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

        21.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xylanase bacteria, isolated from Waste Mushroom bed of Agaricus bisporus in Sukseong-myeon, Buyeo-gun, Chungcheongnam-do, was used to produce an xylanase in shaker buffle flask cultures containing oat spelt xylans. This strain was screen onto xylan agar congo-red plate by the xylanolysis method. The phylogenetic analysis using 16S rRNA sequence data showed that Bacillus subtilisstrain 55 had the highest homology (99.0%) with Bacillus subtilisand it was named Bacillus subtilisstrain 55. Bacteria grows and activity maximum during 2 days. The xylanase enzyme was purified by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50~80%), gel filtration on sephacryl S-300, and ion exchange chromatography on DEAE sepharose FF. The molecular weight determined by SDS-PAGE method. Enzyme size was 44kDa. The optimal pH of the xylanase activity was pH 7, and stability pH 6. The optimal temperature for the xylanase activity and stability was showed same temperature at 50℃. The purified xylnase had Kmvalue and Vmax of 20㎎/㎖ and 2500μM/min respectively. The enzyme was active on oat spelt xylan, beechwood xylan and little activity on starch substrate specificity. Enzyme activity was enhanced by Fe2+and Mn2+and strongly inhibited by Hg+.
        22.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가상현실 기술의 발전으로 가상의 3D 객체와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자 친화적인 손 제스처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단순하고 적은 종류의 손 제스처만 지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가상환경에서 3D 객체와 보다 직관적인 방식의 손 제스처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안한다. 손 제스처 인식을 위 하여 먼저 전처리 과정을 거친 다양한 손 데이터를 이진 결정트리로 1차 분류를 한다. 분류된 데이 터는 리샘플링을 한 다음 체인코드를 생성하고 이에 대한 히스토그램으로 특징 데이터를 구성한다. 이를 기반으로 학습된 MCSVM을 통해 2차 분류를 수행하여 제스처를 인식한다. 본 방법의 검증을 위하여 3D 블록을 손 제스처를 통하여 조작하는 ‘Virtual Block’이라는 게임을 구현하여 실험한 결 과 16개의 제스처에 대해 99.2%의 인식률을 보였으며 기존의 인터페이스보다 직관적이고 사용 자 친화적임을 알 수 있었다.
        23.
        201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이용한 부재의 내화 성능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실제부재 단위의 시험에 의한 평가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부재 실험을 하기 위해서는 재하 능력이 큰 시험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재료 모델을 이용한 해석적 연구를 통해 내화 성능을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80, 130 및 180 MPa의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고온 가열시의 변형 특성을 실험적으로 평가하고 초고강도 콘크리 트에 대한 기존 변형 모델의 적용을 검토했다. 그 후, 최소 제곱법에 의해 실험 값과 기존의 변형 모델을 적용한 계산 값의 누적 오차가 가장 작 은 상수 값을 도출하고 초고강도 콘크리트에 적용 할 수 있는 변형 모델을 제시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