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초에 채집하여 Blackman(1987)의 기주선호성과 형태적인 특징을 이용하여 분류한 방법에 의해 두가지 타입을 (M. persicae Sulzer와 M. nicotianae Blackman)으로 구분된 무시성충 복숭아 혹진딧물 8 클론의 유전적 특성을 분석을 위하여 RAPD-PCR방법을 이용하였다. 사용된 random primer(10-mer) 100개 중에서 20개의 primer을 선발하였는데 GC content가 70, 80, 90%인 primer에서 각각 26.9%, 50.5% 및 66.^%로 GC content가 높아질수록 PCR결과 band의 양상이 좋게 나타났다. simple matching coefficient를 구하여 matrix를 작성해 본 결과 유사계수(similarity coefficient)의 범위는 0.414~0.808사이이었다. 복숭아혹진딧물 clone 간에 유사계수가 가장 높은 것은 PG2와 PG3 클론으로 0.808로 나타났으며, DBR클론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PG2 클론간의 유사계수를 0.414로 유사도가 가장 낮았다. 유사계수를 이용하여 8가지 클론의 진딧물들에 대한 유전적 근연관RP를 살펴보면 M. persicae typer에 속하는 PG1, PG2, PG3 클론들과 M. nicotianae type에 속하는 RED 클론이 유사도 0.643에서 한그룹, M. nicotianae type에 속하는 GR1, GR2, BRN크론들이 유사도 0.636에서 유연관계가 있었으며 그리고 M. persicae type에 the하는 DBR클론 등 세 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따라서 연초에서 발생한 복숭아혹진딧물 형태형 2종 (M. persicae와 M. nicotianae)에 대하여 RAPD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해본 결과 뚜렷한 유전적 유연관계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4,000원
        2.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꼬리명주나비(Sericinus montela Grey)의 유충을 재료로 하여 투과전자현미쟁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혈구의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꼬리명주나비 종령유충의 혈구는 구조와 특징에 따라 5종류로 구분되었다. 원시혈구(Prohemocyte)는 세포내에 하나의 큰 핵과 미분화된 세포내 소기관을 가지고 있었다. 부정형혈구(Plasmatocyte)는 섬유다발을 가진 방추행 또는 난형의 비교적 큰 세포로, 특히 방추형의 세포는 길게 발달한 핵을 갖고 있었다. 과립혈구(Granular cell)는 세포질내에 다양한 과립과 잘 발달한 소기관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원형질 돌기를 많이 가지고 있었다. 소구형혈구(Spherule cell)는 세포질내에 미세한 물질을 함유한 소구(spherule)를 가자고 있으며 성숙한 세포는 소구내의 물질을 혈림프내로 방출시켰다. 편도혈구(Oenocytoid)는 세포질내 전자밀도가 높은 물결로 채워져 있으며 소기관은 잘 발달되어 있지 않았다.
        4,200원
        3.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증숙단계별 고려홍삼의 조직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료는 6년근 고려인삼을 60분, 120분동안 증숙한 후 수분함량을 13±0.5% 까지 건조 후, 수직 수평으로 절단하였다. 조직은 표피, 피층, 목질부로 구분하여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비교 관찰하였다. 증숙 없이 건조된 시료는 세포막이 유지되고 그 안에 전분입자의 결정성이 유지되어 있었다. 반면에 증숙시간이 연장될수록 호화 후 건조에 따른 수축으로 인하여 조직이 치밀하여지고, 세포조직 사이의 도관, 수지관 등의 동공 및 세포막의 구분이 없어진 것이 특징이었다. 또한 수산화칼슘 족정은 증숙시간 60분 이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원인은 내용성분이 호화 된 후 건조로 인해 조직이 수축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로서 증숙단계에 따른 홍삼 조직의 분명한 특성을 비교 관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