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Perilla속(屬) 식물(植物)이 형태적, 세포유전학적 특성 및 지방산 조성 분석

Analysis of Morphological, Biochemical, Cytogenetical Characteristics in Perilla sp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67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초록

본(本) 연구(硏究)는 들깨 국내 육성종을 포함한 수집종(蒐集種)중 20종(種)을 공시하여 이들 간의 형태적(形態的)인 주요(主要) 특성(特性), 생화학적(生化學的)인 특성(特性)과 세포유전학적(細胞遺傳學的)인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고 유전적(遺傳的) 다양성(多樣性)을 밝혀 들깨의 분류(分類)와 품종육성(品種有成)에 있어서의 중요(重要)한 기초자료(基礎資科)를 얻고자 본(本) 실험(實驗)을 수행(遂行)하여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들깨 수집종의 형태적(形態的), 생화학적(生化學的), 세포유전학적(細胞遺傳學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해 본 바,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으로 종피색은 약간의 농도차이는 있었으나 회갈색(灰褐色), 갈색(褐色), 암갈색(暗褐色)(흑색)등 3군(群)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우립중(于粒重)은 3.5g 이하인 것이 11종(種)으로 가장 많았고 4.5g 이하인 것이 4종(種) 4.5g 이상인 것이 5종(種)이었다. 또한 줄기색은 적색(赤色)과 녹색(綠色)으로 분류되었는데 적색(赤色)은 안동재래를 포함 5종(種)이었고 나머지는 녹색(綠色)이었다. 생화학적(生化學的)인 특성(特性)으로 각 수집종(蒐集種)을 대상으로 지방산(脂肪酸) 조성을 조사(調査)해 본 바, 불포화도가 가장 높은 linolenic acid는 53%(영양재래)에서 65%(의성재래)에 이르기 까지 다양(多樣)하였으며, 59-61% 범위에 속하는 종(種)이 12종(種)으로 가장 많았다. 염색체(染色體) 수(數)는 조사한 4개의 수집종(蒐集種)(안동재래, 엽실, 영광재래, 대영) 모두가 2n=38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classification of Perilla spp. based on their majo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20 local collections of perilla distributed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were summarized as follows : Sever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Seed color was classified to four groups with greshywhite, greshybrown, brown and darkbrown. The 1,000 grain weight, 11 accessions were below 3.5g, four accessions was 3.6g to 4.5g and five accessions was 4.5g to 5.07g. There was two types of stem color, red and green, 15 accessions was green and 5 accessions including Andongjaerae, Yeupsil, Ockdong, Cheongsongjaerae and Chugjaso were red color. In fatty acid composition was 60% in average. Among 20 accessions, Euseongjaerae showed the highest content(65%) and Yeongyangjaerae the lowest(54%) linolenic acid content. In the cytogenetical studies on the four accessions including Andong, Yeupsil, Yeongkwang and Daeyeong, the number of chromosomes were 2n=38.

저자
  • 김달웅(Department of Agronom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Kim, Dal Ung
  • 김재현(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Kim, Jae Hyun
  • 권일찬(Yeongnam Crop Experiment Station, RDA) | Kweon, Il Chan
  • 최홍집(Department of Agronom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Choi, Hong Ji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