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2.
        197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수도 내도열병품종의 다수재배 기술의 보급으로 잎집무늬마름병의 발생은 7월초로 크게 한기화되었음으로 약제방제적기도 7월상순 부터 8월상순 까지로 과거보다 일 앞당길 것이 불가피하다. 2, 잎집무늬마름병의 방제는 발병 초기일수록 효과적 임으로 7월초의 발병초기와 7월하순 이후의 발생최성기의 2회 약제시용은필수적이며 발생 후기인 8월 중, 하순 이후의 실기방제는 비경제적이다. 3. MAFe제은 강력한 예방과 고도의 치료효과를 겸유하고 있으며 다른 유기비소제와는 달리 품종과 시용 시기 및 부에 따른 약해도 안전하며, 수도용 타살균약나 살충제와의 혼용 사용에도 유리하다. 4. 작물중의 유기비소의 함유량은 현미중에는 평균 0.2ppm에서 0.65ppm 이하 임으로 농수산부의 정적 허용기준인 3.5ppm에는 크게 미달하나, 년중 4회하상의 과용이나 출수기 이후의 시용은 지양 할 필요가 있다. 5. 잎집무늬마름병 방제면적은 최근 수배로 급증되어 이에 따른 농약 소요량은 1973년의 약 10배이며, 공급액으로는 격증되고 있는데 ha 당 농약대는 약종에 따라 배의 차이가 있이 200ha당 전방면적에 소요되는 농약대도 10억원 이하에서 120억원 이상으로 큰 차이가 있으니 미 생산비와 농민부담을 경감하기 위해서도 MAFe 제의 공급은 부득기하다. 6. MAFe제(네오아소진 액제, 분제)는 다른 유기비소제와는 달리 적기 적량 시용으로 약효와 경제성이 항생제를 우월할 뿐아니라 약해와 독성에 안전하며, 토양 및 작물중의 잔류도 문제시되지 않음이 확인되었음으로, 수도 병해충 동시방제를 위한 혼합제 개발과 저항 또는 공동방제에의 적극적이용이 기대되며 현행의 농약안정사용기준 이상의 규제는 불필요하다. 시흥군서면지역은 앞으로의 축적상태를 단속하여 구명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으키지 않았다.) (5) 충영내 유충의 밀도는 약제의 종류, 농도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Omethoate, Salithion처리에서 충영내 유충밀도가 낮었다. 농도가 낮어짐에 따라 충영당 유충의 밀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충영내유충의 밀도는 7월 15, 7월 17일 처리에서만 조사 되었는데 처리시기간에는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희석한계는 , 그리고 보존한계는 2 일이었다. 8.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순화는 2회의 분획원심과 Sephadex gel filtration에 의해서 가능했다. 9. 전자현미경하에서 관찰한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길이 1200-1225mu 폭 10-12mu의 사상이었다. 10. 혈청학적 미량침강 반응법에 의해 마늘잎에서뿐만 아니라 인편과 주아에서도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검정이 가능했다. 11. 우리나라 5개 지방에서 수집한 마늘 종구 150개와 주아 30개에 대해 혈청학적방법으로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감염률을 조사한 결과 의 감염률을 보였다. 12.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와 크기가 근사한 Potato Virus X. Potato virus Y, Potato virus S, Potato virus M 등과의 혈청학적 유연관계를 조사한 바,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이들과 구별되는 다른 바이러스라고 생각된다. 13. 마늘의 모자이크 감염주에서 단일계통으로 분리하여 본 실험에 사용한 바이러스는 마늘의 바이러스 무감염주를 얻을 수가 없기 때문에 직접 마늘잎에 접종해서 모자이크톤의 병원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검정식물상의 반응, 혈청학적반응, 전자현미경적 관찰등의 간접적인 조사 결과로 미
        4,000원
        3.
        197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한국의 최근 6개월 간의 농약의 생산 및 소비와 병해충의 발생 및 방제에 관한 자료를 검토, 분석하여 농약의 수급과 개발에 관한 종합적 인 고찰을 함으로써 당연한 농약 산업의 현황과 병해충방제의 제문제점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조사, 연구에 필요한 보다 정확하고 이용도가 높은 기초적 참고자료로 이용될 수 있게 하였다. 2. 농작물의 종류와 재배면적은 거의 고정적이나 병해충의 발생에는 상당한 충동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방제면적과 시용 회수 그리고 농약 사용량은 한계선에 이르렀으니 양적인 생산과 소비에서 질적인 전환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하겠다. 3. 원제의 수입가공에 의존해온 농약생산을 가급적 원제의 국내합성으로 대체하여 수입보다도 유리한 가격과 품질과 물품을 확보함으로써 생산과 가격 및 수급의 안정을 기해야 하겠다. 4. 재배법과 품종의 변화에 따르는 병해충의 생리생태와 예찰에 기초를 둔 적기 적제 적량의 안전 사용체계확립과 동시, 성력방제기술의 보급으로 증산과 소득증대에 이바지해야 할 것이며 특히 수도에 있어서의 살균 일반충혼합분제의 생산보급은 필요불가결 한 것이다. 5. 농업수급계획의 지연으로 생산 및 공급에 큰 지장을 초래케 하지 말 것이며, 파도가 물리적정 무리한 생산공급으로 재고이월과 판매경쟁을 과격화시켜 농약의 품질과 가격과 또 유통의 무질서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기업운영을 곤란케 해서는 안될 것이다. 6. 농업증산과 농가소득의 증대를 위한 농약의 생산공급은 불가피한 것임으로 적정가격의 유지와 농약대의 신속한 지불 등은 물론 당면한 생산과 연구개발과 또 시설현대화 등을 위한 과중한 자금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기금조성이나 국고지원 등으로 농약기업을 보호육성 해야 할 것이다. 7. 농약의 생산과 소비의 합리화를 위한 제도적 또는 행정적 개선이 선행되어야 하겠는데 수입과 제조허가 그리고 시험방법과 허가 및 등록절차 또 검사와 품질관리가격 및 판매와 유통이나 사용법 등의 개선을 위한 농약관리 관계 제법규의 현실적 개정이 조속히 실현되어야 할 것이며 농약의 안전사용과 종합적 방제를 위한 연구시험과 기술지도가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
        4.
        197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동상해 (수부병)의 원인은 수확기의 강설과 저온(동상과율 수확직후 , 피해과의 폐기) 2. 동상해는 금팡이병류의 유발과 피해의 증대 요인(이병과율, 동상과, 부패감모량 ) 3. 발생 병해는 녹색, 청색, 회색 곰팡이와 균핵병등 (녹색, 청색, 회색 균핵기타 ) 4. 피해는 1톤당 로 135kg/톤의 부패로 손실액 27만원톤(해태 2,000톤중 55.2백만원, 제주도 5,000톤중 135백만원) 5. 방제는 조기선과 및 축하와 예조, 약제처리 등으로 부패 억압(발병과 부패는 10일내에 증대, 예조로 10일간, 약제로 20일간 억제)
        3,000원
        5.
        197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ld damaged mandarins caused by low temprature and snow at harvest season were very severe at Jeju in 1975, and the storage diseases were also unusually serious in connection with water rot. The control measures for these problems in citrus culture are not developed yet in Korea. For the control of fruit rot diseases in the storage, fungicide applications with the use of various containers are tested. Thiofernate (Topsin WP , X 1, 200) treatments with wooden boxes and PVC containers were very effective, but for the practical and satisfactory solutions on the storage diseases control of citrus, Benlate and Sumicidin applications are also considered.
        3,000원
        6.
        196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work on the 'Studies of radiosensitivity' in Korea has been initiated since 1959 by the author at various institutions in home and foreign countries, and more than 20000 of plant materials in 73 varieties and 41 kinds are treated under varied conditions for the studies of radiosensitivity in plants. However, a study of the susceptibility to radiation in insect pests as well as their biological effects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in this country. During the year of 1964 and 1965, near 50000 of insects at the stages of adult, egg, larva and pupa in 14 different kinds are irradiated under acute X and gamma rays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growth and lethality after irradiation, and thrir general tolerances to radiations are compared by the kind of insects, stage of growth, radiation sources and exposured dosages. Through the experiments, it is shown that the lethality in most of insects are high as several kilo roentgens above and no significant effects on pupation. emergence, and oviposition in the treated generation at the dose of 3 Kr. below, but in the following generation , the rice stem borer for instance, no oviposition or decreased laying is observed from the dosages at 3 Kr. to 1 Kr., and the hatching was possible from 1.5 Kr. below of irradiated larvae although laying and hatching are seemed in normal. In general, the lethal dose of tested infect materials at the larval stage can he classified some what 60-80 Kr. for Pine caterpillar, Fall webworm, Camphor silk moth and their relatives, at 40-60 Kr. for Gypsy moth, Monley prominent and some relatives and at 20-30 Kr. for House fly, Rice weevil, Pine sawfly etc. Plant parasitic nematodes such as Hirschmannia and Paratylenchus shown very high resistance to radiation and the LD-50 is observed from 100 Kr. or above. A concept to evaluate the radiosensitivity in insects by taxological family line as a practical measure is not answerable yet, but it ran he solved within the near future through the continuing experiments.
        4,000원
        8.
        196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본시험은 이화곤충방제에 유효하다고 인정된 신살충제를 선정하여 이화곤충에 대한 살충효과의 재확인 및 살포적기를 구명코저 시행하였다. 2. 제일화기에 있어서 Diazinon, Lebaycild, Endrin 및 Folidol은 부화 14일전 처리로서도 부화유충의 식입제로서 유효하였고, 부화유충 식입후일처리구에 있어서도 무처리구에 비하여 유효하였다. 3. 제2화기에 있어 부화 21일전 처리구의 유효성은 Detron=Folidol>-dol>Endrin>Dimecron의 순이었다. 그리고 부화 14일 및 17일전과 부화 2일 및 7일후 처리에 있어서도 을 제한 다음 약제들은 고도의 유효성을 나타내었다. 4. 그러나 약제처리시기 사이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5. 본시험은 1회의 시험성적임으로 동일시험이 수회반복되어 살충효과 및 살포적기가 완전히 구명되었으면 한다.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