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살비제저항성 기작을 구명하기 위한 기초시험으로서, 유기인계 carbophenothion과 ethion, 유기염소계 dicofol, 유기주석계 cyhexatin 및 합성 pyrethroid계 biphenthrin으로 누대도태한 각 저항성계통과 감수성계통을 공시하여, esterase isozyme의 영동대 차이점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을 비교한 결과, carbophenothion 저항성계통은 감수성계통에서 나타나지 않은 Est. 1, Est. 3이 검출되었고, ethion과 cyhexatin 저항성계통에서는 각각 Est. 3이, dicofol 저항성계통에서는 Est. 1, Est. 3, Est. 7이, biphenthrin 저항성계통은 Est. 3, Est. 7이 검출되었다. 이러한 영동대와 기질분해량의 차이점으로 미루어 보아 공시살비제들의 저항성발달에는 esterase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感受性系統에 대하여 有機燐系 殺婢劑인 ethion, 有機濾素系인 dicofol과 有機朱錫系인 cyhexatin 및 合成pyrethroid系인 biphenthrin 등으로 交互累代潔凉를 實施하여 각 殺婢劑의 抵抗性發遠 差異와 複合抵抗性의 有努 및 程度를 試驗.調宜하었다. Ethion/dicofol(13-13世代) 洵流系統은 ethion에 대하여 49.4浩, diceo떼 대하여 18.1倍의 抵抗營,이, othiohjcyhexatin(9-9世代) 洵淪系統은 ethion에 대해서 28.1倍, cyhexatin에 대해서 5借의 抵抗性이, ethionjbiphenthrin(10-10世代) 海治系統은 ethion에 대하여 39,8倍, thrin 에 대하여 19.2倍의 抵抗性이, ficofoljcyhexatin(9-9世代) 海流系統은 dicofo떼 대해서 11.3倍,cyhexatin에 대해서 4.9倍의 抵抗性이, ficofoljbiphenthrin(12-12世代) 海流系統은 diceof 에 대하여 11.2借, biphenthrin에 대하여 9.4倍의 氣抗性이, oyhexatinjbiphenthrin(9-9代代) 海流系統은 cyhexatin에 대하여 3.7倍, biphenthrin에 대해서 7.7倍의 抵抗性이 發達하여 海流親婢劑의 組合에 따라 抵抗性發連 水準의 差異가 있었다. Ethion/dicofol 抵抗性系統은 洵流에 駱與하지 않은 biphenthrin에 대하여 率度의 複合抵抗性을 나타내었고, jcyhexatin, ethionjbiphenthrin 抵枕性系統들은 각각 biphenthrin과 dicofe떼 대해서 비교적 낮은 水準의 複음抵抗性을 보펄으며, Oicofaljcyhexatin, Oicofoljbiphenthr운 그리고 cyh訓stinjbiphenthrin 海社系統들은 모두 ethion에 대하여 각각 高虜의 複合抵抗性을 나타내었다.
        4,000원
        3.
        198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감수성계통에 대하여 유기찬계 살충제인 carbophenothion, ethion과 유기소계인 dicofol, 유기주석계인 cyhexatin 및 합성 pyrethroid계인 biphenthrin등으로 단제루대도태를 실시하여 각 살충제의 저항성발달 차이와 약제상호간의 교우저항성의 유무 및 정도를 시험.조사하였다. carbophenothion과 ethion은 22세대와 24세대 도태에 서 각각 156배와 64.1배의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dicofol은 28세대 도태에서 39.7배로 biphenthrin은 24세대도태에서 13배로 화학적계통이나 동일계통내에서도 약종에 따라 저항성유발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Carbophenothion 도태계통은 도태에 관치하지 않은 ethion에 대하여 높은 수준의 교우저항성을 나타내었으나 dicofol과 biphenthrin에는 낮은 수준의 교우저항성을 나타내었고, ethion 도태계통은 carbophenothion에 대해서 고도의 교우저항성을 나타내었다. Dicofol이과 biphenthrin 도태계통들은 모두 carbophenothion과 ethion에 대해서 중도의 교우저항성을 보였으며, cyhexatin 도태계통은 ethion과 carbophenothion에 대하여 고도의 교우저항성을 나타내 었다.
        4,000원
        4.
        198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에 대(對)한 약제저항성(藥劑抵抗性) 수준(水準)의 결정방법(決定方法) 개선(改善)을 위한 시험(試驗)과 benzomate, dicofol 및 cyhexatin 에 대(對)한 과수원(果樹園) 계통별(系統別) 응애에 대(對)한 관용약제(慣用藥劑)의 저항성(抵抗性) 수준(水準)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 1. 점박이응애계통(系統)을 치(植)로 비교(比較)할 때 benzomate 에 대(對)하여 금천계통(系統)이 광주감수성계통(光州感受性系統)에 비(比)하여 slide dip법(法)으로는 75배(倍)이고 leaf dip법(法)으로는 69배(倍)이며, 학교계통(系統)은 slide dip법(法)으로는 38배(倍)이고 leaf dip법(法)으로는 35배(倍)의 저항성(抵抗性) 수준(水準)을 나타냈으며, 이 두 방법간(方法間)에는 t-test (P>0.05) 에서 유의(有意)하지 않았다. 2. Dicofol에 대(對)하여는 금천계통(系統)이 slide dip법(法)으로 71배(倍)이고 leaf dip법(法)으로는 74배(倍)이며, 학교계통(系統)은 slide dip법(法)으로 24배(倍)이고 leaf dip법(法)으로 는 23배(倍)의 저항성(抵抗性) 수준(水準)을 보여 두 방법간(方法間) 역시 t-test (P>0.05) 에서 유의(有意)하지 않았다. 두 방법(方法) 중 slide dip법(法)이 더 정확(正確)하고 시험오차(試驗誤差)가 더 적으므로 응애류(類)의 약제저항성(藥劑抵抗性) 수준결정(水準快定)에는 이 방법(方法)의 이용(利用)이 바람직스럽다. 3. Cyhexatin에 대(對)한 비아, 금천 및 학교계통(系統)은 slide dip법(法)에 의하여 각각(各各) 19, 18 및 9배(倍)의 저항성(抵抗性) 수준(水準)을 나타냈다.에서 의 증가율(增加率)을 보여 산란수(産卵數)의 증가(增加)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6. Pot시험(試驗)에서, 약제처리(藥劑處理) 후(後) 조성(組成)된 벼멸구 차세대개체군밀도(次世代個體群密度)는 전반적(全般的)으로 모든 처리(處理)에서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증가(增加)되었는데, 특히 diazinon 과 decamethrin 처리(處理)에서 높은 증가율(增加率)을 보였다. 7. 약제처리(藥劑處理) 후(後), hopperburn발현도(發現度)는 약제(藥劑)의 종류(種類) 및 처리농도(處理濃度)에 따라 큰 차이(差異)를 보였는데, hopperburn발현(發現)은 diazinon, decamethrin 처리(處理)에서 크게 촉진(促進)되었다. 이상의 결과(結果)를 종합적(綜合的)으로 볼 때, diazinon 과 decamethrin의 처리(處理)는 포장(圃場)에서 벼멸구의 산란력(産卵力)과 성충수명을 증대(增大)시키고, 식이활동(食餌活動)을 촉진(促進)함으로서 벼멸구의 resurgence를 유발(誘發)하고 아울러 수도체(水稻體)의 hopperbun을 가속화시킬 가능성(可能性)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는 점차 약하여 졌으나 catalase, invertase는 그 활성도가 일단 숙성중기에 높아졌다가 낮아졌다.n 이 pH 4.2이고 temperature는 이었다. 그리고 5'-phosphodiesterase 생성에서 최적 탄소원은 sucrose이고 질소원은 이고 corn steep liquor나 혹은 yeast extract를 각각 0.01%씩 첨가한 구는 첨가하지 않은 control 구보다 20%의 5'-phosphodiesterase 생성 증가를 나타 내었다. 이 균이 생성한 5'-phosphodiestrase
        4,000원
        6.
        197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의 주요해충의 효율적인 방제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관용살충제인 유기인제계의 MPP제, Diazinon제와 Carbamate 제계의 NAC제에 대해 여러 지역의 이화명충 (Chilo suppressalis W.)과 끝동매미충(Nephotettix cincticeps U.)의 저항성 수준 및 분포를 조사한 결과 가. MPP제에 대한 이황명충은 조암, 수원, 이천계통이 양평계통에 비하여 2-4배의 저항성을 보였고 나. MEP제에 대한 이화명충은 양평계통에 비해 김포, 평택, 용인, 이천, 수원 및 조암계통이 2-6배의 저항성을 보였으며, 다. Diazinon제에 대한 이화명충은 수원계통이 양평계통에 비교하여 약 3배의 저항성을 보였으나 다른 계통간에는 별차가 없었다. 라. 이화명충의 월동유충이 사육유충보다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더 떨어지는 것은 사육중 활력이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마. 끝동매미충에 있어서 MEP제의 겨우 이리계통이 수원계통에 비하여 약 13배, 밀양, 평택계통이 7-8배, 이천계통이 4배의 저항성을 보였고, 바. MEP제에 대한 끝동매미충은 역시 이리계통이 수원계통에 비해 약 7배, 평택계통이 4배로 나타났으며, 사. NAC제에 대한 끝동매미충은 지역별 계통간에는 별차를 보이지 않았다.
        4,000원
        7.
        197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흰빛잎마름병의 병원균(Xanthomonas oryzae)을 이용하여 항생제의 일종인 Agrepto에 대한 약제저항성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세대 경과에 따른 약제처리효과를 Optical Density로 간접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grepto는 액체배양기에 첨가되었을 때 처리 제1세대 30ppm까지의 낮은 농도 처리에서도 세균증식에 현저한 저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2. 동일농도의 4세대간 처리에서 세대의 경과에 따라 세균 증식량이 현저히 증가하였고 증식율은 10ppm 처리구에서 보다 30ppm 처리구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3. 전세대 20ppm 처리구의 선발집단의 경우 세대가 경과할수록 더욱 내성의 증가 현상을 나타내었다. 4. 고농도 처리구에서 선발된 세균이 저농도처리구에서 선발된 세균의 경우보다 저항성 형성이 현저히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8.
        197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실흡아류의 종류와 피해를 조사한 결과 1968년에는 우묵밤나방등 밤나밤과의 7속 10종이 채집분류되었으며 1969년에는 배칼무늬나방(Apatele rumicis oriens S.) 멸강나방(Leucania separata W), 톱니뭉뚝나방 (Scoliopteryx libatrix L.) 및 목화밤나방(Anomis flava flava F.)등의 4종이 조사추가되었다. 과실흡아류의 피해는 지역에 따라 다를 뿐만 아니라 품종에 따라서도 다르다. 수원지방의 포도에 대한 평균 피해율은 에 비하여 1968년에는 의 높 피해율이었으며 진주지방의 배에 대해서는 에 비하여 1968년에는 의 낮은 피해율을 보였다.
        3,000원
        9.
        197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우리나라 과수재배지대에서 과실성숙기에 문제가 되고있는 종류미상의 과실흡아류는 특히 산간지대의 배, 복숭아, 포도, 사과등에 대한 피해가 증가해가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들 흡아류에 관한 효과적 방제법을 구명하기 위한 기초적자료를 얻고저 우선 그 종류와 과수의 피해를 수원과 진주지방에서 조사한 결과 과수흡아류로서 7속 10종이 채집되었으나 주로 간제되는 종빈는 Noctuidae과, Catocalinae아과에 속함을 알수 있었다. 흡아류는 우묵밤나방(Oraesia excavata BUTLER) 으름나방(Adris tyrannus amurensis S.), 칼페 우묵밤나방 (Calpe thalictri Brok.), 무궁화밤나방(Dermaleipa juno DELMAN)등의 4종은 우리나라에서 이미 알려진 종이었으나 그외 애우묵밤나방(Oraesia emarginata FABRICIUS), 큰우묵밤나방(Oraesia lata BUTLER), 정거세미나방 (Agrotis tipsilon ROTTEMBURG), 모무되뒷노랑나방 (Chrysorithrum amata Bremer et GREY) 디눔마방나방(Dinumma deponens WALKER), 그리고 모밀거세나방(Trachea atriplicis LINNE)등 6종이 조사 추가되었다. 과수흡아류중에서도 우묵밤나방의 피해가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무궁화밤나방과 으름나방의 피해도 컸으나 재배지역이나 계절에 따라서 애우묵밤나방이나 으름나방의 발생이 많을 때가 있었다. 흡아류는 초여름부터 늦은 가을까지 성숙기에 있는 모든 과실에 흡수가해하며 습성은 완전 야행성이다. 수원지방의 포도에 대한 피해는 평균의 높은 피해율을 보였으며 진주지방의 배에 대한 피해율은 평균 이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