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학교정원운동의 사상적 배경과 그 발 전과정을 고찰한 후 국내 학교정원 교육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다. 연구결과, 19세기 말, 유럽의 진보주의 교육사상과 미국의 Nature-Study 교육사상이 미국 학교정원운동의 사상적 배경이 되 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정원운동의 발전과정은 형성, 쇠퇴, 재부 흥의 과정을 거쳤다. 1891년을 시작으로 1914년까지 학교정원은 교육개혁차원에서 국가적인 학교정원운동으로 형성되었다. 그러 나 1914년부터 1918년까지 학교정원은 세계대전을 위한 식량생 산의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전쟁이 끝난 이후 학교정원운동은 쇠퇴 의 양상을 보였고 1950년대 이후 기술(technology)이 주도하는 사 회가 되면서 학교정원이 점차 사라졌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심 각해지는 어린이 비만과 자연결핍의 문제를 개선하고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학교정원운동이 새롭게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학교정원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정 원의 존재목적을 명확하게 정의해야 한다. 둘째, 교과목과 연계된 학교정원 커리큘럼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학교정원운동의 대중 화를 위해 개척가적 리더십이 필요하다. 넷째, 교육현장에 성공적 으로 구현되기 위해서 다양한 분야의 파트너십이 필요하다. 마지막 으로 지역사회와 학교상황에 맞는 융통성 있는 학교정원 교육모델 이 필요하다.