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CI 등재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 16 No. 2 (1977년 6월) 9

1.
197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요 벼 해충의 경제적 피해 수준을 결정하고 약제살포 회수의 감소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원 등 4개 지역의 농가 포장 조건하에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무살포구 관행방제구 및 2.3의 관행 방제를 수정한 처리구를 두었으며, 해충 밀도 및 병의 발생에 대해서도 상세한 기록을 행하였다. I) 이화명충의 제1세대가 활발한 중부지방의 수원과 이천의 경우 수회 약제 살포구와 무살포구 사이의 수량의 차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평균 수량은 높아서 5.2-7.6t/ha였다. ii) 일본형 품종이나 다수성 품종인 통일 어느 품종에서도 수량의 감소를 인정할 수 없었던 고로 피해경율이 까지 상승한 제1세대 유충의 가해행위는 경제적 피해 수준 이하였다. iii) 유충에 의한 피해는 피해경이 대체되는 보상생장에 의해서 호전된다는 증거가 얻어졌다. 이화명충의 제2세대 개체군은 언제나 낮았다. iv) 수원과 이천에서 얻어진 결과를 볼 때 현재의 관행 약제 살포 회수 6-7회는 합당하지 않다. v) 남부지방인 이리의 경우 애멸구에 의한 줄무늬잎 마름병이 초기에 대발생하여 이로 인해 실질적인 수량의 감소가 일어났다. 이앙 직후에 애멸구의 평균 밀도는 주당 1-2마리였다. 이화명충도 이러한 수량의 감소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vi) 이리에서 애멸구에 대해 수회의 약제 살포를 행하였으나 감수성 품종에서 급속하게 번져가는 줄무늬 잎마름병을 막을 수 없었으며, 그 주변 포장의 저항성 품종인 통일은 비교적 영향을 받지 않았다. vii) 끝동매미충, 벼멸구, 횐등멸구 및 벼잎굴파리는 중요성이 적은 해충이다.실효를 거둘 수 없는 반면 신문지 봉지는 피해율을 나타냈으나 숙기가 약간 지연되는 외에는 하등의 지장이 없었다. 5) 백색 전구는 비래 나방수가 10.8마리로 청색 0.95마리, 황색 전구 0.22마리에 비하여 많이 비래하였으나 방제효과 면에서는 기대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본다의 밀도를 조사였다. 1. Carbofuran, Omethoate 액상근부처리에 비하여 캡슐 근부처리는 이화명충, 애멸구방제효과가 월등히 좋았고 Omethoate보다는 Carbofuran의 방제효과가 좋았다. 2. Carbofuran 1회 액상근부처리는 Carbofuran 2회 수면시용과 대등한 수도해충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3. A포장에서 보다 B포장에서 이화명충 방제효과가 좋았는데 그것은 B포장에서의 약제처리시기가 이화명충 방제적기에 해당하기 때문인 것 같다. 4. Carbofuran 1회 근부처리는 수도 전 생육기간에 걸친 수도해충방제가 가능한 것으로 보였다.이었다. 따라서 양자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는데 도움이 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기간 중 필자의 주장을 뒷받침 해 주는 중요한 새로운 정보를 입수할 수 있었다. 즉 1946년에 흰둥멸구의 대발생으로 충남, 전남지방에 피해가 심했으며 그중 피해액이 밝혀진 곳은 라주군에서 16만석, 서산군에서 19만석이었다. (당시 농사시험장 곤충담당관 이봉우씨 담, 현재선 교수 전) 1910년 이후의 우리나라에서의 벼멸구 생기록을 보면 항상 흰등멸구와 함께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의 예찰등성적을 보아도 함께 나타나 있고, 해에 따라 1975년도와 같이 벼멸구가 대발생하는 수도 있
4,000원
2.
197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63년부터 중부지방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맥류의 바이러스병을 동정하기 위하여 전자현미경에 의한 바이러스입자 관찰과 매개충을 이용한 전염시험 및 기주범위조사를 한 결과 정상입자의 평균 크기는 길이가 300-370nm였고 폭이 57-60nm였다. 매개충은 애멸구 Laodelphax striatellus(Fallen)로서 충체내 잠복기간은 7-19일이였고 대부분 10일간이었다. Host range는 보리, 옥수수, 밀, Rye맥, 구리 등으로 옥수수외의 기주식물들은 포장에서도 발병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중부지방에서 발생되고 있는 맥류 바이러스병은 대부분이 북지모자익바이러스병으로 매년 내외의 감염율을 보여주고 있으며 춘파맥에서는 감염 될 때도 있다.
4,000원
3.
197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는 turnip mosaic 대한 성질과 이의 충매전염에 대하여 몇가지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집된 TuMV의 물리적성질은 기존성적과 일치하였고, 시무대근의 이병율이 가장 높았다. 2) TuMV의 매개곤충은 Myzus persicae, Lipaphis erysimi, Aphis gossypii, Aphis craccivora의 4종이었다. 3) TuMV의 진딧물에 의한 전염에서 가장 적당한 처리시간은 Myzus persicae는 1시간절식, 3분흡즙, 1분접종이었으며, Lipaphis erysimi는 2시간절식, 5분흡즙, 3분접종이었고, Aphis gossypii는 1시간절식 3분흡즙, 3분접종이었다. 4) 진딧물의 Probing 횟수는 2시간 절식시킨 진딧물과 절식시키지 않는 것에 큰 차이가 없었고, 절식시킨 진딧물의 전매체가 4분경과시부터 섭식하기 시작하였다. 5) 복숭아 혹 진딧물을 1-2분 간격으로 인위적으로 옮겨주었을 때, 2시간 절식시킨 진딧물의 Probing 휫수가 절식시키지 않은 것의 Probing횟수보다 훨씬 많았고, 2시간 절식시킨 진딧물이 주로 3분이내의 획득흡즙시간후 4분이내에 Virus를 매개하였다.
4,000원
4.
197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자바이러스X(PVX)의 진단과 동정을 위하여 PVX를 순수분리 순화하여 항혈청을 제조하였다. PVX는 지표식물과 전자현미경으로 순수분리하여 도마도애서 증식한 개량된 방법으로 순화하었다. 순화된 PVX의 순화도는 0.59mg/ml이었으며, 이를 1-2ml씩 7일 간격으로 5회 토끼에 주사하였다. 마지막 주사후 10일에 채혈하여 항혈청을 분리하였다. 제조된 항혈청의 력가는 미량침강법에서 1/1024이었고. 한천내확산법에서도 판명한 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다.
3,000원
5.
197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불개미의 다형현상에 있어서 일개미의 몸의 크기와 임무수행과의 관계, 유시웅의의 시맥상의 변이, 성비 및 소의 크기에 따르는 일개미번데기의 형별발생과 일개미집단의 형별구성등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개미는 3형으로 분화되어 있으며, 소형은 주로 소의 내부에 동료집단의 보호와 외부에서 진딧물에 방문하는 임무를, 그리고 대형과 중간형은 주로 외부에서 식이운반, 조소 및 동료집단의 보호임무를 수행한다. 그러나 소형이 진딧물에 방문하는 임무는 반드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계절에 따라 다소 변동이 있는 것 같다.
4,000원
6.
197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usarium spp가 1976년 포장에서 채집한 벼밀 보리에서 분리되었다. 병원성이 있는 것은 Fuarium(Calonectria) nivale, F.(Gibberella) moniliforme와 F.(Gibberella) roseum 'Graminearum'과 'Avenaceum'이었다. 부생균가운데 F.(Nectria) episphaeria가 분리되었다. F. nivale와 F. episphaeria의 완전시대인 Calonectria Nectria가 발견되었고 이것들은 한국에서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분리된 Fusaria는 벼에서 가 F. moniliforme 이고 보리, 밀에서가 F. roseum 'Graminearum 이었다. 자낭각은 실험실 조건하에서 형성되었고 F. moniliforme는 밀이삭, 보리씨에 접종한 결과 병원성이 나타났다.
4,000원
7.
197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금까지 우리나라에 발생되지 않았던 새로운 수도 바이러스병인 벼 흑조위축병에 대하여 실시한 확인 및 동정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FALLEN)가 벼 흑조위축병을 매개하였다. 2) 바이러스의 입자는 구형이었으며 직경은 약60nm이었다. 3) 이 병은 령, 호남지방 및 충청북도에서 발생하였다. 4) 이앙시기가 빠를수록, 바맥일수록 이병주율이 높았다.
4,000원
8.
197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76년 6월부터 10월 사이에 전남 곡성군 서계리에 개간 재배되고 있는 과수지대를 중심으로 흡수나방 방제법의 일환으로 방충망, 약제, 유인시험, 봉지우기, 유아증설치로 시험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방충망내외 피해율을 보면 자두에 있어서는 망내 망외가 대 , 복숭아에 있어서는 망내 망외가 , 대 , 포도에 있어서는 망내와 망외가 대 였다. 2) 약제시험결과 과실피해율을 보면 Deoclean은 Thiomenton , DDVP , Metasystox , Demeton , 탁주+비산연 , Padan 로 피해율이 높았다. 3) 유인제시험 결과를 보면 탁주+흑설탕구가 416마리의 나방을, 다음은 탁주+식초구가 307마리를 채집한데 반하여 혼합액은 141마리로 사충수가 각각 적었다. 평균 피해율을 보면 탁주+꿀구는 , 탁주+식소구는 인데 반하여 탁주 단용구는 의 피해율을 나타냈다. 4) 봉지씌우기는 포리에칠렌 필림 계통의 봉지는 피해는 다소 면할 수 있으나 숙기지연과 부패병으로 실효를 거둘 수 없는 반면 신문지 봉지는 피해율을 나타냈으나 숙기가 약간 지연되는 외에는 하등의 지장이 없었다. 5) 백색 전구는 비래 나방수가 10.8마리로 청색 0.95마리, 황색 전구 0.22마리에 비하여 많이 비래하였으나 방제효과 면에서는 기대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본다
4,000원
9.
197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합 (Lilium longiflorum Thumb)의 정부로부터 하부로 내려가면서 잎이 황갈색으로 변하다가 마르며 마른잎은 떨어지지 않고 줄기에 그대로 붙어있으면서 결국 식물이 고사하게 되는 것은 Aphelenchoides ritzemabosi에 의한 피해인 것을 발견했으며 백합이 본선충의 기주식물로 밝혀진 것은 처음이다. 그리고 본선충 형태적 특징을 기술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