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본에 있어서 18세기말기로부터 19세기 초두의 自他認識과 아시아 침략에 귀 결되는 근대 내셔널리즘의 생성 과정을 검토하는데 있어서 무시할 수 없는 것은 러시아의 접근에서 시작된 서양 세계와의 ‘만남’이다. 그것은 그 이전까지 ‘오랑캐’ 로 여겨져 인식의 범위 밖에 벗어나 있던 서양 세계의 현실적인 등장이 華夷思想 的자타인식에 결정적인 동요와 해체를 야기 하여 그 구조에 근본적인 변용을 초 래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은 동아시아에 있어서 공통된 상황이었다. 일본의 경우 유학적 思惟․화이사상적 자타인식의 해체가 비교적 용이하게 진 전되었다. 그러나 조선왕조에 있어서는 일본과 다른 길을 걷게 되었는데 그것은 무엇 때문일까. 이것은 한일 사상사를 생각하는데 있어서 근본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지만, 간단하게 답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닌 것 같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발표에서는 일본의 후기 미토학(水戶學)과 한국의 許 愈(1833-1904)사상과의 사상의 비교로부터 부상되는 사상적 특징을 지적하는 것으 로 그 一端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