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의 중장내 먹이 Acid Phosphatase(AP)의 활성변화 KCI 등재

Persistence of the Enzymatic Activity of Dietary Acid Phosphatases from the Lumen of the Midgut of the Lady Beetle, Harmonia axyrid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954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의 중장 내에서 먹이 단백질이 소화되는 과정을 연구하기 위하여 진딧물과 생간의 AP를 모델 단백질로 이용하였다. 천역 먹이인 긴꼬리볼록진딧물(Megoura crassicauda)과 인공먹이인 닭의 생간은 각각 고유의 acid phosphatase(AP)를 가지고 있으며, 무당벌레의 중장 내부로 들어온 후에도 활성을 나타내었다. 무당벌레의 장에서 자체적으로 생성하여 중장 내부로 분비하는 AP는 관찰되지 않았다. 무당벌레의 단백질 소화력은 먹이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생간의 AP는 무당벌레 중장내에서 12시간이 지나면 거의 활성을 잃어 버리나 긴꼬리볼록 진딧물의 AP는 24시간이 경과하여도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Acid phosphatase(AP) of he aphid, Megoura crassicauda and the major component of the lady beetle's artificial diet, fresh chicken liver, was adapted as a model protein to study the digestion of diet proteins in the midgut of Harmonia axyridis. The lady beetle did not secrete its own AP into the lumen of the midgut. The aphid and the live chicken liver had AP which was still alive in enzymatic activity from the extract of the lumen of the midgut of the lady beetle. The digestive ability of the lady beetle on proteins turned out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food sources. In the lumen of the midgut of the lady beetle, though most of AP of live chicken liver lost its activity withtin 12 hours, that of M. cassicauda kept strong enzymatic activity up to 24 hours.

저자
  • 홍옥기
  • 박해철
  • 박규택
  • 박용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