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콩 분말을 이용한 청국장 제조 기술 개발

Processing of Cheonggukjang using soybean powd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69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초록

1. 원료 형태별 청국장의 발효시간에 따른 건물중은 콩, 환, 분말의 모든 원료형태에서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건물의 중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원료 형태별 청국장의 발효시간에 따른 진의 길이 변화를 측정한 결과, 모든 원료 형태에서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진의 길이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48시간 이후에는 그 증가치가 완만함을 보였다. 태광콩을 콩의 형태로 발효하였을 때 진의 생성이 가장 많았고, 분말을 1cm의 두께로 발효하였을때 진이 거의 생성되지 않았다. 3. 원료 형태별 청국장의 발효시간에 따른 생균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콩 형태로 발효시켰을 경우 모든 품종에서 비슷한 수준의 생균수가 측정되었다. 환 형태로 발효시켰을 경우 12시간 이후에 생균수가 급격히 증가하다가 24시간 이후 증가치가 완만해졌다. 분말형태로 발효시켰을 경우 시간에 따라 경시적으로 증가하였다. 4. 원료 형태별 청국장의 발효시간에 따른 색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모든 원료 형태에서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명도는 흑색에 가까워졌고, 색상과 채도의 경우는 각각 적색과 황색을 띠는 쪽으로 변화하였다. 5. 원료 형태별 청국장의 발효시간에 따른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모든 원료 형태에서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알칼리성으로 변화하였다. 6. 원료 형태별 청국장의 발효시간에 따른 isoflavone 함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발효 후 48시간까지 isoflavone의 함량이 증가하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7. 청국장을 건조온도를 달리하여 균의 재생능력을 실험해본 결과 동결건조를 하였을 때 가장 많은 수의 균이 존재하였다. 8. 분말 또는 분말 (환)의 형태로 청국장을 만들 경우 종자 이용 시 보다 청국장의 품질이 떨어졌으며 분말 (환)을 이용하여 경제적인 청국장 제조를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고려되어 진다.

The possibility of making Cheongukjang by the use of soy-powder and pill type re-made from soy-powder was investigated. Some of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Regardless of three different types for the source material of Cheonggukjang, soybean seed, soy-power, and pill, the dry weight of fermented Cheonggukjang showed continuously decreasing trends along with the time of fermentation applied. 2. In all type of source materials, the length of viscous substance during fermentation was increased along with the time of fermentation, and the rate of elongation was much reduced after 48hr of fermentation. Out of four soybean varieties tested, Taekwangkong produced longest viscous substance fermented in the type of soybean seed. No viscous substance was formed when the depth of soy-powder in the fermentation box was shallow, one centimeter. 3. Not much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number of microbes, Bacillus licheniformis B1, in all soybean varieties. The number was proportionally increased in the type of powder but it increased rapidly from 12 hour to 24 hour with low rate of increase thereafter in the pill type. 4. Along with the time of fermentation in all types, the color of Cheonggukjang changed from yellow to dull. At the same time, the tone of color and chroma changed into reddish and yellow, respectively. 5. Along with the time of fermentation in all types, pH of Cheonggukjang changed in alkali. 6. Along with the time of fermentation, the content of isoflavone in Cheonggukjang increased by 48hr but decreased thereafter. 7. In general, the quality of Cheonggukjang fermented in types of soy-powder and pill re-made from soy-powder was lower than that of soybean seed. More study is seemed to be needed to produce high quality Cheonggukjang by the use of soy-power.

저자
  • 정연신(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Jeong, Yeon-Shin
  • Krishna Hari Dhakal(Division of Plant Bio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Dhakal, Krishna Hari
  • 황영현(Division of Plant Biosciences, Kyungpook Nationa) | Hwang, Young-H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