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새로운 에폭시계 반응성 액정 단량체의 합성과 특성

Syntheses and Properties of New Reactive Mesogen Based on Epoxy Syste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65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화상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화상학회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방향족 에스터를 메조겐 구조로 하고 양 말단에 양이온 광중합이 가능한 에폭시 관능기가 포함된 새로운 에 폭시계 액정 단량체를 합성하였고 이의 구조를 1H-NMR, IR, 등을 이용하여 확인 하였다. 알킬 스페이서의 길이가 다른 두 가지 액정 단량체의 액정 특성은 편광현미경과 DSC를 사용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2MPBE의 TCN은 82 ℃에서 나타났고 TNI는 195 ℃에서 나타났으며, 4MPBE의 TCN은 88 ℃에서, TNI는 168 ℃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편 광현미경으로 관찰한 액정상은 상기 액정 온도에서 Schlieren texture를 보이는 nematic 액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합성된 액정 단량체를 용매에 녹여 양이온성 광개시제로서 diphenyliodonium hexafluorophosphate를 액정 단량체 대 비 10 wt% 가한 후 유리 기판에 스핀코팅하고 88 ℃에서 광조사를 통해 경화하여 위상지연 필름을 얻었으며, 제조 한 위상지연필름과 상업적 단량체인 RM257로부터 제조된 필름의 위상 지연 값을 측정한 결과 각각 153.08 nm와 150.49 nm 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필름의 두께와 위상지연 값으로부터 계산된 복굴절률은 (Δn) 0.172로 시판 중인 RM257(Merck 사)의 복굴절률과 비슷(Δn=0.173)한 값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New epoxy-based reactive mesogens (RM) containing aromatic ester as a mesogenic core and cationic photo-polymerizable epoxy groups on either terminal were synthesized, and their structure was characterized by 1H-NMR and IR spectroscopy. The liquid crystalline properties of these RMs were investigated by cross polarized microscope (XPM) and DSC, which revealed that TCN and TNI of 2MPBE were measured to be 82 and 195 ℃, respectively, while those of 4MPBE are 88 and 168 ℃, respectively. XPM observation confirmed that these liquid crystalline compounds show nematic phase with Schlieren texture. Using these RMs, retardation films were fabricated by photo-curing the spin cast mixture of RM and cationic photoinitiator (diphenyliodonium hexafluorophosphate, 10 wt%) at 88 ℃, and the retardation value was compared with that from commercial RM (RM257, Merck), which were 153.08 and 150.49 nm, respectively. From the film thickness and the retardation values, refractive index anisotropy (Δn) were calculated for the synthesized RM and RM257, which were 0.172 and 0.173, respectively.

저자
  • 박상석(전북대학교 유연인쇄전자 전문대학원) | Sang Suk Park
  • 김홍민(전북대학교 유연인쇄전자 전문대학원) | Hong Min Kim
  • 이성준(전북대학교 유연인쇄전자 전문대학원) | Sung Jun Lee
  • 양시영(전북대학교 유연인쇄전자 전문대학원) | Si-Young Yang
  • 이명훈(전북대학교 유연인쇄전자 전문대학원) | Myong-Hoon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