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산소조건 및 Catalase가 돼지난포란의 체외성숙과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xygen Concentrations with Catalase on In Vitro Maturation of Porcine Follicular Oocytes and In Vitro Development of Porcine IVM/IVF Embryo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6182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동물번식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nimal Reproduction)
초록

본 연구는 돼지난포란의 체외배양액에 황화합물인 Catalase 첨가 및 저분압산소조건 하에서 첨가배양함으로서 돼지난포란의 체외성숙과 체외배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돼지난포란을 체외성숙배양액인 0.9mM cy-steine이 함유된 NCSU-23 배양액에 CAT를 각각 0, 100, 500 및 1000uni1s/m1 첨가하여 체외성숙 및 수정을 실시한 결과, 모든 평가요소에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어 체외수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P>0.05). 2. 체외수정을 실시한 후, 배발달배양액인 NCSU-23에 7일 동안 배양한 결과, 배반포형성률과 총세포수에 있어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어 체외성숙시 CAT 첨가배양은 배발달에 좋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다(P>0.05). 3. 배발달배양액인 NCSU-23에 CAT를 각각 0, 100, 500 및 1000units/m1을 첨가하고 5 및 20% 산소농도하에서 7일간 배양을 실시한 결과, 산소농도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CAT 첨가에 따른 배반포형성률과 총세포수에 있어서도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P>0.05). 결론적으로 돼지난포란을 이용하여 체외수정란을 생산할 때, NCSU-23 배양액에 catalase의 첨가 및 산소조건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catalase (CAT) on in vitro maturation (IVM) of porcine follicular oocytes and oxygen concentration with CAT on in vitro development (IVD) of porcine IVM/IVF embryo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 The rates of nuclear maturation, penetrated oocytes, pronucleus formation rates, polyspermic oocytes and mean numbers of the penetrated sperm were significantly lower in oocytes matured with 100, 500 and 1,000 units/ml CAT than those of central groups (P>0.05). 2. The rates of blastocyst formation and total cell numbers of blastocyst at day 7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AT treatment groups than those of the central groups (P>0.05). 3.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lastocyst development and total cell numbers of blastocyst on in vitro culture of NCSU-23 media with 0, 100, 500 and 1000 units/ml CAT under the 5% and 20% O₂ concentrat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ddition of CAT was not helpful for porcine oocyte maturation and further development, also the rates of blastocyst formation and total cell numbers of blastocyst at day 7 of porcine IVM/IVF embryo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NCSU-23 culture medium under the 5% and 20% O₂ concentrations.

저자
  • 한만희(축산기술연구소)
  • 이경본(충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 천행수(충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 박병권(공주대학교 영상보건대학 특수동물학과)
  • 이경광(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이규승(충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 서길웅(충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