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CI 등재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 37 No. 1 (1998년 3월) 12

1.
199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한지역의 노랑굴파리아과 정리결과 미기록종 22종(Aphanotrigonum occultivirga-tum, Calamoncosis duinensis, Conioscinella gallarum, Dicraeus stackelberigi, Elachiprera biculiminata, Elachiptera tuberculifera,Gampsocera sp., Meijerlla inaequalis, Psilacrum sp., Rhodesiella nitidifrons, Rhopaopterum anthracinum, Scoliophthalmus japonensis, Siphunculina sharmani, Speccafrons pallidiventris, Togeciphus katoi, Chloropsina sp., Cryptonevra diadema, Cryptonevra inqilina, Lasiosina orientallis, Meromyza\ulcornersororcula, Paeudopachychaeta so. and Steleocerellus ensifer)을 포함한 34종을 보고한다. 지금까지 보고된 종을 포함하면 한국산 노랑굴파리아과는 총 45종이 된다.
4,000원
2.
199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금까지 한국에서는 바늘선충아과에 Longidorus sylphus 1종만 알려졌으나 금번 한국산 창선충목의 계통분류학적 연구중, L. litchii, L. himalayensis, Paralongidorus sali 등 3종의 바늘선충이 새로이 발견되어 그 형태적 특징을 기술 도시하였다.
4,000원
3.
199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 bner))의 유전지표를 결정하기 위해 17종 동위효소의 좌위수, 대립유전자빈도 및 각 효소의 4차구조가 분석되었다. 총 분석된 좌우수는 30개였으며, 이중 70.0%가 다형유전좌위를 보였다. 좌위당 유효대립유전자수는 1.72개였고 평균이형접합율()은 32.8%로 추정되었다. 조사된 집단의 동계교배효과는 (F)는 21.0%이었다.
3,000원
4.
199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NA의 제한요소단편 다형현상(RFLP)이 유전변이 연구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 bner)) 미토콘드리아 DNA(mtDNA)의 RFLP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게놈 크기 측정 및 PCR primer들을 선발하였다. 파밤나방의 mtDNA 전체크기는 약 16kb였다. 대부분 곤충 mtDNA에 적합하게 구성된 (Simon et al., 1994)29개 promer들중 21개가 파밤나방의 mtDNA증폭에 적합했다. 이들 primer들을 이용하여 여러 유전자 영역(CO-I, CO-II, Cyt-B, ND-1, 12S rRNA, 16S rRNA 및 일부 tRNA)의 일분 또는 전체를 포함하는 유전자 절편을 증폭시켰다. 일반적으로 다형을 보이는 primer조합을 중심으로 4염기 제한부위를 인식하는 8종의 제한 효소를 통해 분석된 PCR-RFLP는 서로 다은 지역(안동, 경산, 순천) 집단들간에 제한부위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으나 일부 영역에서는 길이 차이를 보여 유용한 유전지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4,000원
5.
199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초에 채집하여 Blackman(1987)의 기주선호성과 형태적인 특징을 이용하여 분류한 방법에 의해 두가지 타입을 (M. persicae Sulzer와 M. nicotianae Blackman)으로 구분된 무시성충 복숭아 혹진딧물 8 클론의 유전적 특성을 분석을 위하여 RAPD-PCR방법을 이용하였다. 사용된 random primer(10-mer) 100개 중에서 20개의 primer을 선발하였는데 GC content가 70, 80, 90%인 primer에서 각각 26.9%, 50.5% 및 66.^%로 GC content가 높아질수록 PCR결과 band의 양상이 좋게 나타났다. simple matching coefficient를 구하여 matrix를 작성해 본 결과 유사계수(similarity coefficient)의 범위는 0.414~0.808사이이었다. 복숭아혹진딧물 clone 간에 유사계수가 가장 높은 것은 PG2와 PG3 클론으로 0.808로 나타났으며, DBR클론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PG2 클론간의 유사계수를 0.414로 유사도가 가장 낮았다. 유사계수를 이용하여 8가지 클론의 진딧물들에 대한 유전적 근연관RP를 살펴보면 M. persicae typer에 속하는 PG1, PG2, PG3 클론들과 M. nicotianae type에 속하는 RED 클론이 유사도 0.643에서 한그룹, M. nicotianae type에 속하는 GR1, GR2, BRN크론들이 유사도 0.636에서 유연관계가 있었으며 그리고 M. persicae type에 the하는 DBR클론 등 세 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따라서 연초에서 발생한 복숭아혹진딧물 형태형 2종 (M. persicae와 M. nicotianae)에 대하여 RAPD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해본 결과 뚜렷한 유전적 유연관계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4,000원
6.
199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부전나비과 40종 2,850여 개체를 재료로 광학현미경으로 발향린의 유무 및 분포를 확인하였다. 이중 발향린이 확인, 관찰된 8종을 대상으로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미세구조를 비교하였다. 발향린이 관찰된 종은 Pseudozizera maha(K.), Celasrtina argiolus(L.), Everes argiades (P.), Lycaeides argyronmon(B.), Zizina otis(F.), Maculinea arionides(S.), M. teleius(B.), Niphanda fusca(B. et G.)등 8종이었다. 암컷에서는 발향린이 관찰되지 않았고 수컷에서만 확인되었으며, 앞날개의 표면과 이면, 그리고 뒷날개의 표면에서 관찰되었다. 발향린은 주로 중맥, 주맥, 둔맥에 분포하였으며 종별로 형태적 차이를 보였다. 확인, 관찰된 8종의 발향린은 잎새, 자루병반만을 가지는 단순한 모양을 나타내었다. Niphanda fusca는 잎새모양과 자루병반의 위치 등 많은 차이점이 확인되었으며, Pseudozizeera maha, Everes argiades등 2종에서는 두가지 형태의 발향린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관찰된 8종은 모두 Polymmatina아과에 속하였다. 이중 Niphanda fusca는 Niphandini족에 속하며 나머지는 Polymmatini족에 속하였다.
4,000원
7.
199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진달래방패벌레(노린재목: 방패벌레과)의 발생소장을 1994년 전라북도 완주군지역에 식재된 철쭉포장에서 조사하였다. 진달래방패벌레는 전북지역에서 년 최고발생세대수는 4세대였고, 각 세대의 성충발생최성기는 5월 하순, 7월 중순, 8월 하순, 그리고 10월 중순으로 나타났다. 진달래방패벌레는 앞뒷면의 주맥 근처조직에서 알로 월동하였다.
3,000원
8.
199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를 먹이로 제공하여 3종 이리응애의 발육 및 포식량을 조사한결과는 다음과 같다. 20, 23, 25, 0.5에서 발육기간은 Amblyseius womerslryi Schica 각 11.5, 7.7, 6.7, 5.6일이었으며, Amblyseius fallacis Garman과 Typhlodromus occidentalis Nesbit는 약간 짧았으나 큰 차이는 없었으며, 에서 보다 1/2이하로 짧았다. 이리응애의 발육임계온도와 유효적산 온도는 암.수간에 차이가 없었고, 암컷을 기준으로 볼 때 A. womersleyi가 각 , 111.6일도, A. fallacis는 각 , 86.0일때도, T. occidentalis는 각 , 94.1 일도였다. 에서 3종이리응애 암성충의 평균수명은 A. womersleyi 8.67일, A. fallacis 7.81일, T. occidentalis 5.66일이었고, 총산란수는 각 11.93, 12.64, 8.86개였다. 이리응애의 전발육기간 동안 점박이응애 난 포식량은 20, 23, 25, 에서 A. womersleyi가 각 2.49, 2.00, 9.72.61, 2.33개로 온도별로 차이가 없었고, A. fallacis는 비슷하였으며, T. occidentalis는 2~5개 많은 경향이었다. 3종 이리응애 암성충의 점받이응애 나과 전약충에 대한 포식량은 온도별.먹이 태별로 별 차이가 없었다.
4,000원
9.
199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꿀벌부채명나방 종령유충의 whole body에서 gel filtration 방법으로 유약호르몬 결합 단백질을 분리, 정제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은 column chromatography법과 전기영동법에 의해 등가성을 확인하였다. 이 결합단백질은 전기 영동법에 의해 32K, gel filtration 에 의해 28K의 상대적 분자량을 나타냈다. 또한, JH III에 대한 해리도는 3.9M로 확인되었다.
4,000원
10.
199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국의 마을 주산단지에서 수집한 마늘을 대상으로 1994년부터 1995년까지 2년간 저장마늘을 가해하는 해충의 종류와 밀도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저장마늘을 가해는 해충으로 검출빈도와 밀도가 높은 종류는 마늘혹응애(Aceria tulopae), 뿌리응애(Rhizoglyphus sp.) 마늘줄기선충(Dity- lemchus dipsaci), 긴털가루응애(Tyrophagus putrescentiae)등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갈색먼지응애(Tarsonemus bilobatus)와 귀리둥근꼬리선충(Aphelenchus avenae)은 검출빈도 및 밀도가 낮았다. 마늘혹응애는 1994년 조사에서는 38%의 검출율을 보였으나 1995년도 조사에서는 62%의 높은 검출율을 나타내었아. 뿌리응애는 1994년조사에서 63%의 검충율을 나타내었으나 1995년조사에서는 13%로 낮았다. 마늘 인편당 뿌리응애수는 1~135마리로 조사되었으며 피해를 입은 마늘은 부패하는 증상을 나타내었다. 긴털가루응애는 1994년에는 32개 농가 중 22개 농가에서, 1995년에는 39개 농가 중 21개농가에서 검출되었다. 그러나 밀도는 다른 응애류에 비해 비교적 낮았으며 저장중 마늘에서 긴털가루 응애의 피해유발 여부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4,000원
11.
199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솔껍질깍지벌레의 천적으로 곤충류 총 4목과 7과 24종과 거미류 총 11과 29종이 조사되었으며, 곤충류에서는 딱정벌레목 10종, 벌목 7종, 노린재목 6종, 집게벌레목 1종이 조사되었고, 이중 비교적 발생량이 많고 포식량이 많아 천적으로 기대되는 종으로는 딱정벌레목 무당벌레과 홍점박이 무당벌레(Chilocorus rubidus)와 무당벌레(Harmonia axyidis), 벌목 개미와 왕침개미(Brachyponera chinensis), 말벌과 말벌(Vespula crabro flavofaciata), 노린재목 침노린재과 다리무늬침노린재(Sphe-danolestes impressicollis), 껍적침노린재(Velinos nodipes)등이었다. 본 조사에서 딱정벌레목의 달무리 무당벌레(Anatis halonis)와 십구점무당벌레(Anisosticta kobensis), 노린재목의 고추침노린재(Cydno- coris russatus)등 3종이 새로이 조사되었다. 거미류에서는 호랑거미와 8종, 게거미와 5종 늑대거미과 3종, 깡총거미과 3종, 닷거미과 2종, 꼬마거미과 2종, 갈머리과 2종. 스라소니거미과 1종, 염라거미과 2종, 염남거미과 1종, Atypidae과 1종이 조사되었으며, 조사된 종들 중 비교적 발생량이 많고, 집중적으로 공격(포식)하는 종으로는 호랑거미과 긴 호랑거미(Argiope bruennichii), 산왕거미(Araneus ventricosus), 점연두어왕거미(Neoscona melloteei), 연두어리왕거미(Neoscond scylloids), 늑대거미과 땅늑대거미(Lycosa suzurii), Pirata sp., 깡총거미과 살깃깡총거미(Marpissa elongata), 닷거미과 줄거미(Dolomedes stellatus), 스라소니거미과 낯표스라소니거미(Oxyopes sertatus)등이었다. 본 조사에서 호랑거미과의 연두어리왕거미(Neoscona scylloides), 여석혹먼지거미(Cyclosa laticauda), 게거미과의 불짜게거미(Synema globosum), 대륙게거미(Xysticus ephippoatus), 꽃게거미(Micumenops tricu-spidatus), 깡총거미과의 살깃깡총거미(Marpissa elongata), 까치깡총거미(Dedryphantes atratus), 닷거미과의 번개닷거미(Perenethis fascigera), 갈거미과의 백금갈거미(Tetragnatha pinicola), 염라거미과의 아시아염라거미(Zelotes asiaticus)등 10종이 새로이 조사되었다.
4,000원
12.
199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늘을 가해하는 해충에 관한 조사 중 마늘인편의 표면을 홉즙하여 줄무늬의 가해 흔적을 남기고 저장 중인 마늘의 감모요인으로 작용하는 혹응애류 1종이 밝혀져 형태적 특징을 기초로 국내미기록종인 마늘 혹응애(Aceria tulopae(Keifer) 1938=Eriophyes tulipae_로 동정하였다. 해부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피해양상을 관찰한 결과 마늘에서는 마늘 혹응애의 가해로 인한 혹은 형성되지 않으며 표면에서만 피해증상이 관찰되었다. 마늘 혹응애가 가해한 마늘은 표면의 광택이 없어지고 거칠어지며 피해발생 초기에는 마늘표면에 경미하게 함몰된 연한 갈색의 줄무늬가 생기며 수확 후 저장기간 중에 마늘 혹응애 방제를 위한 밀폐된 플라스틱용기 (1m1m1m)에 마늘을 넣고 aluminium phosphide를 3g/㎥비율로 72시간 훈증처리한 결과 남도마늘에서 마늘 혹응애의 방제가가 90% 이상으로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