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CI 등재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 26 No. 4 (1987년 12월) 15

1.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最近) 채집한 잎말이나방과중(科中) 애기잎말이아과(亞科)의 Laspeyresiini족(族) 3종(種), Eucosmini족(族) 8종(種) 그리고 Olethreutini족(族) 2종(種)이 우리 나라 미기록종(未記錄種)으로 분류동정(分類同定)되었기에 그들의 새로운 우리말이름과 함께 간략히 기술(記述) 보고(報告)한다.
4,000원
2.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나방과(科)의 5종(種): 우수리가지나방, Mefeima mediorufa gilva D., 황갈물결자나방, Idiotephria evanescens(S.), 줄점물결자나방, I. debilitata(L.), 각시애기자나방, Scopula modicaria(L.), 노랑띠각시자나방, Polythrena coloraria H.S 등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되었으며 그외 과거 북한 등지에서 기록되어 왔으나 표본확인이 되지 않았던 8종이 함께 채집 확인되었다.
4,000원
3.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부지방(南部地方) 시설원예내(施設園藝內)의 문제(問題)되는 해충(害蟲)과 선충(線蟲)을 알아보기 위하여 진주, 집현, 금산, 창녕, 남지, 밀양, 김해, 합천, 부산, 순천, 광양 등의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에서 1984년(年) 12월(月)부터 1985년(年) 12월(月)까지 충(蟲) 발생(發生)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선충(線蟲)은 6과(科) 9속(屬) 9종(種)이 검출(檢出)되었고, 곤충(昆蟲)은 4목(目) 17과(科) 23속(屬) 24종(種), 응애는 1종(種)이 채집(採集)되었는데, 가장 문제(問題)되었던 선충(線蟲)은 뿌리혹선충(線蟲)인 M. incognita였으며, 딸기에서는 A. fragariae의 피해(被害)도 컸었다. 해충(害蟲)은 목화진딧물인 A. gossyphi였다. 고추역병의 피해주(被害株)는 반드시 뿌리혹선충(線蟲)에 심(甚)하게 감염(感染)되어 있었다. 한편, 상토원별(床土原別) 뿌리혹선충(線蟲)의 발생(發生)에서 밭의 표층토(表層土)를 이용했을 때 발생(發生)이 심하였으며, 살선충제(殺線蟲劑)로 처리된 표층토(表層土)나 논흙에서는 피해(被害)가 없었고 생육(生育)도 좋았다. 염류농도(鹽類濃度)별로는 EC 에서 뿌리혹선충(線蟲)의 피해(被害)가 가장 심(甚)하였고, 다음은 4mS, 2mS순(順)으로 4mS의 범위(範圍)에서는 선충(線蟲)의 피해(被害)를 받았으나, 6mS에서는 선충(線蟲)의 피해(被害)가 거의 없었다.
4,000원
4.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씨스트선충(線蟲)의 race를 판별(判別)하고 그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강원도(江原道)에서 채집(採集)한 콩씨스트선충(線蟲)은 race 1과 race 3, 경기도(京畿道)에서 race 3, race 5, race c 그리고 충청남도(忠淸南道)에서 race 1과 race 5가 각각(各各) 판별(判別)되었다. 2. 같은 지역(地域), 적어도 같은 면지역(面地域)에 분포(分布)하는 콩씨스트선충(線蟲)의 race는 동일(同一)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3. 각(各) race의 분포비율(分布比率)을 보면 race 1이 52.4%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race 5가 28.6%, race 3이 14.3% 그리고 race c가 4.8%의 순(順)이었다. 4. 판별(判別)된 4개(個) race 중(中)에서 race 3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판별(判別)된 race였다.
4,000원
5.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식성선충(捕食性線蟲)인 Mononchs에 대(對)해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Clarkus papillatus, Coomansus parvus, Iotonchus zschokkei, Mononchus truncatus, Mylonchulus apapillatus, M. brachyuris, M. brevicaudatus M. incurvu M. sigmaturus, Prionchulus muscorum and P. punctatus등(等) 6속(屬), 11종(種)이 발견(發見)되었는데 이들 종(種)은 우리나라 미기록종(末記錄種)으로 밝혀졌다.
4,200원
6.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열병균(稻熱病菌)(Pyricularia oryzae)의 포자발아(胞子發芽)에 가장 적합한 온도는 였으며, 발아(發芽)에 필요한 최소한의 수분존재시간(水分存在時間)은 4시간으로 나타났고, 에서는 발아율(發芽率)이 10%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포자발아(胞子發芽)에 대한 상대습도의 영향은 고온(高溫)인 에서만 차이가 있었고 나머지 처리에서는 유의적(有意的)인 차이가 없었다(P>0.05). 발병효율(發病效率)은 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와 에서는 에 비해 약 20% 정도였다. 주당(株當) 1개 이상의 병반(病斑)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평균수분존재시간(平均水分存在時間)은 에서 22시간, 에서 16시간, 에서 10시간, 에서는 8시간이었으며, 에서는 주당(株當) 1개 이상의 병반(病斑)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접종(接種)후 병반(病斑) 발현시(發現時)까지의 잠복기간(潛伏其間)은 에서 일(日), 에서는 약 일(日), 에서는 일(日)이었다. 병반(病斑) 크기 증가율(增加率)은 온도 및 습도조건과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1일당(日當) 평균(平均) 병반(病斑) 크기 증분(增分)은 상대습도 90% 이상인 경우, 와 에서 0.7mm, 에서 1mm, 에서는 0.8mm 였고, 상대습도 85% 이하에서는 를 제외한 온도 조건에서 90% 이상에서의 증분(增分)의 밖에 되지 않았다.
4,000원
7.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참깨토양전염병해(土壤博染病害)의 생물학적(生物學的) 방제법(防除法)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참깨근권토양(根圈土壤)에서 Bacillus spp., Streptomyces spp., Trichoderma spp. 등을 분리(分離)하여 항균성(抗菌性)이 강(强)한 균주(菌株)를 선발(選拔)하고 참깨에 처리(處理)하여 입고병방제(立枯病防除)의 효과(效果) 및 참깨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1. 참깨근권토양(根圈土壤)에서 분리(分離)한 Bacillus spp. 중(中) 26%가 F. oxysporum과 R. solani에 항균성(抗菌性)을 나타내었다. 그 중(中) B. subtilis와 B. polymyxa가 중요한 종(種)이었다. 2. 참깨근권토양(根圈土壤)에서 분리(分離)한 Streptomyces는 F oxysporum의 균사(菌絲)와 포자(胞子)의 세포벽(細胞壁)을 분해(分解)하고 대형분생포자(大型分生胞子)와 후막포자(厚膜胞子)의 형성(形成)을 현저(顯著)히 감소(減)少시켰다. 3. 참깨경작지(耕作地)에서 분리(分離)한 Trichoderma spp.의 84%가 oxysporum에 60%가 F. oxysporum과 R. solani에 동시(同時)에 항균성(抗菌性)을 보였다. 4. 분리(分離)된 Trichoderma spp. 중(中) 항균성(抗菌性)이 강(强)한 T. viride TV-192를 F. oxysporum과 함께 처리(處理)한 결과(結果) 입고병(立枯病)의 발생율(發生率)이 현저(顯著)히 감소(減少)하였다. 5. T. viride는 볏짚, 보리짚, 톱밥등 유기태영양원(有機態營養源)에서 F. oxysporum보다 생장(生長)이 빨랐다. F. oxysporum은 톱밥에서는 거의 생장(生長)하지 못하였다. 6. 밀기울, 밀기울+톱밥배지(培地)에 T. viride를 배양(培養)하여 토양(土壤)에 첨가(添加)한 결과(結果), F oxysprum에 의한 입고병(立枯病)을 현저히 감소시켰으나 T. viride의 밀도(密度)가 높을 때 참깨의 종자발아(種子發芽)와 묘(苗)의 생장(生長)이 저해(沮害)되고 다수(多數)의 묘(苗)가 사멸(死滅)하였다. 7. Trichoderma spp.에 의(依)한 참깨 종자발아(種子發芽) 및 묘생장(苗生長) 억제(抑制)의 영향(影響)은 분리균주(分離菌株)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고 Trichoderma viride 토양처리시(土壤處理時) 건전묘(健全苗)는 무처리(無處理)보다 생장(生長)이 촉진(促進)되었다.
4,000원
8.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 잎속의 무기성분(無機成分) 함량(含量)이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발병(發病)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 사과나무 반점낙엽병균(斑點落葉病菌)에 대(對)한 Ca 화합물(化合物)의 균사생육억제(菌絲生育抑制) 효과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이병정도(罹病程度)에 따른 품종별(品種別) 피해엽율(被害葉率)은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이 84.8%, 중도저항성품종(中度抵抗性品種)이 8.1%,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이 0.5%이었고 엽당병반수(葉當病斑數)도 같은 경향(傾向)이었다. 품종별(品種別) 발병율(發病率)과 잎의 무기성분(無機成分) 관계(關係)에서 CaO 함량(含量)은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보다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에서 많았으며 7, 8월(月)의 발병율(發病率) 및 엽당병반수(葉當病斑數)와 상관계수(相關係數)(r)가 각각(各各) -0.551, -0.585, -0.485로 유의성(有意性)이 있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어 Ca가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저항성(抵抗性)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으나 T-N, 는 품종간(品種間)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사과나무 반점낙엽병균(斑點落葉病菌)은 배지(培地)의 pH가 정도(程度)에서도 생육(生育)이 가능(可能)하였으며 CaO는 균사생육(菌絲生育) 저지(沮止) 효과가 있었다.
4,000원
9.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품종별(品種別)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발병(發病)과 잎의 모용(毛茸) 발생정도(發生程度)를 조사(調査)하고 사과나무 잎의 부위별(部位別) A. mali의 침입정도(浸入程度)와 모용(毛茸)이 병원균(病原菌)의 침입(浸入)과 감염(感染)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A. mali의 이병정도(罹病程度)에 따른 사과나무 품종(品種)의 분포(分布)는 이병엽율(罹病葉率)이 50.1% 이상(以上)되는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을 조사(調査)한 82품종(品種) 중(中) 15개품종(個品種)(18.3%) 이었으며 주요(主要) 품종(品種)은 나리탄, 인도(印度), 왕령(王令), 스라크림숀, 스카이스파, 아오리 3호 등(等)이었고 이병엽율(罹病葉率)이 50% 이하(以下)되는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이 51개품종(個品種)(62.2%)이었는데 주요품종(主要品種)은 홍옥(紅玉), 무쓰, 모리쓰, 조나골드, 쓰가루, 가라, 골덴, 후지, 스파어리브레이즈 등(等)이었으며, 주요품종(主要品種)들의 엽당병반수(葉當病斑數)도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보다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에서 많았다. 이병성품종군중(罹病性品種群中)에서 이병엽율(罹病葉率)이 6월(月)에 20%, 이상(以上)되어 8월(月)에 70% 이상(以上)되는 품종(品種)이 와인삽, 아오리 3호, 스카이스파, 왕령(王令) 등(等)과 6월(月)에는 5% 이상(以上) 되었다가 8월(月)에 70% 이상(以上)되는 품종(品種)이 라리단, 스타크림숀, 인도(印度) 등(等)으로 구분(區分)되었다. 품종별(品種別) 잎에 모용발생정도(毛茸發生程度)는 이병성(罹病性) 품종군(品種群)에서 보다 저항성품종군(抵抗性品種群)에서 대체(大體)로 많았고 동일(同一) 품종(品種)잎에서 모용무제거부위(毛茸無除去部位)보다 모용제거부위(毛茸除去部位)에서 감염율(感染率)이 높은 것으로 보아 잎의 모용(毛茸)은 품종(品種) 저항성(抵抗性) 요인(要因)으로 추정(推定)되었으며 A. mali의 침입(浸入)과 감염(感染)은 잎의 표면(表面)보다 이면(裏面)에서 용이(容易)하였다.
4,000원
10.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복토(覆土)깊이, 파종기(播種期), 최아방법(催芽方法) 및 고조제처리(枯凋劑處理)가 감자흑지병발생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남작(男爵)(Irish Cobbler)과 수미(秀美)(Superior)를 공시(供試)하여 실시(實施)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복토(覆土) 깊이가 깊을수록 출아(出芽)가 늦어졌으나 이병률(罹病率)은 뚜렷한 차이(差異)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으며 수량(收量)은 10cm구(區)에서 증수(增收)하는 경향(傾向)이었다. 2. 이병률(罹病率)은 4월 28일 파종구(播種區)에서 가장 높았으며 5월(月) 이후(以後)의 파종간(播種間)에는 뚜렷한 차이(差異)가 없었다. 수량(收量)은 조기파종(旱期播種)인 4월(月) 28일(日) 파종(播種)에서 가장 낮았고 5월(月) 8일(日) 파종(播種)에서 가장 높았다. 3. 욕광최아처리구(浴光催芽處理區)에서 이병률(罹病率)이 가장 낮았고 수량(收量)은 가장 높았으며 무광최아(無光催芽)에서는 무최아(無催芽)보다도 이병률(罹病率)이 높았으며 수량(收量)은 낮았다. 4. 고조제처리(枯凋劑處理) 후(後) 수확시기(收穫時期)가 늦어질수록 이병괴경(罹病塊莖)이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는데 지상부(地上部) 고사(枯死) 후(後) 일(日)까지는 괴경이병율(塊莖罹病率)의 증가폭(增加幅)이 컸으나 그 후(後)부터는 완만(緩慢)하였다. 5. 나작(男爵)은 수미(秀美)보다 경(莖)의 이병률(罹病率)은 높았으나 괴경이병률(塊莖罹病率)은 낮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4,000원
11.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31개 땅콩품종을 공시하여 녹병, 검은무늬병, Phaeoisariopsis 점무늬병에 대한 복합저항성을 조사한 결과 7개품종이 저항성이었고 11개품종은 중도저항성이었다. 각 품종들의 발병 정도와 수량에 대한 효과가 논의되었다.
3,000원
12.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뿌리썩음증상은 병징에 따라 3가지로 대별되었다. 뿌리썩음증상은 Pythium aphanidermatum을 선접종 후 Fusarium solani를 후접종 하였을 때 가장 심하였다. 뿌리혹선충과 Phthium aphanidermatum과의 상호작용은 없었다. 근경 발아는 각 처리에서 현저히 증가하였고 Alliette 0.25%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토양관주에 의한 치료 및 예방효과는 Alliette, Burgandy mixture, 다이센 M-45, 디포라탄이 우수하였으며, 수량도 증가하였다.
4,000원
13.
1987.12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토양에 첨가한 8종의 Oil cake 중 Margosa, Undi, Karanj cake은 생강뿌리썩음병의 발생을 억제하였다. 생강수량의 증진효과는 Karanj, Roselle, Mustard cake의 순으로 높았다.
14.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이센 수화제와 다이센 M-45, 비침투성 살균제를 공시하여 양귀비 노균병에 대한 약제 방제효과를 포장에서 조사하였다. 상기 다이센계통의 두약제는 타약제에 비하여 노균병의 방제에 효과적이었으며 라텍스 수량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3,000원
15.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anges in the numbers of air-borne spores of Alternaria mali causing the Alternaria leaf spot of apple were investigated in apple orchards, by monitoring their AM- toxin(host-specific toxin) producing ability. Most of the air-borne Alternaria in apple orchards were not AM-toxin producers. In culture, only about 2% of Alternaria isolates from a commercially managed apple orchards produced the toxin that was highly toxic only to susceptible leaves.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