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난 2년간(1999~2000)의 장백산 곤충조사결과 뿔나방科의 20종이 채집 확인되었다. Anacampsis popullela를 제외한 전종은 모두 장백산에서 처음 확인되는 종이었으며, Scrobipalpa atriplicella (Fisher and Roslerstamm)와 Anarsia lineatella (Zeller)는 한반도에서 그 분포가 알려지지 않은 종이다. Carpatolechia dehania (Park, 1993)는 Pseudotelphusa 속에서 새로운 속명으로 재조합되었다.
        4,000원
        2.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뿔나방科의 Dichomeris屬에 속하는 우리나라産 2種과 극동러시아産 1種을 新種으로 기재, 발표한다.
        4,000원
        3.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통나방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그동안 채집된 표본을 중심으로 정리해 본 결과 16종이 분류, 동정되었으며 그중 15종이 우리나라 미기록 종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16종에 대한 외부형태 및 암수생식기의 특징이 간략하게 기술되었으며, 알려진 기주식물들이 조사되었다.
        5,500원
        4.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잎말이나방아과의 극동산잎말이, Choristoneura evanidana(Kennel) , 빗날무늬잎말이, Daemilus fulvus (Filipjev) , 세줄둥근잎말이, Paratorna seriepuncta Filipjev , 검정어깨무늬잎말이, Acleris nigriradix (Filipjev) , 침무늬잎말이, A. nigrilineana Kawabe , 깃털무늬잎말이, A. cristana [Denis & Schiffermuller] 그리고 선비잎말이, A. Logiana (Clerk)등 7종이 우리나람 미기록종으로 보고된다. 이들중 Daemilus Yasuda 속은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그 분포가 확인되는 속이다.
        4,000원
        5.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은빛잎말이나방족은 6속 9종으로 정리되며 이중 신속 Immariana를 기재함과 동시에 3신종 , 뾰족날개잎말이(Immariana acutiella sp. nov.), 검정무늬잎말이(Kawabeia fuscofasciata sp. nov.), 어리무늬잎말이(Kawabeia paraignavana sp. nov.)를 기재발표한다. 또한 겨우살이잎말이, Kawabeia ignavana Christoph와 꼬마줄무늬잎말이, Oporopsamma stenoptera(Filipjev)등 2종이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보고된다.
        4,600원
        6.
        198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쌍돌기밑두리뿔나방과 흰밑두리뿔나방 등 2종이 필자에 의해 신종으로 발표됨으로서(1984)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밑두리나방과가 보고되었다. 금번의 조사에서 1신종을 확인, 두점밑두리뿔나방(Pseudohypatopa longicornutella)으로 기재하였으며 현재까지 남방계종으로 알려진 남방밑두리뿔나방(Neovlastobasis decolor Meyrick)을 춘천지방에서 채집하였기에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4,000원
        7.
        198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Olethreutestes속을 아속 단위로 구분정리하였으며, 작은 왕무늬애기잎말이 [Olethreutes subtilana(Falkovitsh0], 노랑띠애기잎말이 [O. aurofasciana(Haworth)]과 작은광택애기잎말이 [O.moderata Falkovitsh]등 3종의 우리나라 미기록종을 포함한 16종에 대하여 동종이명(Synonym), 채집지, 성충의 발생시기 및 국내에서 밝혀진 기주식물 등을 조사정리하였다. 처음으로 조사된 기주식물로는 들깨가 노랑무늬애기잎말이의 기주로 밝혀졌다. 동정이 완료된 거의 모든 종의 자.웅생식기를 도해하여 종의 분류동정에 이용 가능토록 하였다. 총 밝혀진 16종 중 13종은 극동아세아지여에만 분포하고 있는 종이었으며 뽕흰애기잎말이와 우수리애기잎말이 등 2종을 제외한 전종이 우리날와 일본의 공통종이었다.
        4,500원
        8.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最近) 채집한 잎말이나방과중(科中) 애기잎말이아과(亞科)의 Laspeyresiini족(族) 3종(種), Eucosmini족(族) 8종(種) 그리고 Olethreutini족(族) 2종(種)이 우리 나라 미기록종(未記錄種)으로 분류동정(分類同定)되었기에 그들의 새로운 우리말이름과 함께 간략히 기술(記述) 보고(報告)한다.
        4,000원
        9.
        198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애기잎말이나방족(族)(애기잎말이나방아과(亞科), 잎말이나방과(科))에 속하는 다음 7종(種)이 우리나라 미기록종(未記錄種)으로 보고(報告)된다. 새로이 보고(報告)되는 종(種)들은 달구지애기잎말이나방, Olethreutes siderana(T.), 돌기무늬애기잎말이나방, O. pryerana (W.), 우수리애기잎말이나방. O. nigricrista F., 귤빛애기잎말이나방, Pseudohedya retracta F., 혹돌기애기잎말이나방, Apotomis capreana(H.), 세모애기잎말이나방, Cryptaspasma maginifasciata(W.), 극남방애기잎말이나방, C. angulicostana(W.) 등(等)으로 각각 우리말 이름들이 명명(命名)되었다.
        4,000원
        10.
        198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最近)까지 필자(筆者)박(朴)등(等)에 의하여 보고(報告)된 우리나라의 굴나방과(科) 및 가는나방과(科)의 종수(種數)는 각각(各各) 8종(種), 30종(種)이었으나 금번 조사결과(調査結果) 아래의 7종(種)(굴나방과(科) 1종(種)과 가는나방과(科) 6종(種)이 우리나라 미기록종(未記錄種)으로 분류동정(分類同定)되었다. 새로 보고(報告)되는 종(種)들은 가는나방과(科)의 물푸레가는나방(Gracillaria ussuriella), 잡싸리가는나방(Liocrobyla kumatai), 신갈가는나방(Phyllonorycter leucocorona), 꼬마신갈가는나방(P. pygmaea), 오리엔트가는나방(P. orientalis), 쑥잎가는나방(Leucospilapteryx omissella)과 굴나방과(科)의 노박덩굴굴나방(Proleucoptera celastrella)으로 각각(各各) 우리말 이름을 명명(命名)하였다. 또한 현재(現在)까지 알려진 기주식물(寄主植物)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기주식물(寄主植物) 7종(種)을 처음 밝혀 냄과 아울러 28종(種)을 우리나라에서 재확인하여 전체종(全體種)에 대(對)한 기주식물목록(寄主植物目錄)을 작성(作成)하였다.
        4,000원
        11.
        198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사(調査) 결과(結果) 21과(科) 89종(種)의 나방류가 채집, 분류(分類) 동정(同定) 되었다. 과별(科別)로는 곡나방과(科) 1종(種), 잎말이나방과(科) 10종(種), 가는나방과(科) 2종(種), 집나방과(科) 1종(種), 감꼭지나방과(科) 1종(種), 밑두리나방과(科) 1종(種), 원뿔나방과(科) 2종(種), 명나방과(科) 13종(種), 주머니나방과(科) 1종(種), 불나방과(科) 2종(種), 혹나방과(科) 1종(種), 뾰족날개나방과(科) 1종(種), 독나방과(科) 3종(種), 재주나방과(科) 3종(種), 자나방과(科) 6종(種), 밤나방과(科) 34종(種), 박각시과(科) 3종(種), 산누에나방과(科) 1종(種), 뿔나비나방과(科) 1종(種) 이었으며 곡나방과(科)의 아스콜드긴수염나방(Nemophora askoldella (M.)), 잎말이나방과(科)의 반원무늬애기잎말기나방(Epiblema sugii K.), 해안애기잎말이나방(Dichrorampha albistriana K.), 복숭아순나방붙이(Grapholita dimorpha K.) 등(等) 4종(種)은 우리나라 미기록종(未記錄種)이었으며 가는나방과(科)의 Acrocercops sp.와 집나방과(科)의 Ypsolopha sp.는 신종(新種)으로 밝혀졌다. 신종(新種) 2종(種)에 대해서는 추후 기술코자 한다.
        4,000원
        12.
        198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사시나무(Populus )의 줄기 식입해충(害蟲)인 포푸라하늘소 (Compsidia populnea L.)의 발생(發生) 및 생활사(生活史)에 관(關)한 조사(調査)를 실시(實施)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포푸라하늘소는 년(年) 1회(回) 발생(發生)하며 갱도내(坑道內)에서 유충(幼蟲)으로 월동(越冬)한다. 2. 성충(成蟲)의 발생최성기(發生最盛期)는 춘천지방(春川地方)의 경우 5월(月) 12일경(日頃)이었고 초출현시기(初出現時期)는 춘천(春川) 5월(月) 5일(日), 가평(加平) 5월(月) 6일(日)이었다. 3. 성충(成蟲)은 우화(羽化)한 후(後) 일간(日間) 갱도(坑道)속에 머물다가 탈출공(脫出孔)을 뚫고 밖으로 나오는데 출공후(出孔後) 산란일(産卵日)까지 걸리는 기간(期間)은 평균 10.7일(日)이었으며, 산란기간(産卵期問)은 야외조건하(野外條件下)에서 평균(平均) 14.3일(日)(일(日)), 실내조건하(室內條件下)에서 평균(平均) 6.4일(日)(일(日)) 이었으며, 성충(成蟲)의 수명(壽命)은 야외(野外)조사에서 숫컷의 경우 평균(平均) 11.0일(日)(일(日)), 암컷의 경우 평균(平均) 13.8日(일(日))로 암컷이 다소 긴 경향이었다. 4. 산란(産卵)은 직경 의 년생(年生) 가지의 표피(表皮)에 U자형(字形)의 흠집을 만든후 표피(表皮)밑에 산란(産卵)되며 암컷 한마리당 만든 산란흔(産卵痕)은 평균(平均) 56.6개(個)(개(個))였고 재란율(在卵率)은 67.9%로 총산란수(總産卵數)는 평균(平均) 38.5개(個)(개(個))였으며 개체별(個體別) 차이(差異)가 많았다. 알은 장타원형(長楕圓形)으로 길이는 평균(平均) 2.6mm(), 폭은 0.78mm() 정도로 유백색(乳白色)이었다. 5. 난기간(卵期間)은 항온조건하(恒溫條件下)에서는 평균(平均) 9.5日(), 야외(野外)에서는 5월(月) 20일전(日前)에 산란(産卵)된 알의 경우 일(日), 5월(月) 20일(日)5월말일(月末日)의 경우 일(日), 6월(月) 이후(以後)에 산란(産卵)된 알은 일(日)로 기온(氣溫)이 높아짐에 따라 짧아지는 경향이었다. 6. 유충(幼蟲)은 부화후(孵化後) 수피(樹皮) 바로아래 부분(部分)을 주간(週間) 식해하다가 목질부(木質部)로 갱도(坑道)를 뚫고 들어가며 피해부(被害部)는 충영을 형성(形成)하는데 충영의 크기는 장경(長經)이 평균(平均) 1.8cm(), 단경(短經)이 평균(平均) 1.6()였으며 갱도(坑道)의 길이는 평균(平均) 3.1cm()였다. 7. 유충(幼蟲)이 완전(完全)히 성숙(成熟)하는 시기(時期)는 9월말(月末)10월(月) 초순(旬)경이며 유충태(幼蟲態)로 월동(越冬)하며 용화시기는 4월초순(月初旬)경이었다. 용기간은 항온조건하(恒溫條件下)에서는 평균(平均) 11일(日)(일(日))이었으나 야외(野外)에서는 30일이상(日以上)으로 관찰되었다.
        4,000원
        13.
        198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사시나무(Populus )의 줄기 식입해충중(害蟲中) 우점종은 포푸라하늘소(Compsidia populnea L.)였으며 황철나무하늘소(Compsidia balsamifera M.)는 확인되지 않았다. 본(本) 조사(調査) 통하여 상기 두 종(種)의 형태(形態), 분포(分布), 생활사등(生活史等)이 비교 검토됨으로서 포푸라하늘소의 정확한 분류동정(分類同定)이 가능(可能)하여졌다.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