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 흰빛잎마름病 病原細菌의 繼代培養이 病原性에 미치는 効果 KCI 등재

Effect of Serial Transfer on the Virulence of Xanthomonas oryza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893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3,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벼 흰빛잎마름병균, Xanthomonas oryzae의 채집균주중에서 가장 병원성이 큰 2균주를 선발하여 각각 10대까지 계대배양하였다. 계대배양한 모든 세균을 "밀양23호", "유신", "통일"의 분얼기묘에 접종한 결과, 1) 병원성이 큰 III군균주(IN7721)가 작은 1군균주 (KB7785)보다 계대배양으로 인해 더 많은 감퇴를 나타내었다. 2) 품종의 저항성에 따라 병원성 감퇴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병원성이 작은 균주(I군, KB7785)는 저항성 품종에서, 병원성이 큰 균주(III군, JN7721)는 이병성품종에서 각각 병원성감퇴가 더 컸다. 3) I군균주(KB7785)가 "통일" 품종의 분얼기 묘에 III군균주(JN7721)와 비슷한 정도로 침입할 수 있었다. 4) 10대까지의 계대배양 도중에 콜로니 형태가 다른 변이균은 관찰되지 않았다.

Two different isolates of Xanthomonas oryzae, KB 7785 of pathotype I and JN 7721 of pathotype III, that had been the most virulent isolates in the previous inoculation test, were reisolated from cultivar 'Milyang 23' and serially transferred to 10 times. They were inoculated to the 3 cultivars, 'Milyang 23' in Kinmaze group, 'Yushin' in Kogyoku group and 'Tongil' in Rantai-emas group cultivars. It was observed that the virulence of the isolate JN 7721 was more attenuated by the serial transfer on the Wakimoto's agar than the isolate KB 7785. The attenuation of virulence of the isolate JN 7721 was more significant at the cultivar 'Milyang23' than at the other cultivars. This suggests that the host-pathogen interactions and differences of the pathogenicity-maintenance ability among the pathogenic strains may be involved.

키워드
저자
  • 李舜九
  • 李泰昊
  • 崔庸哲
  • 趙鏞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