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안천 유역에 발달한 유물 지형인 하성면의 퇴적층을 모재로 하여 형성된 토양 특성을 밝히는 데 있다. 조사 지점의 적색토의 A층은 적갈색(5YR/4/3)의 미사질식토로 발달도가 미약한 아각괴상 내지 입상 구조이다. B층은 황적색(5YR4/3) 내지 명적색(2.5YR4/6)의 미사질식토로 발달도가 약한 아각괴상 구조를 보이며 적색의 점토 피막과 망간결핵이 나타나는 점토 집적층의 특징을 갖는 argillie층이다. 토층은 A1-B1t-B2t-C 층으로 되어있다. 하성 고위면의 퇴적층을 모재로 발달한 본토양은 과거 제4기의 온난한 생물기후 상태하에서 이루어진 강력한 탈규산화 작용과 염기용탈 및 적색토화 작용에 의하여 생성된 고적색토의 일종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적색토는 현재보다 온난한 생물-기후상태하에서 탈규산화를 동반하는 적색토화 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고적색토로 판단된다.
        4,000원
        2.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한강 중류의 좌안에 분포하는 하성 고위면의 지형특성과 그 단구퇴적층을 모재로 발달한 토양특성을 밝히는데 있다. 조사토양인 적색토는 토양의 형태적, 물리 화학적 및 점토광물의 특성으로 보아 적색토로 분류된다. 토양특성과 고위면의 지형적 특성으로 보아 본 적색토는 제4기의 현재와는 다른 생물 기후환경차에서 탈규산화 작용과 적색토화 작용에 의하여 생성된 고적색토로 사료된다.
        4,000원
        3.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1980년에서 2000년 사이 한국의 노인인구의 지역적 변화 유형을 분석하는데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지도학적인 측면에서 작성된 choropleth map에 의한 변화와 노인인구의 공간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 자료는 1980년도, 1990년도, 2000년도의 한국 인구 센서스 결과를 이용하였다. 한국의 노인 인구는 유례를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노인인구의 문제는 도시보다 농촌이 더욱 심각하다. 농촌의 인구는 감소하고 도시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노인 인구 비율의 증가는 농촌이 도시에 비해 매우 높다. 한국의 노인인구분포는 생애주기의 변화, 정부에 의해 진행되는 도시지역의 발달, 주택 정책 등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 한국은 가까운 장래에 보다 더 심각한 새로운 도전을 받게 될 것이다.
        4,000원
        6.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Sosan reclamation land constructed by Hyundai Co,1984, the basic soil test and electric resistivity survey are carried out for the soft grounds around Tee and Kkot islands composed of tuffbreccia, and granite, respectively. The soil of soft grounds are classified as sandy clay(SC) and sandy silt(SM) in the Tee island, and as sandy silt(SM) in Kkot island according to the unified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the electric resistivity is identified 4 layes with the value 30∼224 Ωm, 3∼59 Ωm, 0.15∼1.5 Ωm, 110∼1280 Ωm(Tee island:112∼122 Ωm, Kkot island:1260∼1283 Ωm), and the layers are interpreted as aeration layer, freshwater saturated layer, seaweater saturated layer, weathered layer, and basement rock respectively. The electric resistivity value decreases with increase of salinity, and pore water and clay mineral content.
        5,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