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 줄무늬잎마름병 바이러스의 기주범위에 관한 연구 KCI 등재

Studies on the Host Range of Rice Stripe Viru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870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1. 벼줄무늬 잎마름병에 의한 기주범위를 알기위하여 화곡류 사료작물, 잡초등을 대상으로 온실에서 보독충을 접종한 결과 30종의 공시식물중 9종이 발병되지 않았으며 나머지 21종은 발병되었다. 2. 발병된 식물중 화본과에 속하지 않으나 논과 들에 자생하고 있는 방동사니대가리와 넓은 잎개수염 방동사니 등은 새로운 기주이다. 특히 방동사니대가리는 습기있는 포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서 발병율이 높았다. 3. 각종작물에 있어서 애멸구의 서식충수는 대체로 24시간후보다 48시간후에 적은 편이었다.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know the host range of the rice stripe virus as a basis of the disease control. 1. In order to investigate the host range of the rice stripe virus 30 species including gramineaceae and forage crop and weeds were inoculated with viruliferous Laodelphax sriatellus Fallen. As a result, 21 out of 30 species showed typical symptoms. 2. Cyperus amuricus Maximowicz var. laxus., Pycreus sanguinolentus Nees. and Eriocaulon robustius Makino, not belonging to gramineaceae were known to be new host plants of rice stripe virus. The highest infection occurred on Pycreus sanguinolentus grown widly in the wet paddy fold. 3. The number of vectors inoculated on the plants was decreased after 48 hours than that of 24 hours.

키워드
저자
  • 정봉조
  • 이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