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64

        18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elicoverpa assulta (Lepidoptera: Noctuidae) exhibits a specialized herbivorous diet, primarily targeting select Solanaceae plants. Despite its significant economic impact as a pest, causing substantial harm to crops like hot pepper and tobacco, it has received comparatively limited attention in research compared to its generalist counterparts, H. armigera and H. zea.We introduce a chromosome level genome assembly using a Korean H. assulta (Pyeongchang strain, K18). This assembly was achieved through a combined approach utilizing Nanopore long-read sequencing (approximately 78X coverage) and Illumina NovaSeq short-read sequencing (approximately 54X coverage). The total assembled genome spans 424.36 Mb, designated as ASM2961881v1, comprises 62 scaffolds, with 98.7% of the genome contained within 31 scaffolds, confirming the insect's chromosome count (n = 31). The completeness of the assembly is reflected in BUSCO assessment, with values reaching 99.0%, while the repeat content accounts for 33.01%, and 18,593 CDS were annotated. Additionally, 137 genes were identified within 15 orthogroups that have rapidly expanded in H. assulta, while 149 genes in 95 orthogroups have rapidly contracted. This genome draft serves as a valuable resource to explore various aspects of the specialist's biology, enabling research into host-range evolution, chemical communication, insecticide resistance, and comparative investigations with other Heliothine species.
        18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모기는 감염병을 매개하는 종으로 전염병 확산 억제를 위해서는 개체수의 감시와 정확한 예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모기 개체수 및 기상 및 현장 자료를 활용해 모기 개체수 머신러닝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기 개체수는 디지털 모기 측정기(Digital Mosquito Monitoring System, DMS)의 2015 년~2022년의 5월~10월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기상 자료는 기온, 강수량, 풍속, 습도를 사용하였으며, 현장 조사 자료는 현장을 명목척도와 서열척도로 나누어 기록하여, 명목 척도의 경우 원핫 인코딩으 로 변환해 수치화하여 사용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머신러닝 모델은 Artificial Neural Network, Random Forest, Gradient Boosting Machine, Support Vector Machine이며 성능지표로 R2, RMSE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Gradient Boosting 모델이 R2 0.4, RMSE 22.45로 가장 좋은 성능을 나타냈다. 현장 조사 자료 를 분석에 활용하였을 때 R2는 증가하였고, RMSE는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 모기 개체수에 현장 조사 자료가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8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amily Nolidae has not much been treated as noticeable pest. In other countries, there are some pest species like Garella musculana (Erschoff, 1874), Uraba lugens Walker, 1866, and Earias insulana (Boisduval, 1833), but those are not reported in Korea. Recently, the occurrence of a nolid species, Meganola major (Hampson, 1894) has been increasing, especially in Jeollanam-do Prov. This species is mainly distributed in Indian subregion and Southeast Asia, but also East Asia reported, but until now, there are no outbreak information. Neverthereless, recent outbreak might be lead by global warming, and their growth stage. This seems to be evidence of the potential outbreak risk of nolid moths, but unfortunately, their ecology is not mostly well-studied. In this discussion, we are focusing on the potential outbreak of nolid moths in East Asiatic and Oriental regions.
        184.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천적농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토착천적을 개발하여야 한다. 토착천적들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설재배 지 내에 다양한 비작물성 식물들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식물의 종류가 많으면 이에 서식하는 기주곤충이 늘어나고 그 곤충들의 토착천적들이 증가한다. 이러한 시설재배지내에 식물 종다양성 확보를 위하여 재배작물 사이의 공간에 경합되지 않는 곳에는 다양한 잡초를 증식하거나 새로운 천적유지 식물을 개발하여 다양한 기주 곤충을 증식시켜야 한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서 보리를 이용한 콜레마니진딧벌 천적유지식물이 개발되었지만, 그 외에도 담배, 천사의나팔 김장배추, 쑥, 소리쟁이, 냉이 등 다양한 천적유지식물들을 개발할 수 있다. 즉, 토착천적을 개발하기 위하여 생태적으로 안정된 작물재배환경을 유지하는게 필요하고 이러한 안정 된 생태계 속에서 효과적인 천적을 통한 해충방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194.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