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는 의심할 여지없이 중국어 학습에 있어 가장 매혹적인 부분 중 하나이며, 동시에 중국어를 학습하려는 사용자(일본이나 한국인을 제외하고)에게 가장 머리 아픈 부분이기도 하여, 어떤 학습자는 심지어 중국어의 한자 쓰기나 읽기를 무시 하고, 오로지 말하기와 듣기에만 집중하고자 한다. 더 심각한 것은 그것이 또한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중국어 학습을 포기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는 것이며, 이런 점에서 대부분의 교재들에서 학습자의 특성이 무시당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들 어 한자교육에 대한 연구는 진일보하고 있지만, 규칙성을 유지하면서도 전면적인 한자교육의 방법은 아직까지 보이지 않는다. 본문의 목적은 한자의 구성(結構)을 분석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이용하여 규칙성과 전면성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함 께 가지는 한자교육 교수 학습 방법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왜 우리는 한자의 구조(結構)를 파악해야 하는 것일까? 심리학자이가 인지기억 력 전문가인 케네스 박사(Kenneth L. Higbee Ph.D)는 학습자가 어떤 하나의 자 료를 기억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그 자료가 학습자에게 어떤 의의 를 가지는가라고 주장하였다. 때문에, 학습자가 개별적인 한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은 바로 학습자가 새로운 한자를 학습할 때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많은 중국어 교사들이 자형을 분석할 때 “너무 어렵다”고 느끼며 중문과 교수들만이 가능하다고 여기는 것에는 크게 두 가지 원인이 있다. 하나는 일반적인 중국어 모 국어 사용자들은 자형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학습을 하여 본 경험이 없으며, 이로 인해 자형을 분석하는 습관이 없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허신의 『설문해자』를 근거로 육서에 의해 설명하는 것은 실제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인데, 이는 육서에 대한 개별적인 설명이 매우 불분명한 것들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학계에서 는 여전히 ‘전주’에 대해 많은 이설들이 있는데 裘錫圭는 《文字學概要》에서 이들을 9개의 대표적인 학설로 정리한 바 있다. 이외에도 육서의 유형 분류 사이 에도 중첩되거나 아주 미세한 차이만 존재하는 것들이 있다. 예를 들어, 詹鄞鑫는 《漢字略說》에서 「意符兼表讀音」의 회의자와 「聲符具有表意功能」형성 자를 말하기도 하였다. 물론 이러한 각각의 세분화된 연구는 문자학 연구자에게는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연구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제2언어 학습자에게 이러한 사실들은 오히려 부담만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처럼 전통적인 육서법은 한 자교육에 있어 적절하지 않다. 때문에 한자교육에 있어 이루어지는 자형의 구조 분석은 논리성과 일치성을 가져야 하며, 이는 또한 간단하고 간결하며 동시에 한 자의 본질과 부합되어야 한다. 본문에서는 한자의 구조를 3종류 (즉, 표의자, 표음 자와 기호자)와 4종의 부건을 기능헤 따라(표음, 형으로써의 표의, 의로써의 표의 와 형으로써의 교체) 제시하였다. 이러한 자형 구조 분석은 쉽게 학습할 수 있는 것이 아니지만, 학습자가 더 많이 개별 한자의 의부와 성부의 기능과 같은 자형 구조를 이해함으로써 한자의 계통성에 대한 이해를 진작하고, 이를 통해 신습한자 의 자음과 자의를 추측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배양시킴으로써 한자에 대한 기억 능력을 높일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writing system is certainly one of the most fascinating aspects of the Chinese language, but at the same time, it is also one of the most frustrating aspects for learners (with the exception of learners from Japan and Korea), causing many students to focus solely on the speaking aspect of Chinese. Even worse, the writing system is virtually ignored by most learning materials and teachers and is one of the main reasons learners abandon their study of the language altogether. In recent years, Chinese character pedagogy has made some strides, but a holistic and systematic pedagogical method has yet to appear.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basis for such a method, that is to provide a learning-centered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Chinese characters that can act as the basis for a holistic and systematic pedagogical method.Is there really a need for yet another conceptual framework for Chinese characters? According to psychologist and memory expert, Dr. Kenneth L. Higbe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effective memorization is that the learner understands that which is to be memorized. Therefore, increasing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each individual Chinese character to be learned is tantamount to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their learning. Analyzing the structure of Chinese characters has long been seen by most teachers as "too difficult." The main two reasons for this are: 1. the average Chinese native speaker did not learn characters by way of analysis and thereby is not in the habit of analyzing them; and 2. using the Six Principles Theory (六書 LiùShū), the traditional framework presented by XǔShèn (許慎) in the Shuōwén Jiězì (說文解字), to analyze characters is indeed quite difficult due to overlapping categories which are not clearly defined. For example, even in the academic world, explanations of what the Derivative Cognate (轉注 Zhuǎnzhù) category is exactly vary greatly between scholars. As Mr. Qiú Xíguì (裘錫圭) points out in his book Chinese Writing (文字學概要 Wénzìxué Gàiyào), there are at least nine different theories as to what this category is. In add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some categories are quite subtle, Mr. Zhān Yínxīn (詹鄞鑫), in his book A Few Words about Chinese Characters (漢字略說), points out the difference between an associative compound (會意字) for which one of the meaning components also expresses sound and a phono-semantic compound (形聲字) whose sound component also expresses a meaning. While this type of difference may be very important to a researcher, to a second language learner, it is a huge burden. As such, it is obvious that the traditional framework for analyzing characters is not suitable for language pedagogy. A conceptual framework which is suitable for teaching Chinese characters must be logically consistent, simple, concise and be consistent with the nature of the characters themselves. The framework presented here has three types of characters (meaning characters, sound-meaning characters and symbols) and four types of character components (sound components, components which express meaning by their form, components which express meaning by their meaning and components which act as a substitute for an earlier form). This conceptual framework is not only easy to grasp, but it also helps the learner to truly understand the form of each character, in other words, to understand how meaning components (or form components) and sound components work. At the same time, the framework helps learners to understand the system of Chinese characters as a whole, fosters learners' ability to guess at the sound and meaning of characters they have not yet learned and increases their ability to recall characters they have already learned by triggering their memory with sound and meaning c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