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한지역 유경식 석검의 전개와 기능 KCI 등재

Development and Typology o f the Tanged Stone Dagger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72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본고는 남한지역의 생활 유구와 분묘에서 출토된 유경식 석검의 속성을 검토해 형식분류하고 이를 통해 지역성 및 전개 양상, 석검의 성격과 기능 추정을 목적으로 하였다. 남한지역을 다섯 개 권역으 로 세분하고, 계측형과 명목형 속성을 검토한 결과, 기존 연구에서 주목했던 경부 길이는 검신부 길이 와 무관하게 2~5.4cm 범위에서 제작되어, 본고에서는 형식분류 기준을 경부 길이가 아닌 경부 형태, 전체 길이, 최대폭 위치로 설정해 11개 형식으로 구분하였다.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치와 공반유물을 종합해 지역·형식별 시간성을 검토한 결과 전 지역에서 전기 후반부터 유경식 석검이 등장했고, ⅠA 식 석검이 선호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중기에는 석검의 크기와 경부 형태의 다양성이 확인되었고, 생 활 유구와 더불어 분묘에도 부장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전기 물질문화 전통이 지속되었던 중부, 강 원, 영남 동해안 권역에서는 여전히 생활 유구에서만 사용되었고 분묘 부장 사례는 송국리 문화가 확 산된 권역에서 확인되어, 유경식 석검의 분묘 부장은 송국리 유형의 확산 결과로 이해하였다. 한편 중 부지역은 각형토기 문화권과 형태적 유사성이 높은 Ⅳ형식 석검, 전기부터 9개의 형식이 등장했으나 소멸 양상이 이르게 확인되는 점, 물질문화의 이동 방향을 고려했을 때 남한지역에서 유경식 석검의 확산은 중부지역을 통해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a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anged stone daggers unearthed from lifestyle features and graves throughout South Korea, thereby examining the locality and development patterns and estimating the nature and function of tanged stone daggers. As a result of dividing the South Korean region into five regions and reviewing tanged stone daggers into measuring and nominal attributes, it was confirmed that the daggers’ tang part, which was noted in the previous study, was manufactured in the range of 2~5.4cm, not the dagger’s tang part, and the maximum width of the daggers’ bod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temporality using the values of radiocarbon dating, features, and association relics, tanged stone daggers, it was confirmed that tanged stone daggers appeared in all parts of South Korea from the early Bronze Age, and early stone swords were preferred. In the mid-term, diversity was confirmed in the size of the stone sword and the shape of the daggers’ tang part, and it began to be buried in the tomb along with the remains of life. However, Jungbu, Gangwon, Yeongnam, and East Coast regions in which the traditions of the Early Bronze Age’s material culture lasted, the Age’s tradition of using tanged stone daggers remained in lifestyle features only. On the other hand, they began to appear in the Middle Bronze age, mostly as미 burial accessories of graves, in the Honam and Yeongnam regions. The burial of tanged stone daggers was confirmed from the Middle Bronze Age and was understood as resulting from the spread of the Songgukri type. In Jungbu region, however, the emergence of nine types and a type of stone daggers related to the cultural region of Gakyung pottery were confirmed from an earlier time. Accordingly, the spread of tanged stone daggers in South Korea was understood as having originated in Jungbu region.

목차
요약
남한지역 유경식 석검의 전개와 기능
Ⅰ. 머리말
Ⅱ. 유경식 석검 형식분류
    1. 속성검토
    2. 형식분류
Ⅲ. 유경식 석검의 지역성 및 기능
    1. 지역별 검토
    2. 지역성 및 의미
    3. 성격 및 기능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김민영(한국전통문화대학교 융합고고학과, 조교) | Kim, Minyeong (Assistan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