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2.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송충살이고치벌아과의 Aleiodes의 미기록종 4종(A. lipwigi, A. guidaae, A. subemarginatus, A. caprinus)을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본 연구에 선 종의 동정을 위한 진단, 분포, 삽화 및 DNA 바코드 서열을 제공한다.
        4,000원
        4.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치벌과에 속하는 Microgastrinae 아과의 Diolcogaster perniciosa (넓적다리도랑꼬마고치벌)을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의 재기 재, 진단, 분포정보, 그리고 삽화를 제공한다.
        3,000원
        8.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alate aphids needs reliable and appropriate methods such as morphometrics. In previous studies, the seven species which aphids have been known as migrating to potato had been separated into genus levels using specific points of forewing vein (Landmarks). Adding the number of secondary sensillum of antennae, setae of abdomen, etc., we experimented to separate four species of genus Aphis (Aphis craccivora, Aphis fabae, Aphis gossypii, Aphis spiraecola). After taking each of 25X twenty photographies of four species, we calculated and measured coordinates of landmarks, the number of secondary sensillum of antennae, dorsal setae of 8th abdominal segment, anterior/posterior genital plate setae and cauda, and then performed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PAST3 and the canonical variate analysis using MORPHO J, only with a landmarks. As results, in PCA, Aphis gossypii has been separated, but the others are overlapping. In CVA, all species of aphis has been separated.
        9.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기온이 높아지면서 강원도 대관령 감자 재배지로 날아오는 진딧물 발생이 늘어나고 있다. 그 중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경제적으로 중요한 해충으로, 감자, 고추 등 노지작물에 흡즙을 통한 바이러스 매개하고 생육저하를 일으키는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는 복숭아혹진딧물의 지리적 차이에 따른 집단의 유전적 관계 규명을 통해 기주식물, 메타집단 등의 군집구조 및 발생패턴을 분석하고, 이러한 요인으로 인한 진딧물 집단의 분산 및 이주 관계를 추정하였다. 최종적으로 개체들 간의 집단유전학적 관계규명을 통해 이들의 확산과 비래 양상을 규명하고자 한다.
        1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진딧물의 조기 방제를 위해 유시충의 동정이 필요하나 적절한 분류 동정법이 존재하지 않아 분류동정법의 기초자료로써 진딧물의 앞날개의 시맥을 형태계측학을 통하여 분석하여 진딧물의 앞날개로 분류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 알려진 감자 비래 진딧물 10종 중, Aphis craccivora, Aphis fabae, Aphis gossypii, Aphis spiraecola, Rhopalosiphum rufiabdominale, Myzus persicae, Brachycaudus helichrysi 총 7종의 유시충 표본에서 앞날개 부분을 25x 배율의 사진을 촬영하여 앞날개 이미지 파일을 확보했으며, 이미지 파일은 tpsDig2를 사용하여 앞날개 맥의 Landmarks를 표시하고, PASTsoftware 를 사용하여 각 진딧물의 Landmarks에 대한 주성분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PCA)을 수행하였다. 총 7종에 대한 PCA 결과, Rhopalosiphum rufiabdominale 는 다른 6종과 확연하게 구별할 수 있었으며, Myzus persicae 또한 다른 종들과 구별될 수 있었다. Aphis 속 4종과 Brachycaudus helichrysi 는 밀집되어 서로 구별하기 힘들어, 이 5종에 대한 PCA 수행하였다. 그 결과, Aphis fabae 와 Brachycaudus helichrysi 는 서로 구별될 수 있나 다른 3종에 대해서는 구별하기가 어려웠다. 위 분석결과 진딧물의 앞날개 맥으로 주요종의 감자 비래 진딧물의 분류동정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1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꽃매미(Lycorma delicatula White, 1845)는 노린재목 꽃매미과에 위치한 곤충으로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의 아열대 지역이 원산지이며, 식물을 흡즙하여 광합성 저해와 배설물로 인한 그을음병을 유발시켜 과수 및 농작물 등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한국에서는 2006년에 대발생하여 문제가 되었으며 매 년 분포와 밀도가 증가하여 포도농장을 중심으로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종분포모델 중 하나인 MaxEnt 를 이용하여 꽃매미의 잠재 분포지역을 예측하고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출현정보는 현장조사와 문헌조사를 통해 수집하였고 환경변수데이터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후데이터로 19개의 Bioclimatic variables 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추가로 인간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Socioeconomic data and applications center (SEDAC)에서 제공하는 Population density 와 Global human footprint 를 다운받아 인간 영향 변수데이터로 사용하였다. 각 변수간의 Correation 을 고려하여 Model set 를 만들어 Model selection 을 수행하였다. 가장 적절한 모델은 Bio4, Bio6, Bio10, Human footprint 이었으며 분포 예측에 대한 기여도가 가장 높은 환경변수는 Human footprint 이었다. 예측한 잠재 분포지역은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남도와 대구 인근지역이 높은 서식확률이 예측되었고, 강원도 지역과 같은 고산지역은 분포확률이 낮았다.
        12.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꽃매미(Lycorma delicatula)는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비롯된 국내 침입해충으로 식물을 흡즙하고 배설물 을 배출하여 식물의 광합성을 저해하거나, 그을음병 등을 유발시켜 주로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본 연구에서 는 종분포모델 중 MaxEnt를 이용하여 꽃매미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분석하고, 잠재적서식지와 향후 꽃매미의 확산을 예측하였으며, 환경변수 데이터는 WorldClim 에서 PCP85의 Bioclim과 Socioeconomic data and applications center 에서 인구의 밀도와 이동범위 자료를 활용하였다. 결과로 잠재서식지 예측에는 기온의 계절적 변동과 인구밀도가 가장 기여도가 높았다. 예측된 잠재서식지는 주로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북도와 동해안 인근지역이며 전반적으로 대한민국 전체에 넓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현재와 2050년도의 잠재서식지 확산을 비교했을 때 전 지역에서 확산되는 것으로 보이고, 특히 경상북도 지역의 확산이 넓을 것으로 예측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