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메타버스의 연구현황 탐색 KCI 등재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Metaverse Using Text Min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94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국내의 각 학문영역별로 형성된 메타버스 의 연구현황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메타버스를 주제로 한 논문 중 초록이 게재된 논문 454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초록을 학문영역별로 분류하여 키워드 빈도분석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토픽모델링을 실시하고 결과를 시각화하여 나타냈 다. 분석결과 첫째, TF-IDF값을 기반으로 하여 키워드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교육' 키워드 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의 학문영역에서 메타버스와 교육이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 할 수 있다. 둘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예술체육학을 제외한 각 학문영역에서 '기술'과 '가상' 키워드가 중심에 위치하여 다른 키워드 간 매개역할을 하는 핵심 키워드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중요도가 높았던 '교육' 키워드가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중심성이 높지 않았다. 이는 교 육에 대한 관심이나 중요도는 높으나 다른 키워드와 관계 정도는 높지 않음을 뜻한다. 셋째, LDA기반 토픽모델링 결과 공학 분야에서는 '메타버스 콘텐츠 활용교육',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메타버스 수업공간', 예술체육학 분야에서는 '메타버스 환경의 요소', 복합학 분야에서는 '메타 버스를 통한 세계의 디지털 혁신', 인문학 분야에서는 '증강현실 요소를 통한 역사 콘텐츠', 교 육학 분야에서는 '메타버스 내 교사의 실재감 지각' 토픽이 중요한 토픽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파악된 학문영역별 메타버스의 연구현황은 메타버스를 미래교육에서 활용하 기 위한 학제간 학문간 융·복합 연구의 기초자료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metaverse in each academic field using text mining. For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d 454 abstracts of journal articles dealing with metaverse according to each academic filed. Keyword frequency analysis,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were used as text mining technique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was an important keyword based on the TF-IDF value regardless of academic fields, which indicates that metaverse is highly related with education in most academic fields. Second, 'technical' and 'virtual' were located at the center of keyword network in most academic fields, which indicates that these keywords play a mediating role among other keywords. However, 'education', which was an important keyword based on the TF-IDF value, was not high in keyword network. It means that while education is important that most academic fields concern, the relation degree with other keywords is not strong enough. Third, topic modeling shows that hot topic in each academic field was 'education using metaverse contents' in engineering, 'metaverse classroom' in social science, 'element of metaverse environment' in art and sports science, 'digital innovation in the world through metaverse' in interdisciplinary science, 'historical content through augmented reality elements' in humanities, 'teacher's perception of reality in metaverse' in pedagogy.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metaverse identified are useful for interdisciplinary and convergence research to utilize metaverse in future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메타버스(Metaverse)의 개념 및 정의
    2.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1. 분석 절차
    2.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연도별 논문 발행 추이
    2. 학문영역별 키워드
    3. 학문영역별 키워드간의 관계
    4. 학문영역별 주요 토픽
Ⅴ.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승재(영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과정) | Kim Seungjae
  • 조규락(영남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 Cho Kyoo-La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