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우(韓牛)의 유전적(遺傳的) 개량량(改良量) 증대(增大)를 위한 적정(適正) 산출(算出)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Optimum Breeding Structure to Increase Genetic Gain in Body Weight of Korean Native Catt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658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초록

본(本) 연구(硏究)는 한우육용화(韓牛肉用化) 개량(改良)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경제형질(經濟形質)인 체중에 대(對)한 유전적개량량(遺傳的改良量)을 최대(最大)로 증대(增大)시킬 수 있는 적정규모(適正規模)를 산출(産出)하여 한우(韓牛)의 육용능력(肉用能力)을 조기(早期)에 효율적(效率的)으로 개량(改良)할 수 있는 방안(方案)을 제시(提示)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체중에 대(對)한 유전적개량량(遺傳的改良量)과 세대별(世代別) 체중평균치의 변화(變化)를 추정(推定)하기 위하여 2재(才)이상의 암소잡균(雜菌)은 매세대(每世代) 675,000두(頭)가 유지(維持)되고 또한 암소는 매년(每年) 15%가 도태(淘汰)된다는 등(等) 몇가지 반정(飯定)아래서 다음과 같은 요인(要因)이 고려(考慮)되었다. 1) 암소 집단중(集團中) 인공수정(人工授精)되는 비율(比率); 30, 40, 50, 60, 70% 2) 종모우(種牡牛) 두당, 년간(年間) 정액(精液) 생산(生産) 수량(數量); 5,000, 7,000, 10,000, 15,000, 20,000두분(頭分) 3) 종모우(種牡牛)의 평균체중; 480, 520, 560, 600, 640, 680, 720kg/18개월령(個月齡)이다. 본연구(本硏究)에서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체중의 유전적개량량(遺傳的改良量)은 이용(利用)되는 종모우(種牡牛)의 체중에 크게 영향(影響)을 받으며 매세대당유전적개량량은 28.66~36.31kg으로 추정(推定)되었다. 2) 유전적개량량(遺傳的改良量)의 80~90%는 종모우선발(種牡牛選拔)에 기인(起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종모우(種牡牛)의 평균체중이 매세대(每世代)마다 40kg씩 증가(增加)되고 암소의 인공수정(人工授精)되는 비율(比率)이 50%이상으로 확대(擴大)되어지는 경우 5세대(世代)이후에서 수소 및 암소의 체중평균치는 인공수정집단(人工授精集團)에서는 600kg과 520kg, 그리고 전(全) 모집단(母集團)에 있어서는 560kg과 480kg에 도달될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most fabourable breeding structure for the maximum genetic gain of live weight, the most important economic traits of Korean native cattle, in order to achieve the improvement goals for meat productivity of the native cattle early and effectively. For estimating genetic gain and population mean changes, the following factors were investigated under the assumation that 675,000 heads of over-two-year old cows were maintained each generation and 15% of the cows were culled every year: 1. The proportion of cow population inseminated by A I bulls; 30, 40, 50, 60, 70% 2. The number of semen doses produced from each A I bull per year; 5,000, 7,000, 10,000, 15,000, 20,000 doses. 3. The average body weight of A I bulls; 480, 520, 600, 640, 680, 720kg/18 months of age. The estimat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genetic gain of live weight is affected greately by the levels of A I bulls' body weight and the genetic gain was estimated 28.66~36.31kg per generation. 2. The proportion of genetic gain from sire selection were estimated 80~90%. 3. When the average body weight of A I bulls increase 40kg per generation and more than 50% of cow population is inseminated by A I bulls, then the phenotypic mean value of live weight of bulls at the age of 18 months and heifers at the age of 2 years are expected to be reached 600kg and 520kg in the A I population; 560kg and 480kg in the whole population, respectively, after 5th generation.

저자
  • 박항균(Dept. of Dairy Science, Coll. of Agric., Kyungpook Natl. Univ.) | Park, Hang Kyun
  • 최광수(Dept. of Dairy Science, Coll. of Agric., Kyungpook Natl. Univ.) | Choi, Kwang
  • 설동섭(Office of Rural Development) | Sul, Dong S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