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ight of Matsucoccus thunbergianae Males and Their Response to the Synthetic Sex Pheromone (Homoptera: Coccoidea: Margarodidae)
솔껍질깍지벌레 수컷성충의 비행습성 및 합성페로몬에 대한 반응이 해송 피해림에서 조사되었다. 해송임분내에서 수컷성충의 자연비행밀도는 수관부위가 지표면 근처보다 높았다. 페로몬 50을 처리한 장소로부터 페로몬이 처리되지 않은 끈끈이 트래? frjflquf로 설치하여 수컷의 부착수를 조사한바 페로몬에 영향 받는 거리는 10mm이하로 조사되었다. 합성페로몬 50은 높은 유인효과가 있었으나 1처리구는 유인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수관 울폐도가 높은 지역에서의 지상높이별 유인개체수는 자연비행 밀도와 같이 수관상부가 지표면 근처보다 많았으나 울폐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오히려 지표면 근처에서 더 많은 개체가 유인되는 경향이었다. 본 해충의 신규발생지 조사에 있어 알주머니 육안조사에 의한 관해 방법 및 페로몬트랩에 의한 방법을 비교한바 페로몬트랩에 의한 조사가 보다 효과적이었다. 111m의 공간에 합성페로몬 32mg을 처리한 경우 교미교란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Flight behavior of Mntsucoccus thunbergianae males and their response to the synthetic sex pheromone, (6R.lOR)-matsuone, were studied in Pinus thunbergiana forests More males were flying around the tree crown than near the ground. A dispenser loaded w~th 50 vg of the pheromone appeared to affect the density of male flights less than 10 meters Sticky traps with 50 pg of the pheromone attracted flylng males, but those with 1 pg were not effectwe in a forest wlth high crown closure, more males were tmpped at upper crown level than near the ground whereas males appeared to be more responsive to pheromone near the ground in a forest with low crown closure Monitoring new scale iniestations with pheromone mps was much more effective than egg sac surveys, the customary detecting procedures Maiing disruption was not achieved by placing 32 mg of pheromone m a space of l X l X l me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