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 록
1. "Kresek" 유발균주(K균주)는 품종에 따라서 발현에 차이가 있었으며 지상부 또는 지하부에 접종하여도 "Kresek"을 유발시킬 수 있었으나 대조균주(N균주)는 전연 유발되지 않았다. 2. 엽백의 도관직경은 밀양 23이 유신이나 통일보다 현저히 작았으며 이들간에 고도의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3. 밀양 23의 즙액에서 K균주들은 N균주들보다 세균의 증식이 왕성하였으며 통일에서는 균주들간에 증식의 차이가 없었다. 4. 밀양 23의 즙액친서는 K균주의 Dead phase가 정종 9일째부터 N균주는 4일째부터 시작되었으며 통일에서는 모두 3일째부터 시작되었다. 5. 밀양 23즙액의 경우 pH 3.0-4.0 범위에서 다량의 침전물이 형성되었으나 동일의 증액에서는 극히 소량의 침전물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본 연구는 Kresek유발 균주의 균형을 조사하는 동시에 접종방법에 따른 품종과 균주간의 차이를 관찰하고 1977년에 Kresek이 발생된 전국 123개 지역에서 채집분리된 23균주에 대해 균형의 동정 및 중요품종에 대한 균형의 반응을 조사하는 한편 Kresek 이병짚에서 병균의 월동가능성과 전염원으로서의 이병짚의 중요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계획되었다. 1. Kresek 발생지 23개 지역에서 채집분리한 병원균의 균군중 15개 균주는 I균군이었으며, 8개 균주는 II균군에 속하였는데, 발병품종 대부분은 밀양 23호였다. 2. 균군과 Kresek 발병은 사용된 I균군(4균주), II균군(5균주), III, IV균군(각 1균주), V균군(2균주)에 대해 모두 발병을 볼 수 있었으나 균주간에는 발병차이가 많았다. 3. 밀양 21, 22, 23호, 진흥(전남풍군)에서는 I, II, V 균군에 전부 발병을 볼 수 있었으나 유신(황옥군)에서는 II균군에서만 발병되었다. 4. 전염원 하나인 이병짚에서는 병원균이 월동할 수 있었으며, 이병짚 생고시용시 Kresek을 유발시킬 수 있었다.
순수분리된 오이모자익 바이러스(CMV)를 함배 (KY-57)에서 증식하여 개량된 순화방법으로 순화하였다. 순화된 바이러스를 Complete adjuvant와 1: 1로 섞어 토끼에 10일 간격으로 2회 근육주사하여 높은 역가의 CMV 항혈청을 제조하였다. 한천내확산법에 의한 항혈청의 역가는 1/1280이었다. 제조된 CMV 항혈청은 앞으로 채소작물이나 그밖에 식량작물에 이병된 CMV를 분리동정하는데 이용될 것이다.
모자익병징을 나타내는 이병시금치를 채집하여 순무모자익 바이러스를 분류 동정하였다. 분리된 순무모자익바이러스를 지표식물에 접종한 결과 담배(B.Y)와 명아주에는 국부병반이 형성되었고 쑥갓, 시금치, 무우에는 모자익 병징이 나타났다. 이병시금치 잎을 착즙하여 순무모자익바이러스의 항혈청과의 혈청반응 시험 결과 양성 반응이 나타났다. 이병엽을 Dip법으로 시료를 제작하여 전자현미경에서 검경한 결과 대부분이 750nm의 사상 입자가 관찰되었다. 시금치에서 순무모자익바이러스의 발생분포는 수원, 안양, 대구, 진주 등 거의 전국적으로 발생하였다
한국에서 1920년경부터 1956년까지 재배되었던 조동지, 용천을 비롯한 74재내품종을 5개균군을 사용하여 저항성정도를 조사한 결과 1. 조동지, 용천, 애달, 용산, 대구, 밑다리, 풍옥을 포함한 69품종은 본병에 이병성인 금남풍군에 속하였다. 2. 흑수, 도입남, 황판은 황옥군이였다, 3. 남각, 강북도의 반응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반응을 나타냈다. 4. 금남풍군에 속하는 69품종의 균군별 반응은 I균군이 , II균군, III균군, IV균군 V균군로 놓은 발병주율을 보였다. 5. 황옥군에 속하는 3품종은 I균군 II균군 , III 균군 , IV균군 , V균군 로 판별품종의 반응과 비슷하였다
본 시험은 이화명충과 과수의 잎말이류 및 Codling Moth의 Pheromone등 모두 15종의 합성 Pheromone을 도입하여 국내해충의 예찰과 방제에 이용가능한 Pheromone의 선발코자 수행하였다. 이화명충 Pheromone은 미국의 열대생산물연구소에서 합성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과수해충의 Pheromone은 Comell 대학과 Zoecon회사에서 공급받았다. 본 시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화명충의 미교미 암컷을 넣은 Trap이 합성 Pheromone을 넣은 Trap보다 숫컷을 유인하는 능력이 컸다. 2. 이화명충의 합성 Pheromone은 설치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인력이 감소하여 발생정점을 잡을 수 없었다. 3. 과수잎말이류 해충중 복숭아순나방이 OFM과 LAW Pheromone에 가장 많이 유인되었다. 4. OBLR, RBLR, SPAR, 그리고 ArcM Pheromone에 수종의 과수잎말이류 나방이 다수 유인되었으나 기타 8종의 Pheromone에는 유인나방의 수가 적었다. 5. 본 시험의 결과로 보아 해충의 발생예찰에 이용가능 할 것으로 생각되는 합성 Phreomone과 이들의 적용해충은 다음과 같다. OFM, LAW: 복숭아순나방 OBLR: 사과무늬잎말이나방 OBLR, RBLR, ArcM: 한국잎말이나방, 검모무늬 잎말이나방, 사과잎말이나방 SPAR, TBM Pyroderces속의 일종
맥류마름병이 1977년에 격발하여 심한 피해를 가져왔다. 본 병해에 대한 피해상황을 검토하기 위해 시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원지방을 비롯하여 유성, 예산, 용인에서 약 가 맥류마름병에 감염되어 있었다. 2. 우리나라 우수 육성계통 자연감염된 것 중 저항성계통은 없었으며 중도저항성계통은 육성 3호인 반면에 S. 155호의 2계통이 이병성계통으로 나타났다. 농림 외 15계통은 중간성 및 중도이병성이었다. 3. 9개의 국내 장려품종에 대하여 인공접종을 하였던 바 대부분 품종이 고사하였고 자양각은 약 가 형성되었다. 4. 파종기별 발병율은 파종기가 빠를수록 발병이 심한 경향을 보였고 수량조사는 본 병에 감염되었을 때 약 의 감소를 가져왔다.
본 연구는 도작해충으로서 문제화되고 있는 벼멸구, 흰등멸구, 끝동매미중에 대한 저항성정도를 구명하고 저 전국각도 수도장려품종을 포함한 주요품종 40품종과 최근에 육성된 우량계통 6계통을 공시하여 2-3령충의 약충을 접종 내성의 반응을 검토하고, 벼멸구에 대한 저항성품종과 감수성품종의 친화성을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저항성품종 Mudgo와 감수성품종 만경에서의 벼멸구 사육일수에 따른 충체의 증가량은 접종당시에 비하여 접종후 15일에 Mudgo에서는 2배정도였으나 만경에서는 3배이상의 증체량을 보였다. 2. 감수성품종(만경)과 저항성품종(Mudo)에서의 벼멸구 사육일수별 생충율과 사충율 조사에서 접종후 15일에 사충율이 Mudgo 만경 로서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3. 벼멸구에 대한 저항성검정에서는 우량계통의 KR 108-243-1, HR529-41-3-2가 고위저항성 반응을 보였고 기타 대부분의 품종들이 감수성 반응을 보였으나 적나, 사도미노리, IR24, IR8 등이 중도감수성 반응이었다. 4. 흰등멸구에 대한 반응에서는 적시 우량계통중의 KR108-243-1, KR109-154-2, HR529-45-3-2가 고도저항성이었고 장려품종 및 우량품종은 감수성이었으며, 수원 #82 통일, IR8, 팔금, 이리 309, 호광, 중국#31등이 중도감수성반응을 보였다. 5. 끝동매미충에 대한 검정에서는 우량계통의 KR 108-234-1, HR529-135-1이 저항성이었고, 벼멸구, 흰등멸구에 저항성인 Mudgo가 감수성이었고, 통일, 수원 82호, IR24, 밀도 중국 31호가 중도감수성 반응이었으며 기타 품종들은 고도감수성이었다. 6. 본시험의 결과 KR108-243-1이 공시된 멸구, 매미충류에 저항성반응이었으며 감수성이기는 하나 비교적 벼멸구, 흰등멸구에 IR8, 벼멸구, 끝동매미충에 IR24의 Indica 항총들이 흰등멸구, 끝동매미충에 통일, 수원 82호, 중국 31호가 중도감수성이었다.
1973-75년까지 5개년간 수도에서 채집한 표본과문헌을 통하여 이화명충의 기생봉만을 중점하여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richogrammatidae 2종, Scelionidae 1종, Braconidae 5종, Ichneumonidae 7종 등 모두 15종이 발견되었다. 2. 이중 Apanteles chlonis와 Microgaster russata 등 2종은 한국미기록종임이 밝혀졌다. 3. Trichogramma chilonis, Eriborus terberans 그리고 Gambrus ruficoxatus 등의 3종은 문헌에만 기록되었을 뿐 본조사기간중 실제로 표본을 확인할 수 없었다.
수출 볏짚 제품내에 들어있는 월도 이화명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Phostoxin 훈증제를 기온상태에서 들이 프라스틱 chamber를 사용하여 농도 및 처리시간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월동유충은 처리 48시간, 옹은 24시간, 성충은 8시간에서 의 살충율 얻었다. 2. 약제의 사용농도 보다는 처리시간의 장단에 따라서 살충효과의 차이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