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차광(遮光)이 나리속(屬) 식물(植物)의 생육(生育) 및 주아형성(珠芽形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hading on the Growth and Bulbil Formation of Lilium sp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67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초록

나리속(屬) 식물(植物)에 있어서 차광정도(遮光程度)에 따른 종(種) 혹은 품종간(品種間)의 광반응(光反應)의 차이(差異)를 구명(究明)하여 약광(弱光)에 둔감(鈍感)한 식물(植物)의 선발(選拔)과 차광(遮光)이 주아형성(珠芽形成)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아보고자 자연광처리(自然光處理)(대조품(對照品)) 및 약 30%, 50%, 75%, 90%의 차광(遮光) 조건하에서 실험하여 얻은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개화율(開花率)에 미치는 차광(遮光)처리의 효과는 'Roma'를 제외한 공시품종 모두 75% 차광(遮光)처리까지는 차광(遮光)정도가 심할수록 증가하는 경향(傾向)이었으나 95% 정도의 극심한 차광(遮光)처리구에서는 공시 품종 모두 매우 낮은 개화율을 보였다. 화수(花數)에 미치는 차광(遮光)처리의 효과도 이와 동일한 경향(傾向)이었다. 개화소요일수(開花所要日數)에 미치는 차광(遮光)처리의 영향을 보면 공시품종 모두 차광(遮光)이 심할수록 개화소요일수가 길어지는 경향(傾向)이었으나 'Roma'와 Tiger lily가 개체로 둔감(鈍感)하여 대조구와 7일의 차이를 보인 반면, 다른 품종은 12-13일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공시품종 모두 본엽수(本葉數)에는 차광(遮光)이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Tiger lily와 'Connecticut king'에서는 차광율(遮光率)이 높아질수록 본엽수가 감소(減少)되었다. 포엽수(苞葉數)에 있어서는 공시 품종 모두 차광율(遮光率)이 높아질수록 감소(減少)되는 경향(京鄕)이었다. 초장(草長)과 절간(節間)은 차광율(遮光率)이 높아질수록 길어지는 경향(傾向)이었는데 'Georgia'가 가장 높은 신장율(伸長率)을 나타냈다. 주아(珠芽)형성과 생육 정도에 미치는 차광(遮光)의 영향을 보면 'Enchantment'와 Tiger lily는 차광율(遮光率)이 높아질수록 전체(全體) 주아수(珠芽數)와 주아중(珠芽重)이 감소(減少)되었다. 그러나 'Enchantment'의 경우 포엽부위(苞葉部位)에 발생된 주아(珠芽)의 중량(重量)이 타 부위에서 형성된 주아(珠芽)보다 약간 무거운 경향(傾向)을 보였다. 'Connecticut king'과 'Roma'의 주아형성(珠芽形成)은 차광(遮光) 75%와 90%처리구에서 재배한 식물의 줄기 상부(上部)에서만 관찰(觀察)되었다. 주아(珠芽)의 인편엽(隣片葉) 출엽율(出葉率)에 있어서는 'Enchantment'와 'Connecticut king'에서만 관찰(觀察)되었고, 특히 포엽(苞葉)부위에서 형성된 주아(珠芽)에서만 관찰되었는데 차광(遮光)정도가 강(强)할수록 출엽율(出葉率)이 양호(良好)하였다.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hading on the plant growth, flowering and the bulbil formation of Lilium species. As the shading treatment, we used full sunlight and various light intensity, 30%, 50%, 75%, 90% compared to full sunlight with shading net.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The flowering rate and flower number of 'Roma' and 'Georgia' were not effected by various shading treatment. Days to flower in 'Roma' and Tiger lily showed similiar tendency like this. One of the shading effect was stem elongation of 'Connecticut king' markedly reduced compared with other cultivars in flowering rate and flower number. Leaf number of all cultivars was not consistent in tendency. But leaf number of Tiger lily and 'Connecticut king' reduced. The tendency of other experimented Lilium species weren't consistent. Bract leaf number reduced gradually as shading rate increased, plant height and internode length increased. Especially the height of 'Georgia' showed eminant increase compared with others. Total number and weight of bulbil of 'Enchantment' and Tiger lily reduced as shading rate increased.. But bulbil weight from bract part of 'Enchantment' in creased. The bulbils of 'Connecticut King' and 'Roma' appeared only on upper stem parts when treated serious shaded conditions, 75% and 90%. Only 'Connecticut King' and 'Enchantment' showed leaf emergence from bulbil among the L. elegans species.

저자
  • 최상태(Dept. of Horticul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Choi, Sang Tai
  • 박인환(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Park, In Hwan
  • 정영문(Dept. of Horticul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Choung, Young Moon
  • 한교필(Dept. of H) | Han, Kyo Ph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