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실험은 나이가 다른 잣나무조림지에서의 토중 톡톡이 군집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조림후 1~2년된 지역에서 11~12년된 지역을 1986년 7월부터 1987년 6월까지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적인 톡톡이군집?조는 각종에 따라 심한 집중분포현상을 나타내고 있고, 동일종도 지역에 따라 다른 분포양식을 나타낸다. 조림연도별 군집구조는 조림연도가 오랠수록 종다양도가 높아지고, 밀도와 종자도 안정되어 있었다. 조림후 2년이 지난 1985년조림지에서는 동경사면인 I구가 서면사면인 II구보다 종다양도가 높았다. 계절적 군집구조는 온도가 높은 8월과 유기물함량이 가장 많은 10월에 밀도와 종류가 높은데 이는 톡톡이군의 활동이 온도, 습도, 유기물량에 형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H.J. Andrews Expt. Forest의 토양절지동물의 분포상을 조사한 결과 Coleoptera가 14과 41종으로 우점군임이 밝혀졌으며, 토양응애는 6과 7종의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Typhlodromus, Gymnodamaeus, Phauloppia 및 Scleroribates 등은 계절변동 없이 발생하고 있음이 알려져 구북구계의 발생생태와 차이가 있었다. 기타 곤충군의 발생은 Collembola 4과 16종, Psocoptera 4과 4종, 식균성 총채벌레 3과 16종, Hemiptera 1과 1종, Diptera 3과 6종, Hymenoptera 1과 10종이었다. 산림토양의 절지동물은 산림생산단계의 1차 분해자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부식절이 풍부한 토양조건은 무식생구에 비하여 종다양성은 낮으나 안전도가 높게 나타나 재생산의 주요인자로 해석된다.
매미나방알좀벌, Ooencyrtus kuvanae (Hymenoptera : Encyrtidae), 이 기주를 발견한 후 산란을 끝내고 기주를 떠날 때까지 11단계의 연속행동과정, 그리고 자기몸청소, 휴식 등과 같은 부수적인 행동이나 산란관에 의한 상처로부터 나오는 기주체액을 먹는 습성 등이 조사되었다. 기생벌에 기주난이 연속적으로 주어졌을 때는 처음 산란을 마친 매미나방알좀벌은 활발히 주변을 움직이며 다음 산란대상이 되는 기주에 보다 빨리 접근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또한 기주접촉단계에 소요하는 시간이 첫 번째 난에서 보다 두 번째 세 번째난에서 단축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어 산란경험이 기주발견과 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998년 6월부터 9월까지 4개월간 수초자생 논에서 서식하는 말라리아 매개모기(Anopheles sinensis)를 대상으로 포식천적 송사리(Aplocheilus latipes)와 식식성 어류(Tilapia mossambicus niloticus)의 병합적 처리에 의한 생물학적 방제효과를 경기도 수원소재 대학 부속농장 실험포장에서 야외 조사하였다. 포식천적어 송사리는 논 수면에 방사율로, 식식성 어류 Ti-lapia는 비율로 병합적 처리한 결과, 처리 일주일후에 말라리아 매개모기는 대조군에 비해 70.8%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고 4주와 5주후에 방제율은 점차 증가하여 각각 73.5%와 80.2%에 달하였으며, 5주후에는 말라리아 매개모기와 집모기(Culex pipiens)를 합하여 80~82%의 모기개체군 밀도의 억제효과를 계속 유지하였다. 송사리만의 비율로 단일처리한 논에서는, 4주후 말라리아 매개모기의 방제효과는 평균 51.4~56.5%로 비교적 저조하게 나타났으며, 모기 유충의 개체군 밀도를 억제하기 위한 미생물제제 B.t.i.(R153.78)을 1 kg/ha의 농도로 병합처리하여 그 방제효과를 비교 고찰하였다.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感受性系統에 대하여 有機燐系 殺婢劑인 ethion, 有機濾素系인 dicofol과 有機朱錫系인 cyhexatin 및 合成pyrethroid系인 biphenthrin 등으로 交互累代潔凉를 實施하여 각 殺婢劑의 抵抗性發遠 差異와 複合抵抗性의 有努 및 程度를 試驗.調宜하었다. Ethion/dicofol(13-13世代) 洵流系統은 ethion에 대하여 49.4浩, diceo떼 대하여 18.1倍의 抵抗營,이, othiohjcyhexatin(9-9世代) 洵淪系統은 ethion에 대해서 28.1倍, cyhexatin에 대해서 5借의 抵抗性이, ethionjbiphenthrin(10-10世代) 海治系統은 ethion에 대하여 39,8倍, thrin 에 대하여 19.2倍의 抵抗性이, ficofoljcyhexatin(9-9世代) 海流系統은 dicofo떼 대해서 11.3倍,cyhexatin에 대해서 4.9倍의 抵抗性이, ficofoljbiphenthrin(12-12世代) 海流系統은 diceof 에 대하여 11.2借, biphenthrin에 대하여 9.4倍의 氣抗性이, oyhexatinjbiphenthrin(9-9代代) 海流系統은 cyhexatin에 대하여 3.7倍, biphenthrin에 대해서 7.7倍의 抵抗性이 發達하여 海流親婢劑의 組合에 따라 抵抗性發連 水準의 差異가 있었다. Ethion/dicofol 抵抗性系統은 洵流에 駱與하지 않은 biphenthrin에 대하여 率度의 複合抵抗性을 나타내었고, jcyhexatin, ethionjbiphenthrin 抵枕性系統들은 각각 biphenthrin과 dicofe떼 대해서 비교적 낮은 水準의 複음抵抗性을 보펄으며, Oicofaljcyhexatin, Oicofoljbiphenthr운 그리고 cyh訓stinjbiphenthrin 海社系統들은 모두 ethion에 대하여 각각 高虜의 複合抵抗性을 나타내었다.
새로운 문제해충을 찾아내려면 작물별로 전국적인 survey가 이루어져야 한다. 인력과 경비면 그리고 수행상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경작자나 그 지역의 농촌지도소를 통하여 문의.의뢰된 해충들을 살펴보면 그 해의 대체적인 해충발생상황을 알아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농업기술연구소 곤충과에는 1988년 40건의 민원과 의뢰사항이 접수.처리되었다(표 1). 그중 해충동정 및 방제법에 대한 것이 31건, 현지발생행동조사 의뢰 3건, 해충관계자료에 대한 문의가 3건 등이었다. 접수된 민원중에서 일부를 제외하고 각 해충의 발생상황을 작물별로 기술하여 기록을 남김으로서 금후 연구를 의한 기초 자료로 제공코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