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197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77년 및 1978년에 걸쳐 전국 191개 지역에서 채집분리한 병원균의 균군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224균주의 병원성검정은 I균군 , II균군 , III균군 , V균군 균주로서 I균군의 분포가 제일 많았다. 2. 채집된 도별 균군분포는 충남이 가장 다양하였으며, 전남에서는 I균군의 분포보다 I균군이 많은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3. 균군과 품종군간에는 전남풍군의 품종에 균군이 다양하게 검정되었고, 이중 밀양23호에서 많은 균주가 채집분리되었으며, 황옥군에서는 II균상의 침해만 받았으나, Rantai emas품종군에서는 I, II균군도 볼수있었다. 4. 급성형(Kresek)발병주에서 분리된 28균주의 균군은 I군 20균주, II군 8균주였고, 이병된 품종으로는 밀양23호가 많은 발병을 나타내었다. 5. 병원균 균군의 동일지역에서의 분포는 조사장소에 따라 수개품종이 단일균군에 감염된 곳이 있는가 하면 혼합균군에 의해 감염된 곳도 있었다.
        4,000원
        2.
        197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짙은 연색의 모자익병징을 나타내는 이병 시금치를 채집하여 Broad bean wilt virus(BBWV)를 분리동정 하였다. 분리된 Broad bean wilt virus (BBWV)를 지표식물에 즙액접종한 결과, 명아주(Chenopodium amaranticolor), 명아주(Chenopodium quinoa) ,잠두(Vicia faba)에서는 접종엽에 국부병반이 나타났고 접종상엽에서는 모자익(전신감염)병징이 나타났으며 꽈리(Physalis floridana), 시금치, 담배 (W.B), 담배 (Nicotiana glutinosa)에는 모자익 병징이 나타났다. 이병시금치로부터 분리한 병원바이러스와 BBWV의 항혈청을 한천내확산법(Agar gel-diffusion test)으로 반응시킨 결과 양성 반응이 나타났다. 이병엽을 Dip법으로 시료를 제작하여 전자현미경에서 검경한 결과 구형의 입자가 관찰되었으며 직경은 25nm이었다. 시금치 재배포장에서 BBWV의 발생분포는 수원, 안양, 대구 진주 등 거의 전국적으로 발생하였다.
        3,000원
        3.
        197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순수분리된 오이모자익 바이러스(CMV)를 함배 (KY-57)에서 증식하여 개량된 순화방법으로 순화하였다. 순화된 바이러스를 Complete adjuvant와 1: 1로 섞어 토끼에 10일 간격으로 2회 근육주사하여 높은 역가의 CMV 항혈청을 제조하였다. 한천내확산법에 의한 항혈청의 역가는 1/1280이었다. 제조된 CMV 항혈청은 앞으로 채소작물이나 그밖에 식량작물에 이병된 CMV를 분리동정하는데 이용될 것이다.
        3,000원
        4.
        197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Kresek유발 균주의 균형을 조사하는 동시에 접종방법에 따른 품종과 균주간의 차이를 관찰하고 1977년에 Kresek이 발생된 전국 123개 지역에서 채집분리된 23균주에 대해 균형의 동정 및 중요품종에 대한 균형의 반응을 조사하는 한편 Kresek 이병짚에서 병균의 월동가능성과 전염원으로서의 이병짚의 중요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계획되었다. 1. Kresek 발생지 23개 지역에서 채집분리한 병원균의 균군중 15개 균주는 I균군이었으며, 8개 균주는 II균군에 속하였는데, 발병품종 대부분은 밀양 23호였다. 2. 균군과 Kresek 발병은 사용된 I균군(4균주), II균군(5균주), III, IV균군(각 1균주), V균군(2균주)에 대해 모두 발병을 볼 수 있었으나 균주간에는 발병차이가 많았다. 3. 밀양 21, 22, 23호, 진흥(전남풍군)에서는 I, II, V 균군에 전부 발병을 볼 수 있었으나 유신(황옥군)에서는 II균군에서만 발병되었다. 4. 전염원 하나인 이병짚에서는 병원균이 월동할 수 있었으며, 이병짚 생고시용시 Kresek을 유발시킬 수 있었다.
        4,000원
        5.
        197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벼 도열병균의 생리형(레이스)의 분화 및 지역적분포와 년차적 변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1962년부터 1971년까지 전국에서 채집분리한 1044개균주를 류별한 결과 T-레이스군이 4, C-레이스군이 15, N-레이스군 8, 모두 27개의 레이스가 유별되었다. 한국재래 및 장려품종과 일본형품종들이 주로 재배됐던 1966년이전에는 N-레이스군이 로 지배적이었으나 그이후 중국계통 및 통일품종의 재배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T레이스군이 , C레이스군이 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1966년이전에는 T.C레이스가 수원지방을 중시으로 조금씩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이후 점차 전국적으로 널리퍼져 지역적인 분포차를 인정할 수 없었다. 지금까지 우점레이스군으로는 N-2, C-8레이스가 널리 분포되어 왔고 특히 1970년이후 인도형과 재래품종과의 교잡종인 통일의 확대재배로 새로운 레이스(T-d 레이스)가 1973년부터 출현하여 지금까지 저항성을 보였던 Tetep이 이병성으로 나타나고 있어 앞으로 레이스의 추이와 통일계통등의 인도형 수도를 침해하는 새로운 레이스의 분화에 대한 연구 및 그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4,000원
        6.
        197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 CMV의 기주조사결과, 43과 145종을 공시하여 27과 71종이 기주로 판명되었으며 그중 24두 57종이 Systemic mosaic을 나타내었다. 나. CM V의 새로운 기주로 확인된 식물은 쇠별꽃 쇠무릎, 아게라탐, 중대가리풀, 천인국, 지칭개, 씀바귀, 그늘취, 유채, 다닥냉이, 수염가래꽃, 좀명아주, 실사초, 깨풀, 새콩, 벌노랑이, 팥, 큰기린초, 들깨풀, 들깨, 개곽량, 아마, 주름잎, 버어베나의 24종이 판명되었다. 다. 다른 연구자의 보고에는 감수성으로 나타났으나 본 시험에서 음성으로 나타난 식물은 양파, 맨드라미, 당근, 쑥, 과꽃, 망초, 해바라기, 만수국, 봉선화, 양배추, 배추, 스위트알리슘, 무, 고구마, 대두, 강남콩, 나팔백합, 양귀비, 수수, 밀, 옥수수, 소루쟁이, 채송화 등 23종이었다.
        4,000원
        7.
        197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9.
        197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의 벼 줄무늬잎마름병의 발생, 피해, 기생범위, 전염 및 방제에 관하여 1965년부터, 1974년까지 실시한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보고한다. 1. 발생 못자리에서 줄무늬잎마름병의 피해는 였고 포장에서는 입도중의 발병주율보다 재생도에서의 발생율이 높았으며 보통기재배보다도 조기재배에서 발병이 많았다. 또 포장에서 발병주의 분포는 대체로 휴반가까이에 많은 경향이었다. 벼 엽기별 피해에서 라병성인 일본계 벼의 경우 못자리 때인 3엽기에서 7엽기까지는 감염되면 고사하였으며 9엽기에서는 , 11엽기는 , 13엽기 이후에는 고사주를 볼 수 없었다. 참복기간은 3-7엽기에서는 7-15일이었고 9-15엽기에서는 15-30일이었다. 저항성인 통일벼의 경우 1.5-5엽기 접종구는 비교적 발병이 많았으나 9엽기 이후부터는 현저히 떨어져 15엽기 이후는 발병을 거의 볼 수 없었다. 그리고 감염된 것은 초장이 짧고 등숙율과 임실비율이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2. 기주범위 기주범위를 구명하기 위하여 작물과 목초 및 잡초 36종을 공시하여 아래와 같이 21종의 기주를 밝혀 내었다. 작물: 벼, 보리, 밀 , 귀리, 라이맥, 조, 옥수수, 기장, 참피 목초: 티모시, 빗살대, 이타리안라이그라스, 패래니 알라이그라스, 죤슨그라스, 슈단그라스 잡초 : 들피, 겨피, 방울피, 잠자리피, 개미피, 바랭이, 민바랭이, 좀바랭이, 방동사니대가리, 강아지풀, 비노리, 참새, 포아풀, 독새풀, 우산대바랭이, 개보리, 겨풀, 쇠풀, 조개풀, 넓은 잎 개수염은 새로운 기주로 밝혀졌다. 3. 충매전염 우리나라의 애멸구화기는 5회였으며 수원에서의 제2회성충 최성기는 6월 20일 경이고 제3회성충 최성기는 7월 30일 경이었다. 진주는 수원보다 제2회성충 최성기가 5-7일 빨랐고 진주에서는 제3회성충 최성기의 발생량이 많은 것이 달랐다. 애멸구 세대별 보독충율은 월동약충이 였고 제1세대유충은 , 제2회성충은 , 제2세대유충은 , 나머지 화기에서는 약 였는데 보독충율은 남부지방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1966년부터 1970년생 사이의 애멸구 보독충율은 해에 따라 다소 차가 있었으며 화기별로는 제2회성충과 제3회성충의 보독충율이 높았다. 분리한 애멸구보독충을 재분리하여 이를 교배하였더니 차대에서는 보독충율이 인 애멸구를 얻을 수 있었으며 애멸구충령별로는 3, 4, 5령충의 감염능력이 높았고 애멸구 무독충의 바이러스 재획득율은 평균였고 여기에서 얻어진 친화성계통이라 할지라고 3회접종시험결과 계속하여 3회까지 벼에 바이러스를 매개하지 않았다. 또 애멸구보독충의 감염최적온도는 였으며, 이하에는 감염이 일어나지 않을때도 있었다. 그리고 애멸구기생봉의 기생율은 6월부터 8월말까지 였으며 7월 10일경이 로서 가장 높았다.
        6,100원
        10.
        197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1.
        197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provincial seed Potato Production farms, a Preliminary survey on the local population of the aphids was made in Sulchon alphine area, Mooju-Goon, Chollapuk-Bo where the climatic conditions were almost same as those of Taegwanryong Kangwon-Do, where Alpine Experimental station is located. This area stands from 650 to 900 metres above the sea level and divided three location of A. B, C, by altitude. A stands at 900 metres above the sea level. B at 750 metres and C at 650 metres. A and B divided three points: Al, A2, A3, and Bl, B2, B3- and divided four points-Cl, C2, C3, C4- at the distance of 300 metres apart each other. The traps were operated from July 21 to October 31, 1969. Otherwise, the traps established at Suwon (inland) and Taegwanryong where Alpine Experimental Station. A total of some 70 species including five virus vector species were identified. The Numbers of species at 10 locations, Suwon and Taegwanryong are as follows, Al-34, A2-38, A3-29, B1-25, B2-26, B3-29, C1-27, C2-14, C3-32, C4-37, species (Table 1), Suwon-49 species (including 5 virus vectors species), Taegwanryong-22 species (including 4 virus vector species). The aphids are shown in Table 1 and the Vectors are as follows: 1. Aphis gossypii Glover 2. Aulacorthum solani (Kaltenbach) 3. Lipaphis erysimi (Kaltenbach) 4. Myzus persicae(Sulzer) 5. Phorodon humuli (Schrank) Numbers of vectors versus total aphid at each locations, including inland (Suwon) and alpine area (Taegwanryong) where Alpine Experimental Station are as Fig. 1. Of a total 8,902 aphids, 6,400 were Tetraneura sp. The number of aphids devoid of the number of Tetraneura sp. are as follows, (Numbers means mean of each locations) A, 215. B, 115, C, 176 and Suwon, 2,952, Taegwanryong, 247. Densities of aphids at the locations is lower :han those at Suwon and Taegwanryong. And density of vectors at the locations, at ranged from 11 to 37, is love. than those at inland (Suwon, 197) and alpine area (Taegwanryong, 90). Thus, this area is suitable for seed potato production as Multiplication field.
        3,000원
        12.
        196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본 시험은 2개년에 걸쳐(1963-1964) 부산에서 양파로균병방제를 위하여 신살균제 6종을 공시하여 종래에 사용하여 오던 석회보르도와 비교시험하였다. 2. 약제처리구는 무처리에 비하여 방제효과를 인정할 수 있었으며 특히 Difolatan과 Dithane M 45는 그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Dithane M22, Dithane Z 78, Orthocide도 석회보르도보다 효과가 좋았으며 산키농은 석회보르도와 함께 전자에 비해 약간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000원
        13.
        196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본시험은 1962년과 1963년에 감자 겹둥근 무되병에 대한 살균제 7종을 공시한 효과비교시험이다. 2) 본병을 방제학 위하여 Alternaria solani를 접종한 후 6월 초순부터 1주일간격으로 4회 살포함으로서 방제효과가 우수하였다. 약제살포구는 무살포구에 대하여 유의성이 있었고 특히 Dithane M45, Difolatan, Dithane M22는 효과가 좋았으며 세 약제간에는 유성이 없었다. 그 다음으로 볼드액살포로서도 상당히 효과가 양호하였다.
        3,000원
        15.
        197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구마 보유품종 및 계통들에 대한 흑반병의 저항성을 검정하여 육성모본으로 훈용하고자 병원균을 배양 접종하여 실내검정(1977연)과 고구마 묘에 접종 포장검정(1976∼'77연)을 실시한 결과 1. 실내검정 및 포장검정에서 흑반병 저항성의 품종간 차리는 현저하였으나 포장검정결과는 실내검정 결과에 비하여 연차간의 변이가 크게 나타났다. 2. 실내접종 검정에 공시한 165품종 및 계통중 수원3003, 수원3005등 15계통이 특히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3. 포장검정에서는 161품종 및 계통중 천미, 유심 등 54계통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실내 및 포장검정 양측에 모두 강한 품종 및 계통들은 수원59호. 수원8001. 수원90호, 농림17호, 농림2003, 70일조, 사천종3006, Hamkao, Kandee등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