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참깨ㆍ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f. vasinfectum)의 培養濾液이 寄主植物(참깨, 목화)과 非寄主食物(밀, 벼)의 種子 發芽에 미치는 影響 KCI 등재

Effects of Culture fitrates of Fusarium oxysporum f. vasinfetium upon the germination of seeds of host plants (Sesame and Cotton)and noon-host (Wheat and ri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861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1. 시험은 1961과 1962년의 2개년에 걸쳐 대관령에서 미국, 일본, 독일계와 한국재래품종 53품종을 공시하여 감자역병에 대한 저항성을 조사할 것이다. 2. 본시험은 자연발병하에서 조사하였으며 항저성의 차이를 다섯 계급으로 구분하였는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면역성품종...Kennebec, Isola, Cherokee, Merrimack, Yoraku, Lisili, Cosima. 고도저항성품종...Antze, Ragis Isola, Delus, Hessenkrone, Plymouth, Sebago, Pungo, Sieglinde, Anco, Essex. 저항성품종...Tawa, B-605-10, Sequoia, Grata, Concordia, Onaway, Noring 1, Nisego. 이병성품종...Nordak, Pontiac, Benimaru, Early gem, Chippewa, Chitose, Ohjiro, Red Bake, Norland, Katahdin. 고도이병성품종...Russet Burbunk, May Queen, Earlaine, Irish Cobbler, Feldeslohn, Red Warba, Chisago, Osseo, Paunee, Warba, Norgleam, Red Beauty, Red, Danshaku, Namchak(Native variety). 3. 만생종품종이 조생종보다 저항성이었다. 4. 일본계와 미국계도입품종보자 독일계도입품종이 저항성이 강한 편이었다.

키워드
저자
  • 崔彰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