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5.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the first introduction of plastics, the issue of recycling has been repeatedly discussed. Plastics with limited biodegradability accumulate in the soil and ocean when deposited in landfills, causing environmental problems, and when incinerated emit a large amount of carbon. In particula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is now an indispensable material in daily life, and the waste it generates is also significant. In response, we sought a way to use PET waste as a concrete additive. Typically, adding PET damages the physical strength of concrete, and to solve this problem, gamma ray irradiation was first applied to the PET. The overall peak intensity of the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absorption spectrum of gamma-ray-irradiated PET increased, and the surface hydrophilicity of the material increas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surface roughness increased when PET was irradiated with gamma rays. The strength of concrete mixed with gamma-irradiated PET was measured,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compared to concrete mixed with non-gamma-irradiated PET, and in the case of fibrous PET, the flexural strength increased.
        4,000원
        2.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존의 건축・토목 재료의 연구개발은 고성능화 및 다기능화를 중심으로 행해져 왔다. 그러나 현재에는 고성능화 및 다기능화 뿐만 아니라 환경부하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각종 순환자원을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건축・토목재료의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특히, 시멘트산업은 그 규모의 크기로부터 비롯하여 자원소비량 및 CO2의 배출량이 가장 많은 산업으로 지적되고 있기 때문에 시멘트 생산에 있어서 각종 산업부산물 또는 폐기물을 활용함으로써 천연자원 소비량을 감축시키고 또한 저에너지 소비형 생산방식의 개발을 통해 CO2의 배출량을 감축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 등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국토교통부 「순환골재 품질기준」에 따르면 순환 굵은골재의 혼입량을 전체 굵은골재량의 30%이하로 할 경우 장기 내구성 및 안전성에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제시한 바 있으며, 국내 기존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1종 순환 굵은골재 콘크리트의 경우에는 전체 굵은골재량의 50%까지 순환 굵은골재로 치환하여도 큰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는 구조적인 안정성과 장기 안정성을 고려하여 순환 굵은골재의 치환율을 「순환골재 품질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한계값인 30% 이상(60%까지)으로 설정하였다. 특히, 일반적인 프리캐스트 암거의 설계기준강도는 34MPa 이상으로 「순환골재 품질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최대 설계기준강도인 27MPa를 상회하는 값을 가능하도록 하며, 기존의 재생골재를 활용한 콘크리트의 강도저하 및 재료분리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미분말과 탈황석고를 적극 활용하여 콘크리트 2차 제품용 혼합재를 개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연구결과 탈황석고 및 고로슬래그미분말의 포졸란반응 유도로 강도발현성 확보와 일부 증점제 혼입으로 인한 재료분리 현상의 현저한 저감으로 재생골재의 활용성을 높인 콘크리트의 생산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