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에서의 Fusarium균에 의한 보리의 토양전염성병 KCI 등재

Soil-borne Diseases of Barley in Barley in Korea Caused by Fusarium sp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88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Fusarium spp가 1976년 포장에서 채집한 벼밀 보리에서 분리되었다. 병원성이 있는 것은 Fuarium(Calonectria) nivale, F.(Gibberella) moniliforme와 F.(Gibberella) roseum 'Graminearum'과 'Avenaceum'이었다. 부생균가운데 F.(Nectria) episphaeria가 분리되었다. F. nivale와 F. episphaeria의 완전시대인 Calonectria Nectria가 발견되었고 이것들은 한국에서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분리된 Fusaria는 벼에서 가 F. moniliforme 이고 보리, 밀에서가 F. roseum 'Graminearum 이었다. 자낭각은 실험실 조건하에서 형성되었고 F. moniliforme는 밀이삭, 보리씨에 접종한 결과 병원성이 나타났다.

Fusarium spp. were isolated from field grown rice, wheat and barley in 1976. The pathogens isolated included Fusarium (Calonectria) nivale, F. (Gibberella) moniliforme and F. (Gibberella) roseum 'Graminearum' and 'Avenaceum'. Among the saprophytes F. (Nectria) episphaeria was isolated. In each of these isolated both the Fusarium and perfect stages were found. F. nivale, and F. episphaeria with there Calonectria, and Nectria stages do not seem to have been recorded previously in Korea. Of the Fusaria isolated, from rice were F. moniliforme, and from wheat and barley were F. roseum 'Graminearum'. Perithecia also were produced under laboratory conditions. F. moniiforme was recovered wheat heads and also from barley seed.

키워드
저자
  • 성재모
  • 정봉구
  • 정봉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