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멸구生態型에 대한 水稻品種의 低低性에 관한 硏究 KCI 등재

Studies on the Resistance of Rice Varieties to Biotypes of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Å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91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유묘반응(幼苗反應)에서 벼멸구 생태형(生態型) 1에 저항성(抵抗性)인 수도품종(水稻品種)은 밀양(密陽) 30호(號), 청청(靑靑)벼, 밀양(密陽) 63호(號), 가야(伽倻)벼, 생태형(生態型) 2에는 밀양(密陽) 30호(號), 청청(靑靑)벼가, 생태형(生態型) 3에는 밀양(密陽) 63호(號)가 추청(秋晴)벼와같은 정도(程度)의 감수성(感受性) 반응(反應)을 보였으며 상풍(常豊)벼는 모든 생태형(生態型)에 감수성(感受性)이였다. 식이(食餌) 및 산란선호성(産卵選好性)에서 생태형(生態型) 1에 높은 선호율(選好率)을 보인 품종(品種)은 상풍(常豊)벼와 추청(秋晴)벼뿐이었지만 생태형(生態型) 2는 밀양(密陽) 3호(號)와 청청(靑靑)벼, 생태형(生態型) 3은 밀양(密陽) 63호(號)에서도 높은 선호율(選好率)을 보였다. 항충성(抗蟲性)에서 약충기간(若蟲期間)은 암컷이 길었으며, 유묘반응(幼苗反應)에서 감수성품종(感受性品種)인 것에서는 생태형(生態型) 1, 2, 3 모두가 더 길었다. 성충수명(成蟲壽命)은 약충기간(若蟲期間)에서 보여준 경향(傾向)과 반대(反對)이였다. 우화율(羽化率)은 밀양(密陽) 63호(號)에서의 생태형(生態型) 3을 제외(除外)하고 생태형(生態型) 1, 2, 3 모두 상풍(常豊)벼와 추청(秋晴)에서 높았으며, 단혈형암컷의 우화(羽化)가 많았고, 장혈형수컷은 거이 같은 비율(比率)로 발생(發生)되었다. 성충체중(成蟲體重)에서 생태형(生態型) 1은 상풍(常豊)벼와 추청(秋晴)벼에서 높았고 생태형(生態型) 2는 밀양(密陽) 30호(號)와 청청(靑靑)벼에서, 생태형(生態型) 3은 밀양(密陽) 63호(號)에서 추청(秋晴)벼에서와 같은 정도(程度)로 증가(增加)되었다. 산란수(産卵數)와 섭식량(攝食量)은 유묘반응결과(幼苗反應結果) 저항성(抵抗性)을 보인 품종(品種)에서 생태형(生態型) 1, 2, 3 모두 높았다. 생태형(生態型) 1의 차대밀도증식(次代密度增植)은 감수성품종(感受性品種)에서 높았지만 밀양(密陽) 63호(號)에서는 30일(日)에 조사(調査)된 것 보다 60일(日)에서 12배(倍)나 높은 증가(增加)를보였다. 현미(玄米)의 esterase isozyme은 상풍(常豊)벼와 추청(秋晴)벼에서 영동대(泳動帶)가 검출(檢出)되었고 다른 품종(品種)에서는 파 음극(陰極)쪽에서 이 검출(檢出)되었다. 그러나 밀양(密陽) 30호(號)와 청청(靑靑)벼에서의 는 밀양(密陽) 63호(號)와 가야(伽倻)벼에서 것보다 약(弱)하게 나타났다. 근단(根端)에서는 상풍(常豊)벼와 추청(秋晴)벼에서 가 검출(檢出)되었고 다른 품종(品種)에서는 가 검출(檢出)되었으며, 는 밀양(密陽) 63호(號)와 가야(伽倻)벼에서 보다 밀양(密陽) 30호(號)와 청청(靑靑)벼에서 더 약(弱)하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resistance of rice varieties to biotypes of the brown planthopper (BPH), capable of surving on the Milyang 30 and Milyang 63 varieties which have Bph 1 and bph 2 gene for resistance, respectively. The rice varieties tested were Milyang 30, Cheongcheong, Milyang 63 and Gaya which have been reported as having resistant genes for the BPH. The check varieties were Chucheong and Sangpoong which have no resistant gene. The degree of resistance to the BPH biotypes indicated that Milyang 30, Cheongcheong, Milyang 63 and Gaya varieties were highly resistant to the biotype 1. But their reactions against biotype 2 and 3 were variable, namely Milyang 30 and Cheongcheong were susceptible to biotype 2, and Milyang 63 was susceptible to biotype 3. In the esterase isozyme patterns of brown rice the bands of were detected in Chucheong and Sangpoong, while the bands of were detected in the test varieties which have genes for resistance. However, the bands of in Milyang 63 and Gaya were stronger than those of Milyang 30 and Cheongcheong varieties. In the root of 10-days seedling, the esterase bands of were detected in Chucheong and Sangpoong, while the bands of were detected in the tested different varieties. But the bands of in Milyang 63 and Gaya were stronger than those of Milyang 30 and Cheongcheong varieties.

키워드
저자
  • 金正和
  • 金斗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