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관광 관련 서비스 분야에 필요한 특수 목적 중국어(CSP) 교육과정 개 발을 위한 첫 단계로 AI 데이터 기반으로 구축된 구어체 병렬 코퍼스에서 CSP 어휘 리스트를 선정하여 용어색인과 어휘다발(n-gram)등을 분석하였다. 어휘리스트 어휘 규모는 토큰 수 총 304, 228개와 타입 수 17, 286개로 나타났으며, 어휘 누적 증가율 을 분석하면 2-Gram과 3-Gram의 어휘다발이 가장 많았고, 실무 현장에서 가장 많 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특수 목적 관광 중국어 어휘 리스트는 실제 교육 자료로 제공하여 관광 중국어 학습자와 교수자에게 실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which suddenly began with COVID-19, was an opportunity to expand to university education sites. This study presents online classes based on the Tandem learning method as examples and examines the class operation, learning content, and learne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actual type of flip learning classes and real-time video classes. By converting Tandem classes operated by B University in Busan into online classes, the existing e-Tandem classes were expanded using flip learning and ZOOM. The first Flip learning class allows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free form of learning through pre-learning becomes an advantage of the online class type. However, while professors participate in the small conference room and feedback, there is a need to be supplemented with the ability to feedback directly to other teams. Furthermore, as a result of the learner satisfaction survey, there were complaints about prior learning and the amount of tasks, so studies on specific tasks and the content and methods of prior learning are also needed. The second real-time video class allows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learners and learners. The biggest feature of this class type is that it can solve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which was a disadvantage of non-face-to-face classes. However, the ability of a professor is needed to conduct a real-time video class like this. Unlike learners who are familiar with digital technology, only when they understand and learn various online content and functions will their online classes become as natural as face-to-face classes.
본 연구는 학습자 요구를 바탕으로, 개설을 희망하는 교과목을 분류하면서 진로방 향과 관련된 특수 목적 중국어 교육의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수업 설계를 위하여 취업환경을 먼저 살펴보고, 선행연구를 통해 좀 더 특수 목적에 맞춘 수업을 설계하 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부산 B대학의 학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항공 분야를 선정하여, 지역 대학 인문계열의 중국어 전공자들에게 부합하는 항공서비스 목적 중국어 교육과정의 기본적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특수 목적 중국어 교육과정에 필요한 직무와 학습의 복합형 수업 설계를 위하여 NCS를 활용한 강의계획서도 함께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