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북한산국립공원의 포유류 현황 KCI 등재

Current Status of Mammals in Bukhansan National Par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7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북한산국립공원의 산림생태계 22개 지점과 습지생태계 2개 지점을 대상으로 무인센서카메라 사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식이 확인된 포유류는 멧돼지, 고라니, 너구리, 개, 고양이, 오소리, 족제비, 청설모, 다람쥐로 총 3목 6과 9종 확인되었다. 종별 상대풍부도지수(RAI)는 멧돼지(33.8), 고라니(13.9), 청설모(8.3), 생태계 유입종인 고양이(4.7)의 상대풍부도지수(RAI)도 높게 나타났다. 습지생태계에서는 고양이, 오소리, 청설모, 다람쥐의 서식이 확인되지 않았고 멧돼지, 고라니, 너구리의 상대풍부도지수는 산림생태계 보다 높게 나타났다. 선행연구와의 포유류상 비교 결과 총 9종이 동일하게 출현하였으며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인 삵과 고유종인 멧토끼는 본 조사에서 서식이 확인되지 않았다.

Mammals found in the 22 forest and 2 wetland fixed sites using the sensor camera images in Bukhansan National Park were 9 taxa; 3 orders, 6 families and 9 species including Sus scrofa, Hydropotes inermis, Nyctereutes procyonoides, Canis familiaris, Felis catus, Meles leucurus, Mustela sibirica, Sciurus vulgaris, and Eutamias sibiricus. Relative abundance indices (RAI) of Sus scrofa (33.8), Hydropotes inermis (13.9), Sciurus vulgaris (8.3) and Felis catus (4.7)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s. Felis catus, Meles leucurus, Sciurus vulgaris, and Eutamias sibiricus were not found in the wetland sites, but relative abundance indices of Sus scrofa, Hydropotes inermis, and Nyctereutes procyonoide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forest sites. Total nine mammal species were found with the same species in the previous studies, but the endangered species, Prionailurus bengalensis, and the endemic species, Lepus coreanus, were not found in this study.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1. 조사기간 및 조사지역
    2. 조사방법
결과 및 고찰
    1. 산림생태계 내 포유류 서식현황
    2. 산림습지생태계 내 포유류 서식현황
    3. 북한산국립공원 내 포유류 현황
References
저자
  • 김의경(국립공원연구원) | Eui-Kyeong Kim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 정상민(국립생태원) | Sang-Min Jeong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박승철(국립공원연구원) | Seung-Chul Park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 신금철(경상국립대학교 부속 농업생명과학연구원/경상국립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Keum-Chul Shin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al Resour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