학교 학생 14명과 생물학자 7인을 선정하였다. 학생들의 경우, 7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고 실험집단은 12주에 걸쳐 주 1회씩 생물학 가설에 관련된 지식생성형 학습프로그램을, 비교집단은 지식수용형 학습프로그램을 경험하게 하였다. 학습의 전과 후에 미리 제작된 생명현상에 관한 측정과제로 생성한 가설에 대한 설명경향과 가설생성능력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은 두 집단 모두 사전-사후 변화 없이 설명대상을 분할하지 않고 가설을 생성하며, 2) 실험집단의 경우 사후에는 다차원적 설명자를 사용하는 변화를 보이나 비교집단은 그렇지 못했다. 3) 또한 실험집단은 사후에 현상적 설명자 뿐만 아니라 생물학자들처럼 이론적 설명자를 사용하는 빈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 설명자의 유사도 역시 증가된다. 이러한 결과는 지속적인 지식생성형 학습프로그램의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가설설명경향이 과학자와 유사한 형태로 변화되어갈 수 있고, 지식수용형 학습의 경험만으로는 학생들의 가설설명경향 및 가설생성능력의 변화를 유도하기 어렵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changing patterns of the science highschool students' hypothesis explanation pattern and hypothesis generation ability of before and after the sustainable experience of biological knowledge-generation learning program in comparison with biologists'. In this study, we selected 14 science highschool students and 7 biologist. Then, we divided them two groups - the experiential group (n=7) and control group (n=7). The experiential group was experienced biological knowledge-generation learning program for 12 weeks (1 topic per week). In contrast, the control group was experienced biological knowledge-acceptance learning program for same time. Before and after the learning program, students in both group were tested their hypothesis explanation pattern and hypothesis generation abil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1) in experimental group, multi-level explicans was frequently used in their hypothesis after the learning program but it was not used in control group, 2) also in experimental group, not only phenomenal hypothesis explican but also theoretical hypothesis explican was frequently used in their hypothesis after the learning program and its degree of likeness was increasing too. Therefore sustainable experience of knowledge-generation learning program can be changed students' hypothesis explanation pattern and hypothesis generation ability to the similar forms of biologists'.

저자
  • 권용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