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농촌인구(農村人口)의 변화(變化)와 예측(豫測)

Variation and Forecast of Rural Population in Korea: 1960-1985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674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초록

이상에서 본 연구는 1960년 이후부터 1985년까지의 인구규모와 그 변동의 특질을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이동현상과 관련하여 검토해 보았다. 아울러 분해시계열방법을 이용하여 농촌인구유출과 농정과의 관계도 고찰하였다. 그리고 적정모델을 추정하여 2,000년까지의 농촌 및 농가인구도 예측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인구구조의 변화측면에서 농촌인구와 농가인구는 1965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1975년 이후부터 급격히 감소하였다. 농촌인구의 급격한 감소는 농촌 인구의 자연감소로 인한 요인보다는 도시로 유출되는 인구이동의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유출과정에서 유입지의 분포를 보면 도시지역 중에서 서울, 부산, 경기지역으로 인구가 집중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0년대에는 서울 부산 등 대도시 지역으로 직접적인 이동이 있었으나 80년대에 들어와서는 대도시 지역으로의 직접적인 유입보다는 주변지역으로의 유입이 점차 증가함으로써 농촌에서 대도시로의 유입형태가 주변도시로의 유입형태로 변화되고 있다. 농촌인구의 유출을 농업생산과 관련시켜 볼 때 농업노동력의 수요가 확대되는 6월 이후에 유출인구는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3월에 가장 많이 유출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60년대 이후 농업정책과 농촌인구의 유출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순환변동을 도출하였으며 2-3차 개발계획기간을 제외한 기간에 있어서 농촌부문의 상대적 저위성이 농촌인구의 유출을 자극한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이러한 사실은 농업정책의 불균형적 시행이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결과라 하겠다. 끝으로 농촌인구의 유출을 포함한 한국농업의 근본적인 문제는 도농간 상대적 소득 격차에 있다고 보고 농촌지역의 개발을 서울이나 수도권, 대도시권의 비대화를 막기 위한 방편 또는 공업화 우선정책의 반작용으로 본 과거의 정책성향을 극복해야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도농간 소득격차의 문제를 농업정책의 중심과제로 삼고 농촌지역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나라의 경제적 효율성은 물론 형평성을 높인다는 시각에서 농업정책을 다루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tflow of rural population and agricultural policy by using time series method. For the analytical tools, decomposition time series methods and regression technique were employed in computing seasonal fluctuation and cyclical fluctuation of population migration. Also, this study predicted farmhouse, rural population till the 2000's by means of the mathematical methods. The analytical forms employed in forecasting farmhouse, rural population were Exponential curve, Gompertz curve and Transcendental for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identified as follows: 1) Rural population and farmhouse population began to decrease from 1965 and hastily went down since 1975. Rural population which accounted for 36.4 percent, 35.6 percent of national population respectively in 1960 diminished about two times: 17.5 percent, 17.1 percent respectively. 2) The rapid decreasing of the rural population was caused because of the outflow of rural people to the urban regions. Of course, that was also caused from the natural decreases but the main reason was heavily affected more the former than the latter. In the outflowing course shaped from rural to the urban regions, rural people concentrated on such metropolis as Seoul, Pusan, Keanggi. But these trends were diminishing slowly. On the other hand, compared with that of the 1970's the migration to Keanggi was still increasing in the 1980's. That is, people altered the way of migration from the migration to Seoul, Pusan to the migration to the out-skirts of Seoul. 3) The seasonal fluctuation index of population migration has gone down since the June which the request of agricultural labor force increases and has turned to be greatly wanted in the March as result of decomposition time series method. As result of cyclical analysis, the cyclical patterns of migration have greatly 7 cycle. 4) As result of forecasting the rural and farmhouse population, rural and farmhouse population in the 2000 will be about 9,655(thousand/people) and 4,429(thousand/people) respectively. Thus,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probloms that rural and farmhouse population will decrease or increase by the degree. But fairly defining the agricultural into a industry that supply the food, this problem - how much our nation need the rural and farmhouse population - is greatly significant too. Therefore, the basic problems of the agricultural including the outflows of rural people are the earning differentials between rural and urban regions. And we should regard the problems of the gap of relative incomes between rural and urban regions as the main task of the agricultural policy and treat the agricultural policy in the viewpoint of developing economic equilibrium than efficiency by using actively the natural resources of the rural regions.

저자
  • 권용덕(Dept. of Agricultural Economics Coll. of Agric., Kyungpook Natl. Univ.) | Kwon, Yong Duk
  • 최규섭(Dept. of Agricultural Economics Coll. of Agric., Kyungpook Natl. Univ.) | Choi, Kyu Seo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