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CI 등재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64 No.1 (2025년 3월) 10

1.
202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Acyrthosiphon (Acyrthosiphon) lactucae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이 종의 무시성충에 대한 형태학적 정보, 분포지역, 기주 식물, 한국에 분포하는 Acyrthosiphon 속 종들의 분류키를 제공한다.
4,000원
2.
202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미기록종 Homalotylus albifrons (Ishii, 1925) (벌목: 깡충좀벌과)를 한국에 최초로 보고한다. 이 종에 대한 진단과 사진과 한국 의 Homalotylus 속의 종 키를 수록한다.
3,000원
3.
202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위벌과에 속하는 Coelioxys의미기록 2종 Coelioxys conoidea Illiger, 1806 와 Coelioxys formosicola Strand, 1913을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 고한다. 본 종의 기재, 분포정보, 그리고 삽화를 제공한다.
4,000원
4.
202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Drury)의 방제약제로 등록되어 있는 19종의 약제를 사용하여 미국흰불나방 노숙유충에 대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pyrethroid계인 deltamethrin EC, etofenprox EC, lambda-cyhalothin EC, esfenvalerate EC와 emamectin benzoate EC, tebufenozide WP, chlorantraniliprole WG, pyridalyl EW은 약제 살포 후 48시간 조사에서 90%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metaflumizone EC는 72시간 경과후에 96.7%의 살충효과를 보였으며, methoxyfenozide SC는 96시간 경과 시점에서 100%의 높은 방제효과 가 나타내었다.
3,000원
5.
202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 Hemiptera: Aphididae)은 채소작물, 과수작물과 화훼작물에 발생하여 농업과 원예작물에 경제적 피해를 주는 주요 해충이다. 복숭아혹진딧물과 기주내부 미생물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격리된 사육시설에서 약 2년간 누대사육된 복숭아 혹진딧물 내의 미생물 군집구조는 16S rRNA gene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에 우점하는 미생물은 γ-proteobacteria에 속하는 Buchnera sp., Pseudomonas sp., Propionibacterium sp. 등이 주요 우점하는 것을 확인되었다. 미생물 군집크기분석은 정량 PCR을 통해 분석하였 으며, 박테리아 군집의 크기가 곰팡이 군집보다 약 4,300배 큰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복숭아혹진딧물 내부에는 γ-proteobacteria 에 속하는 Buchnera sp.가 기주와 매우 밀접한 상호관계가가 이루어진다고 판단되어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복숭아혹진딧물과 기주내부 미생물간 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6.
202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애호랑밑빠진버섯벌레속(Baeocera Erichson, 1845)에 대하여 논의하고 검색표를 제공하였다. 참애호랑밑빠진버섯벌레(Baeocera choi Hoshina and Park, 2011)는 배애호랑밑빠진버섯벌레[Baeocera ventralis (Löbl, 1973)]의 동물이명 임이 밝혀졌다. 이들의 수컷생식기 형질 을 도해하고 근연종과 함께 동정에 유용한 형태형질을 제시한다.
4,000원
7.
202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릉숲은 생물권보전지역 중 하나로써 생물다양성이 높은곳이며, 낙엽활엽수림으로써 550년 동안 관리되어 왔다. 이 연구는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생물권보전지역(포천)과 비생물권보전지역(울진, 영주)에서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의 딱정벌레 군집구조와 다양성을 비교하는것이 목적이다. 이 조사에서 딱정벌레과에 속하는 9아과 25속 73종을 채집하였다. 생물권보전지역 소나무림에서 25종 11속 6아과 그리고 신갈나무림에 서 22종 9속 4아과를 채집하였다. 비생물권보전지역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에서 23종 10속 5아과 그리고 59종 21속 9아과를 채집하였다. 생물권 보전지역의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에서 우점종은 윤납작먼지벌레(77.2%, 78.7%)이며, 비생물권보전지역의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에서 우점종 은 각각 Synuchus sp. 3(47.9%)와 Synuchus sp. 2(17.6%)이다. 종 다양도, 종 풍부도, 종 균등도는 도로와 가장 가까운 비생물권지역의 신갈나무림 에서 가장 높았으며, 산림에서 종 다양성은 채집지에서 도로까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생물권보전 지역에서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4,200원
8.
202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처음 발견된 Aulacophoroides hoffmanni (Takahashi, 1937)를 최초로 보고한다. 2024년 야외조사에서 한국의 서부 2개 지역의 등나무(Wisteria floribunda (Willdenow))에서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는 A. hoffmanni를 확인하였다. 무시성충의 상세한 형태 기재와 계측값을 제시하였으며, 생체 및 슬라이드 표본 사진을 포함하였다. 이 종은 등나무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어 관상용 등나무의 주요 해충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4,000원
9.
202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복숭아거위벌레속(딱정벌레목: 바구미상과: 주둥이거위벌레과)의 분류학적 재검토를수행한 결과 애복숭아거위벌레(Rhynchites (Rhynchites) fulgidus Faldermann, 1835)를 국내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복숭아거위벌레속 2종(애복숭아거위벌레, 복숭아 거위벌레)의 형태학적 재기재를 제공한다. 또한, 한국산 복숭아거위벌레속 종들의 분류학사에 대한 고찰과 2종에 대한 분류 검색표를 제시한다.
4,000원
10.
202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금까지 한국의 긴나무좀아과에는 4속 6종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3종의 한국 미기록종을 다음과 같이 보고한다: 배외긴뿔나무좀 (Crossotarsus niponicus (Blandford, 1894)), 이승악긴나무좀(Platypus contaminatus (Blandford, 1894)), 닮은긴나무좀(Platypus quercivorus (Murayama, 1925)).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