書堂은 三國時代 및 高麗를 거쳐 朝鮮朝末期에 이르기까지 士族과 庶民 子弟의 初等敎育을 전담해 온 自然發生的인 私設敎育機關이다 이러한 書堂은 당시 京鄕 各處에 散在해 있으면서 漢文基礎敎育을 담당했지만 우선 敎材 內容을 통해 알 수 있듯이 封建儒敎社會가 요구하는, 五倫에 根幹을 둔 忠孝敎育을 중점적으로 실시함으로써 書堂敎育이 단순히 文字敎育機關이 아닌 修身과 敎化를 위한 風化之源으로서의 機能을 다하여 왔다. 필자는 이와 같이 書堂이 大衆敎育에 끼친 공적이 至大함에 관심을 두고, 書堂敎育에서의 敎育課程과 效用性, 現代의 書堂式 漢文敎育 機關의 現況에 대하여 傳統 書堂敎育의 現代的 意義와 관련하여 논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과거의 전통적 서당교육의 정신이 그 명맥을 근근히 유지하고 있으며 전국 각지에서 유림의 선비 정신을 면면히 이어오면서 후진양성에 매진하고 있는 서당 훈장님들을 직접 탐방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윤리·도덕이 무너져 가고 있는 현실에 비춰 볼 때 어둠을 밝혀 주는 등볼과도 같아서 그나마 한 가닥 희망이 보이는 것 같았다. 필자는 대학에서 강의하면서 학생들에게 방학을 이용하여 훌륭한 서당 훈장님들에게 가서 誠心으로 공부하도록 권하고 있는 바 그곳에서 수학한 학생들은 인성과 예절이 바르고, 한문전공 성적도 우수하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아왔다. 이들에게서 한문교육 장래의 희망을 걸어본다. 이제 초·중등학교의 학부모들은 오로지 입시 위주의 인기과목에만 치우치는 학원에만 자녀들을 보낼 것이 아니라 방학 등을 이용하여 서당과 한문학원에서 修學하게 하여 인성과 덕성을 기르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대학에 진학하여 모든 학문영역에서 올바론 학문 자세를 갖추어 지와 덕을 겸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서당교육이 구시대적 교육제도라는 점에서 사회적 여건이 判異한 현대의 교육제도와의 接木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전통적 서당교육과 현대적 한문교육이 新·舊의 조화를 이루어 法故創新하는 한문 교육과정을 啓發해 나감으로써 한문학습이 어렵고 지루한 공부가 아니라 재미 있는 과목이 될 수 있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서당교육 등이 그것이다. 아울러 일선 학교 漢文敎師와 漢學者 그리고 漢文敎育 關聯機關에서 부단한 노력을 통하여 일반인들에게 접근하기 쉬운 內容으로 活性化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Now I’d like to abstract the statement as far and reach the conclusions by making clear the basic direction, of it’s characteristic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 Studies. Seong-Ho not only accepted the previous seience itself as private person 60 more years but also try to criticized the reality of politics, laying stress on the ratiinal innovation of real policies. He didn’t obey blindly ready-made congnition system, because of his objectified attitude for recognition of object, so he pursuited the rational congnition in accordance with reality. This attitude is a kind of characteristics and basic elements of his realistic development in Confucian studies. Therefore, I’d like to overview interpretation of Confucian classical canons which is basic element of his study. First, Seong-Ho emphasized that a man who studied the Confucianism ought to rearch for the original Confucianism with the attitude of throughout rearch for original understanding. If possible, as one want to study the classical canons of Confucianism, not only acquainted with the meaning of canons and supporting evidence, but also, not adhere to the previous interpretation. So it would be helful for researching the real problems. Seong-Ho insisted that scholia and prose poem never helful for real benefit, at same argument on Lee-Qi(理氣) would be more important things than any others. On this stand-point, it means that Confucian studies ought to return to the original Confucianism as a attitude for studing confucian canons. Second, Seong-Ho insisted that method for interpretation of Confucian canons would be more clear by means of historical research and meaning of worlds. This is cleary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 of Seong-Ho Confucian studies, compared with general way of thingking at that time which blindly followed the Zhu-Xi`s(朱喜) annotation. The other world, He made an effort to reinterpretated the classical canons, refered various theory, not depend on only one theory. Third, It was noted that the cardinal point of Seong-Ho’s studies was a means of manage and benefits for practical use, that is to say, ultimate goal in of Seong-Ho’s studies was benefit for pracrical use. I think characteristic of Lee-Yik’s view on the study of classical canons itself, rather consider it as a means of study, because his emphasise on the practical use and practice. This specific feature of Seong-Ho, Lee Yik’s was concreatly appeared in the Jil seu for the Four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