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6

        264.
        2006.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made a comprehensive statistical study on the coronal mass ejections(CMEs) associated with helmet streamers. A total number of 3810 CMEs observed by SOHO/LASCO coronagraph from 1996 to 2000 have been visually inspected. By comparing their LASCO images and running difference images, we picked out streamer-associated CMEs, which are classified into two sub-groups: Class-A events whose morphological shape seen in the LASCO running difference image is quite similar to that of the pre-existing streamer, and Class-B events whose ejections occurred in a part of the streamer. The former type of CME may be caused by the destabilization of the helmet streamer and the latter type of CME may be related to the eruption of a filament underlying the helmet streamer or narrow CMEs such as streamer puffs. We have examined the distributions of CME speed and acceleration for both classes as well as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speed and acceleration. The major results from these investigations are as follows. First, about a quarter of all CMEs are streamer-associated CMEs. Second, their mean speed is 413 km s-1 for Class-A events and 371 km s-1 for Class-B events. And the fraction of the streamer-associated CMEs decreases with speed. Third, the speed-acceleration diagrams show that there are no correlations between two quantities for both classes and the accelerations are nearly symmetric with respect to zero acceleration line. Fourth, their mean angular width are about 60°, which is similar to that of normal CMEs. Fifth, the fraction of streamer-associated CMEs during the solar minimum is a little larger than that during the solar maximum. Our results show that the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streamer-associated CMEs, especially Class-A events, are quite similar to those of quiescent filament-associated CMEs.
        4,000원
        265.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reveal effects of gamma-irradiation with various doses on the expressions of C4H and F5H genes, the transcription levels of OsC4HL and OsF5HL were investigated in leaves and stems of two rice cultivars, Ilpoombyeo and IR-29, after the irradiation with
        4,000원
        266.
        2006.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라늄 변환시설 가동 중 발생하여 라군(lagoon)에 저장중인 방사성 슬러지 폐기물에 대한 처리는 시설 해체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업무 중 하나이다. 슬러지 구성성분 중 다량을 차지하는 질산암모늄의 폭발 위험성 등으로 인해 미생물을 이용한 질산염의 분해는 질산염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라군 슬러지의 약 60 wt%를 차지하는 질산염을 혐기성 균주의 하나인 Pseudomonas halodenidificans를 이용하여 탈질하기위한 공정 변수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온도, 질산염 농도, 전자공여체의 영향, C/N 비율, 초기 접종하는 균주의 비율, pH등의 공정변수에 대하여 실험한 이번 결과는 향후 연속식 공정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4,000원
        267.
        200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transgenic embryos expressing the green fluorescence protein (GFP) gene have been evaluated after transfer of exogenous gene into the porcine zygote cytoplasm using the intracytoplasm sperm injection (ICSI) as gene delivery method. For DNA binding to sperm heads, 0.05% Triton X-100 or Lipofectin was used. After injection of the sperm bound to DNA by means of Lipofectin or Triton X-100 triturate, the blastocyst formation rates on day 6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ICSI only group (18.8, 19.2 and 25.3%). In terms of GFP expression, more embryos were in GFP form in Triton X-100 group than in Lipofectin group (40.6 vs 36.4%), while percentage of non-mosaic embryos expressing the GFP gene in all blastomere was higher (P<0.05) in Lipofectin group than in Triton X-100 group (4.2 vs 0.9%). ICSI embryos derived from sperm treated with Lipofectin/DNA complex was transferred into 3 recipients and were collected by uterine flushing on days 5, 7 and 15 after embryo transfer, and then GFP expression was observed by a fluorescence microscopy. Over 26% of the collected embryos were normally expressed GFP ge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eign gene transfer method with DNA bound sperm caused minimal damage to structure of oocytes that can result to full development of porcine embryos. This was confirmed in this study when the embryos that were transferred after ISCI of DNA bound sperm had a normal development and gene expression until preimplantation.
        4,000원
        269.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유 또는 주스 종이용기를 재활용하여 화장지를 생산하고 있는 제지회사에서 배출되는 제지폐수를 대상으로 주기적 질소 역세척이 가능한 세라믹 정밀여과 시스템을 운전하였다. 제지폐수 재활용을 위해 본 연구에서 7개의 채널이 있는 2 종류의 알루미나 분리막이 사용되었다. 질소 역세척 시간을 40초, 막간압력차 1.0kgf/cm2, 역세척 압력 5.0kgf/cm2로 고정하였을 때 0.4mum의 평균기공 크기를 갖고 있는 HC04 알루미나 분리막의 최적 여과시간 간격은 4분으로 1.0mum의 평균기공인 HV10 분리막의 16분보다 짧았다. 여과시간 간격과 역세척 시간을 고정한 상태에서 막간압력차(TMP)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높은 TMP 조건에서는 쉽게 막표면에 케이크가 형성되고 막 내부 구조에도 막오염이 발생하기 때문에 낮은 TMP 조건이 막오염 제어에 유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TMP는 폐수처리 여과 시스템에서 구동력이기 때문에, 가장 높은 TMP 조건에서 가장 많은 총여과부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다채널 세라믹 분리막을 사용한 정밀여과시스템에서 얻은 투과수는 탁도가 낮기 때문에 제지공정에서 재활용 될 수 있다.
        4,000원
        270.
        200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reproduction ability of the wild type boar and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hEPO) transgenic boar semen. Ejaculated boar semen was analyzed by flow cytometry, Elisa and IVF methods. In experiment 1, flow cytometric analysis showed that the live sperm ratio of transgenic boar sperm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that of wild type boar after incubation at 20, 22, 24 and 26 hr. In experiment 2, the presence and levels of various cytokines (IL-6, IL-10 and TNF-α) to related animal reproduction in the seminal and blood plasma were examined using specific enzyme immunoassa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In experiment 3, the fertilizing capacity and developmental ability of both boar sperm were compared. The transgenic boar sperm had a significantly low capacity of penetration, sperm-zona binding, embryo development, and blastocyst formation compared to wild type sperm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ansgenic boar sperm harboring hEPO gene has low sperm viability than wild type boar, and it is a reason to decrease of fertility and litter size.
        4,000원
        271.
        200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라늄 변환시설의 라군 슬러지에 함유된 질산염의 안정적 처리를 위해 물 첨가 용해를 실시한 뒤, 여과 케이크의 안정화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물 용해에 의해 대부분의 질산염은 고농도 질산염 용액으로 제거되었으므로, 여과 케이크의 열분해는 에서 하나의 단계로 수행하였다. Muffle furnace를 이용하여 에서 5시간동안 여과 케이크의 열분해를 실시한 결과 라군 1 슬러지에 포함된 U은 의 열분해와 함께 의 형태로 안정화 되었다. 라군 2 열분해 잔류물의 경우에는 열분해 시 생성된 CaO가 냉각과정에서 수분과 반응하여 로 전환되는 것을 TG/DTA 분석과 XRD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지만, 처분장에서 대기중 노출이나 지하수의 침출 등에는 안정한 화합물로 알려져 있으므로, 특별한 첨가제의 첨가 없이 단순 열분해 후 처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72.
        200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hematopoietic growth factor erythropoietin (EPO) is required for the maintenanc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 stem cells that produce erythrocytes. To analyse the biological activity of the recombinant human EPO (rec-hEPO), we have cloned the EPO cDNA and genomic DNA and produced rec-hEPO in the CHO cell lines.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EPO-dependent human leukemic cell line (F36E) were used to measure cytokine dependency and in vitro bioactivity of rec-hEPO. MIT assay values were increased by survival of F36E cells at 24h or 72h. The hematocrit and RBC values were increased by subcutaneous injection of 20 IU (in mice) and 100IU(in rats) rec-hEPO. Hematocrit values remarkably increased at 13.2% (in mice) and 12.2% (in rats). The pharmacokinetic behavior with injection of 6 IU of rec-hEPO remained detectable after 24 h in all mice tested. The highest peat appeared at 2h after injection. The long half-life of rec-hEPO is likely to confer clinical advantages by allowing less frequent dosing in patients treated for anemia. These data demonstratethat ree-hEPO produced in this study has a potent activity in vivo and in vitro.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biological activity of ree-hEPO could be remarkably enhanced by genetic engineering that affects the potential activity, including mutants with added oligosaccharide chain and designed to produce EPO-EPO fusion protein.
        4,000원
        273.
        200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자력연구시설의 핫셀 내 바닥이나 장치표면에 부착된 고방사능분진의 제거를 위해서 PFC제염기술을 적용한다. 고가인 PFC 용액의 재사용을 위해서는 여과장치의 개발이 필요하고 제염종료 후 이차폐기물의 양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PFC 제염폐액 내 방사성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핫셀 내의 고방사능분진의 오염 특성을 조사했다. 여과 막을 이용한 입자의 제거효율 측면에서 보면 세라믹 , PVDF, PP 막 모두가 95 이상의 높은 여과 성능을 보였다. 기공 크기가 같은 동일 여과 막에서는 입자가 크거나 가하는 압력이 높을수록 좀더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내었고, 3psi이하에서는 PVDF의 제거효율이 다른 막에 비해 작게 나타났다. 플럭스 성능은 PVDF 막이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고 세라믹과 PP 막에서는 다소 낮은 성능을 보였다. PVDF 막은 낮은 압력과 짧은 여과시간으로 최대(한계)플럭스에 도달함을 확인하였다. 세라믹 막은 모의입자의 제거 효율은 높지만 다소 낮은 Flux 성능을 나타냈다. 또한, 막 자체의 비싼 가격과 쉽게 부서지는 성질의 단점을 지니고 있지만 무기화합물의 재질로 되어있기 때문에 알파방사능 환경에서 H, 가스를 발생하는 고분자 막인 PVDF, PP 막과 비교하여 훨씬 안정적이었다. 그리고 이들 소수성 여과막들의 특성 비교를 바탕으로 세라믹 막을 적용한 PFC 실증 여과장치의 공정도를 살펴보았다.
        4,000원
        274.
        2004.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원자력 연구소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용후핵연료 관리 이용 기술개발의 경제성과 환경친화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리튬회수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검증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기술은 1) 환원전극과 결합된 비전도성 다공성 마그네시아 용기를 이용한 용융염상에서의 산화리튬 전해, 2) 마그네시아 용기를 용융염 액위 이상으로 상승시켜, 용기 내에 회수된 리튬의 용융염으로부터의 분리, 3) 회수된 리튬의 진공 사이펀을 사용한 별도 저장조로의 이송이라는 3단계의 결합으로 특징지어 진다. 개발된 기술에 의하여 염화리튬-산화리튬 용융염으로부터 95% 이상의 수율로 리튬을 반연속적으로 회수할 수 있었다.
        4,000원
        275.
        2004.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일럿 규모의 유리화플랜트에서 일련의 시험을 통해 고온 세라믹 캔들 필터 시스템의 주요 운전 변수 및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증 시험결과 매 시험초기에는 필터 표면 먼지층(Dust cake)의 생성으로 인해 필터 매질에 걸리는 차압이 급격히 상승하였다. 그런 다음 차압은 곧 일정한 범위에서 안정되었고, 표면유속(Face velocity)에 비례하여 계속적으로 변화하였다. 이와 반대로, 필터 투과율(Permeability)은 매시험 초기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필터표면 먼지의 역세정은 공기압 3~5 bar범위 일때 효율적이었다. 필터 입구 및 출구에서 동시에 등속으로 채취한 먼지농도를 바탕으로 필터의 먼지 포집율(Dust collection efficiency)을 평가한 결과 필터 성능은 설계값인 99.9%과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100시간의 장기시험을 포함한 일련의 실증시험을 수행하는 동안 고온 필터 시스템의 성능에 영향을 주는 특별한 문제점은 발견되지 않았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